한국어학과 김우영 교수의 훈민정음

1962년 12월 20일 국가문화재 국보 70호로 지정된 훈민정음(백성을 가르치는 바른소리. 訓民正音)은 1446년 세종 28년에 창제 반포되었다.

군사정권 시절에 ‘국기에 대한 맹세문’ 은 술술 외면서 지금 사용하는 한글의 친정인 훈민정음 28자를 모르는 사람들이 더러 있다.

(훈민정음의 원문)

“國之語音.이 異乎中國.하야 與文字로 不相流通.할새 故로 愚民이 有所欲言하여도 而終不得伸其情者.多矣.라 予. 一爲此憫然.하야 新制二十八字. 하오니 欲使人人으로 易習.하야 便於日用耳니라!”

(해설문)

“우리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서 한자와 서로 통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어리석은 백성들이 말하고 싶은 바가 있어도 마침내 그 뜻을 펴지 못하는 이가 많다. 내가 이것을 매우 딱하게 여기어 새로 스물여덟글자를 만들어 내노니 사람마다 쉽게 익히어 나날의 소용에 편리하도록 함에 있나니라!”
그래도 어렵다면 더 쉽게 풀어보자. 이래도 모를까 하노라 …!

(훈민정음 전라도 환경방식)

“시방 나라말쌈지가 떼놈들 말하고 솔찬히 거시기혀서 글씨로는 이녁들끼리 통헐 수가 없응께로 요로코롬 혀갖고는 느그 거시기들이 씨부리고 싶은 것이 있어도 그 뜻을 거시기 헐 수 없응께 허벌나게 깝깝허지 않겄어? 그렇고롬혀서 나가 새로 스물여덟자를 거시기했응께 느그들은 수월허니 거시기 혀부러갖고 날마동 씀시롱 편하게 살어부러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100 수필 한국문화해외교류협회 중부 대전지회모임 한국김우영작가 2017-04-04 721  
» 수필 한국어학과 김우영 교수의 훈민정음 한국김우영작가 2017-04-03 606  
98 수필 스무살의 청춘 외국인 유학생들과 함께 한국김우영작가 2017-03-30 774  
97 수필 김우영 작가의 중도일보 연재 '신학기 강단에서' 한국김우영작가 2017-03-30 850  
96 수필 제노포비아 한국김우영작가 2017-03-30 1037  
95 기타 대전 중구 종합문화복지관『다문화가족 한글교실』수강생 모집 한국김우영작가 2017-02-09 2033  
94 수필 [금강칼럼] 하, 수상한 세상 술 마시는 사회 한국김우영작가 2017-01-15 1296  
93 기타 한국문화해외교류협회 정기총회 회의자료 한국김우영작가 2017-01-11 1750  
92 시. 이정연 2017-01-02 943 2
91 수필 - 김우영 작가의 남도 여행(南道旅行) 한국김우영작가 2016-12-31 2987 1
90 수필 바람이 되고 싶다 이정연 2016-12-29 1161 1
89 시. 친구에게 이정연 2016-12-29 806 1
88 수필 호남벌 작은 요정 ‘김정 시인’ 2016년 광주문학상 수상 한국김우영작가 2016-12-18 1782 1
87 평론 정현석♥박정기 40년 우정의 선물 공동시집 (200자 원고지57매) 한국김우영작가 2016-12-12 1650 1
86 수필 김우영 작가의 문화산책 [문화산책] 뿌리찾기 한국김우영작가 2016-12-08 1200 1
85 시. 오랫만에 만난 친구 이정연 2016-12-04 842 1
84 시. 우두커니 이일 2016-11-23 1035 1
83 기타 문화가 살아 숨 쉬는 남도 푸른 바닷가 그 모습 아련히 한국김우영작가 2016-10-22 1790 1
82 평론 김우영 작가의 한국어 이야기 한국김우영작가 2016-10-22 1906 1
81 기타 문화가 살아 숨 쉬는 남도 푸른 바닷가 그 모습 아련히 한국김우영작가 2016-10-21 2244 1

회원:
33
새 글:
0
등록일:
2015.07.28

오늘 조회수:
0
어제 조회수:
1
전체 조회수:
1,015,290

오늘 방문수:
0
어제 방문수:
1
전체 방문수:
325,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