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한 소년 변상호 극작가의 한글사랑 80행복의 여백

                                                                                                     %EA%B9%80%EC%9A%B0%EC%98%81%20%EC%A4%91%

                                                                                                              김우영 작가(중부대 한국어학과 외래교수)

                                                  %EA%B8%88%EA%B0%95%EC%9D%BC%EB%B3%B4.gif


                                                                  2018.3.7(수)

                                                                                      %EB%B3%80%EC%83%81%ED%98%B8%20%EC%88%98% 


  “國之語音.異乎中國.하야 與文字不相流通.할새 愚民有所欲言하여도 而終不得伸其情者.多矣.. 一爲此憫然.하야 新制二十八字. 하오니 欲使人人으로 易習.하야 便於日用耳니라.” (훈민정음 원문)

 

우리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서 한자와 서로 통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어리석은 백성들이 말하고 싶은 바가 있어도 마침내 그 뜻을 펴지 못하는 이가 많다. 내가 이것을 매우 딱하게 여기어 새로 스물여덟글자를 만들어 내노니 사람마다 쉽게 익히어 나날의 소용에 편리하도록 함에 있나니라.”

그래도 어렵다면 더 쉽게 풀어보자. 이래도 모를까 하노라! (한글 해설문)

 

시방 나라말쌈지가 떼놈들 말하고 솔찬히 거시기혀서 글씨로는 이녁들끼리 통헐 수가 없응께로 요로코롬 혀갖고는 느그 거시기들이 씨부리고 싶은 것이 있어도 그 뜻을 거시기 헐 수 없응께 허벌나게 깝깝허지 않겄어? 그렇고롬혀서 나가 새로 스물여덟자를 거시기했응께 느그들은 수월허니 거시기 혀부러갖고 날마동 씀시롱 편하게 살어부러라.”

(훈민정음 전라도 버전 문장)

  1.%20%ED%8C%9C%ED%94%8C%20(2).jpeg?inlin

위 글은 훈민정음과 원본과 해설문인데 늘샘 변상호 극작가와 만나면 자주 읊조리는 문장이다.

 

충청지역과 대전권에서 영원한 소년으로 불리며 오로지 한글사랑만을 80여년 외치는 변상호 극작가의 담백한 글을 담은 책 행복한 여백이 오늘의 문학사에서 239쪽 분량으로 출간되어 전국 서점가에서 시나브로 독자와 만나고 있다.

 

얼마 전 필자가 강의하고 있는 중부대 외국인 유학생 한국어연구반에 초대된 늘샘은 이렇게 특강을 했다.

 

  “여러분 반가워요. 멀리 중국, 우즈베키스탄, 베트남에서 우리 한글을 배우러 와주어 고마워요. 외국인 유학생의 가장 효과적인 한국어 공부 방법은 상대방과 대화입니다. 서로 하고픈 말을 자주 주고받는 것이 좋다. 또 방송매체를 통한 듣기 연습과 드라마와 K-POP을 따라 부르는 것도 좋습니다. 이 밖에 일기쓰기 연습과 맞춤법과 문법 공부, 생활 속 읽기 연습을 부지런히 해야 합니다.”

    2.%20%ED%8C%9C%ED%94%8C.jpeg?inlineConte

  그러면서 한글사랑에 대한 이야기도 빼놓치 않았다.

 

  “우리의 한글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아름답고 독특한 문자입니다. 세계의 언어사를 살펴 볼 때 한글만큼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문자도 없습니다. 한글 훈민정음 창제는 144312월 세종대왕이 공포하였지요. 이어 14469월에 훈민정음의 원리와 사용법을 책으로 만들었습니다. 이 날이 양력으로 109일 오늘날의 한글날입니다. 지구촌에서 가장 이상적인 알파벳 한글을 잘 배워 21세기 글로벌시대 다문화시대와 함께 하세요.”

올해 80세를 넘기는 영원한 소년 변상호 극작가는 영원히 마르지 않고 흐르는 것이 바로 우리의 한글이라며 아호(雅號)늘샘이라고 지었다고 한다.

    %EB%B3%80%EC%83%81%ED%98%B8%20%EB%AA%85%

  늘샘은 대전에서 성장하여 대전 원동초동초와 한밭중, 국립 대전사범학교 졸업하고 곧장 초등학교 교사생활을 시작하여 33년의 긴 교육의 여정속에서 한글과 글짓기 사랑으로 80여년을 살아왔으며, 앞으로도 100세까지 이 일은 멈추지 않고 늘 샘물로 흐르리라고 건필을 다지고 있다.

Scan_20180305_181058.jpg?inlineContentTy%EB%B3%80%EC%83%81%ED%98%B8.jpg?inlineCoScan_20180305_181246.jpg?inlineContentTy


                                                        (대전중구문학회 회장)



대한민국 중원땅 한밭벌 문인산방에서 나은 김우영 작가


(35005)대전광역시 중구 천근로 50-5
손에 들고 다니는 목소리 010-6477-1744
편지통 siin7004@hanmail.ne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 수필 영원한 소년 변상호 극작가의 한글사랑 80년『행복의 여백』 한국김우영작가 2018-03-06 657  
179 기타 2018년 대전문화재단 문예진흥기금 300만원 지원결정 안내 한국김우영작가 2018-03-01 903  
178 수필 『사랑이』는 참된 친구이자, 아내! 한국김우영작가 2018-02-27 1012  
177 기타 김인환 시인 출판기념회 안내 한국김우영작가 2018-02-21 927  
176 기타 2018년 한국해외문화교류회 정기총회 및 신년회 행사 진행 프로그램 한국김우영작가 2018-01-23 770  
175 기타 2018년 대전『인생과 문학시대』운영계획 한국김우영작가 2018-01-16 797  
174 시. <신년시> 평창설원에 태극깃발을 드높이 달자! [1] 오정방 2018-01-12 604 1
173 수필 중부대 한국어학과 최태호 교수님의『교육이 답이다!』 한국김우영작가 2018-01-11 826  
172 시. 미국지회 la 석정희 시인의 2018신년 축시 한국김우영작가 2018-01-10 856  
171 평론 - 호주국 장형철 시집 『인생의 미분』작품해설(200자 원고지 44매) 한국김우영작가 2018-01-05 922  
170 기타 한국문화해외교류협회 2018년 국내․외 지회 네트워크 운영 활력 한국김우영작가 2018-01-03 757  
169 기타 2018년 국내․외 지회 담당제 운영 한국김우영작가 2018-01-02 660  
168 수필 김우영 작가 자원봉사 대전광역시『2017년 영예의 銅章』수상 한국김우영작가 2017-12-29 603  
167 수필 한국김우영작가 2017-12-27 815  
166 수필 다시 시작하는 ‘사랑이의 삶’ 한국김우영작가 2017-12-24 756  
165 시. - 손혁건 시인의 시집 한국김우영작가 2017-11-20 892  
164 수필 ㅡ 이 계절 눈물로 부르는 노래 한국김우영작가 2017-11-12 1197  
163 수필 물길 막는 낙엽은 되지 말아야 한국김우영작가 2017-11-11 831  
162 기타 사랑이 쓰러졌다 한국김우영작가 2017-11-09 715  
161 시. [김우영 작가의 문화산책] 미국 LA 석정희 시인의 『아버지 집은 따뜻했네』 한국김우영작가 2017-11-05 1106  

회원:
33
새 글:
0
등록일:
2015.07.28

오늘 조회수:
0
어제 조회수:
1
전체 조회수:
1,015,290

오늘 방문수:
0
어제 방문수:
1
전체 방문수:
325,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