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으로 가는 길/은파

조회 수 13 추천 수 0 2022.01.25 00:29:26

봄으로 가는 길/은파 오애숙

 

봄으로 가는 길한 목 

네게서 벗어나는 것이 

이토록 힘에 겨운 것인지 

예전엔 미처 몰랐네요 

 

사노라면 여울목 만나 

어리둥절하나 어쩔 수 없이 

휩싸이다 만신창 된 기억들 

휘도라 선 세월의 뒤안길 

 

섣달 그믐달 보면서 

*광해군 8년 섣달 [그믐밤의 

서글픔, 그 까닭 뭔가]의 질문 

가슴에 부메랑 되기에 

 

*인생은 부싯돌의 불처럼 

짧아 뜬 구름 같은 인생살이 

쉽게 늙어 가나 한 번 간 젊음은 

다시 돌아오지 않지만 

 

늪에 갇힌 현실의 동면 

화사한 만추 풍광의 단풍이 

이별 고하면 더 단단 한 뿌리 

깊이 박히는 자연 이치에 

 

허물어 가는 인생이나 

겸허히 기다림의 달인 되어 

새봄의 향그럼 음미해 봅니다 

아직 동면, 늪에 있지만

 

계절은 소슬바람과 돌풍

하늬 바람으로 고옵게 물들여

양지 녘 봄햇살로 고목 위에서

홍매화 미소하고 있기에

 

 


오애숙

2022.02.23 12:33:15
*.243.214.12

색다른 광해군의 과거시험문제> 섣달 그믐밤이 되면 서글퍼지는 이유가 무엇인가. 이에 대해 논하라

광해군 책문
[섣달 그믐밤이 되면 서글퍼지는 이유가 무엇인가. 이에 대해 논하라]

(책문(策問)이란, 과거시험에는 문과,무과,잡과가 있다. 문과는 다시 소과와 대과로 나뉜다 대과는 소과를 거친 생원이나 진사 또는 성균관 유생들이 치르는 본격적인 시험이다. 대과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식년시, 증광시, 알성시등 별시가 있다. 식년시나 별시의 최종시험에서는 반드시 책문을 지어 합격해야한다.  대과의 초시와 복시를 거쳐 수많은 인재들 가운데 33명이 남는다 이들은 더 이상 탈락하지 않지만 등수만 결정될 뿐이다. 이들이 왕 앞에서 치르는 최종시험인 전시에서 치르는 시험이다 )

1616년 광해군 8년 증광회시에 광해군이 과거 시험 합격자에게 이렇게 묻는다.
"섣달 그믐밤의 서글픔, 그 까닭은 무엇인가?"
가면 반드시 돌아오니 해이고, 밝으면 반드시 어두워지니 밤이로다. 그런데 섣달 그믐밤에 꼭 밤을 지새는 까닭은 무엇인가?
 어렸을 때는 새해가 오는 것을 다투어 기뻐하지만, 점차 나이를 먹으면 모두 서글픈 마음이 드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세월이 흘러감을 탄식하는 데 대한 그대들의 생각을 듣고 싶다.
대책.
"인생은 부싯돌의 불처럼 짧습니다".
이명한(1595~ 1645, 선조 28년~ 인조23년)
50세의 나이로 돌아가신 이명한.  임금의 질문에 이렇게 말을 했다.
"인생은 부싯돌의 불처럼 짧습니다".
"밝음은 어디로 사라지고, 어둠은 어디에서 오는 것인가? 잠깐 사이에 세월은 흐르고, 그 가운데 늙어가는구나!" 한 것은 바로 위응물의 말입니다. 뜬구름 같은 인생이 어찌 이리도 쉽게 늙는단 말입니까?
하루가 지나가도 사람이 늙는데, 한 해가 지나갈 때야 말할 것도 없습니다. 네 마리 말이 끌 듯 빨리 지나가는 세월을 한탄하고, 우산에 지는 해를 원망한 것도 유래가 오래 되었습니다.
한 해가 막 끝나는 날을 섣달 그믐날(除日)이라 하고, 그 그믐날이 막 저물어 갈 때를 그믐날 저녁(除夕)이라고 합니다. 네 계절이 번갈아 갈리고 세월이 오고 가니, 우리네 인생도 끝이 있어 늙으면 젊음이 다시 오지 않습니다. 역사의 기록도 믿을 수 없고, 인생은 부싯돌의 불처럼 짧습니다.
젊었을 때 품었던 꿈은 아직 다 이루지 못했건만 힘겹게 살아온 인생을 돌아보니, 늙음이 안타깝고 흐르는 세월이 안타까워 잠들지 못했던 것입니다.

인생은 구렁텅이에 빠진 뱀과 같고, 백년 세월도 훌쩍  지나갑니다. 지난날을 돌이키면 괴로움만 남는데 살아갈 날은 얼마 남지 않았으니 , 글로 표현하자니 모두 안타까운 호소일 뿐입니다.

늙은이나 젊은이나 마음은 다 같고, 옛날이나 오늘날이나 날은 다 똑 같은 날입니다. 어릴 때는 폭죽을 터뜨리며 악귀를 쫓는 설날이 가장 좋은 명절이어서, 섣달 그믐날이 빨리 오기를 손꼽아 기다립니다. 그러나 점점 나이가 들어 의지와 기력이 떨어지면 눈 깜짝할 사이에 지나가는 세월을 묶어둘 수도 붙잡아 둘 수도 없습니다. 날은 저물고 길은 멀건만 수레를 풀어 쉴 곳은 없고, 뜻대로 되지 않는 일이 여덟아홉은 됩디다.

묵은해의 남은 빛이 아쉬워서 아침까지 앉아 있는 것이고, 날이 밝아 오면 더 늙는 것이 슬퍼서 술에 취해 근심을 잊으려는 것입니다. 풍악소리 노랫소리 귀에 그득 울리게 하고, 패를 나누어 노름을 하면서 정신과 의식을 몰두하는 것은 억지로 즐기려는 것일 뿐입니다

몸은 성한데 운이 다한 사람도 있고, 재주는 많은데 기회를 얻지 못한 사람도 있습니다. 객지에서 벼슬하는 사람은 쉽게 원망이 생기고 뜻있는 선비는 유감이 많습니다. 맑은 가을날에 떨어지는 나뭇잎도 두려운 데, 섣달 그믐밤을 지새우는 감회는 당연히 배가 될 것입니다. 그러나 사람이 세월 가는 것을 안타까워하는 것이지, 세월이 사람 가는 것을 안타까워하지는 않습니다. 옛날이나 오늘날이나 세월 가는 것을 안타까워하는 것은 부질없는 생각일 뿐입니다.

"세월은 이처럼 빨리 지나가고, 나에게 머물러 있지 않는다. 죽을 때가 되어서도 남들에게 칭송 받을 일을 하지 못함을 성인은 싫어했다. 살아서는 볼 만한 것이 없고 죽어서는 전해지는 것이 없다면, 초목이 시드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무지한 후진을 가르쳐 인도하고, 터득한 학문을 힘써 실천하며, 등불을 밝혀 밤늦도록 꼿꼿이 앉아, 마음을 한 곳에 모으기를 일평생 하십시오. 그렇게 하면 깊이 사색하고 반복해서 학습하게 되어, 장차 늙는 것도 모른 채 때가 되면 순순히 죽음을 받아들일 것이니, 마음에 무슨 유감이 있겠습니까?"--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로다]-불러 옴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추천 수
5868 성시) 감사해요 [1] 오애숙 2022-02-16 50  
5867 봄바람 꽃바람 오애숙 2022-02-13 5615  
5866 유채꽃 필 때면 [1] 오애숙 2022-02-13 32  
5865 목선/은파 오애숙 오애숙 2022-02-10 17  
5864 그 어린 추억의 향그럼 가슴에 머금고/은파 오애숙 2022-02-09 11  
5863 우리 행복하자/은파 오애숙 [1] 오애숙 2022-02-08 167 1
5862 --시--이별의 발라드 [2] 오애숙 2022-02-04 102 1
5861 --시--입춘(봄을 기다리는 마음) 오애숙 2022-02-03 16 1
5860 --시--2월의 문턱에서 [2] 오애숙 2022-02-02 19  
5859 설악, 상고대의 환희 [1] 오애숙 2022-02-02 9  
5858 새해엔 [1] 오애숙 2022-01-31 11  
5857 평화로운 바닷가/은파 [1] 오애숙 2022-01-31 6  
5856 바닷가 이야기/은파 오애숙 2022-01-31 5  
5855 그리움의 발라드 오애숙 2022-01-30 13  
5854 새해 결심 오애숙 2022-01-30 10  
5853 4월의 봄/은파 오애숙 오애숙 2022-01-30 7  
5852 봄님 소식에 오애숙 2022-01-30 28  
5851 인생사 오애숙 2022-01-25 14  
5850 봄 나드리/은파 오애숙 오애숙 2022-01-25 17  
» 봄으로 가는 길/은파 [1] 오애숙 2022-01-25 13  

회원:
30
새 글:
0
등록일:
2014.12.07

오늘 조회수:
35
어제 조회수:
65
전체 조회수:
3,121,709

오늘 방문수:
32
어제 방문수:
51
전체 방문수:
996,0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