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록예찬/ 이양하

조회 수 4084 추천 수 1 2017.04.24 06:50:00

DSC_2269 ok.jpg


 
                                                                        신록예찬(新綠禮讚)

 

                                                                                                               - 이양하(李敭河)



   봄, 여름, 가을, 겨울 두루 사시(四時)를 두고 자연이 우리에게 내리는 혜택에는 제한이 없다. 그러나 그 중에도 그 혜택을 풍성히 아낌없이 내리는 시절은 봄과 여름이요, 그 중에도 그 혜택을 가장 아름답게 나타내는 것은 봄, 봄 가운데도 만산(萬山)에 녹엽(綠葉)이 싹트는 이 때일 것이다. 눈을 들어 하늘을 우러러보고 먼 산을 바라보라. 어린애의 웃음같이 깨끗하고 명랑한 5월의 하늘, 나날이 푸르러 가는 이 산 저 산, 나날이 새로운 경이를 가져오는 이 언덕 저 언덕, 그리고 하늘을 달리고 녹음을 스쳐 오는 맑고 향기로운 바람― 우리가 비록 빈한하여 가진 것이 없다 할지라도, 우리는 이러한 때 모든 것을 가진 듯하고, 우리의 마음이 비록 가난하여 바라는 바, 기대하는 바가 없다 할지라도, 하늘을 달리어 녹음을 스쳐 오는 바람은 다음 순간에라도 곧 모든 것을 가져올 듯하지 아니한가?


  오늘도 하늘은 더할 나위 없이 말고, 우리 연전(延專) 일대를 덮은 신록은 어제보다도 한층 더 깨끗하고 신선하고 생기 있는 듯하다. 나는 오늘도 나의 문법 시간이 끝나자, 큰 무거운 짐이나 벗어 놓은 듯이 옷을 훨훨 떨며, 본관 서쪽 숲 사이에 있는 나의 자리를 찾아 올라간다. 나의 자리래야 솔밭 사이에 있는, 겨우 걸터앉을 만한 조그마한 소나무 그루터기에 지나지 못하지마는, 오고 가는 여러 동료가 나의 자리라고 명명(命名)하여 주고, 또 나 자신도 하룻동안에 가장 기쁜 시간을 이 자리에서 가질 수 있으므로, 시간의 여유가 있을 때마다 나는 한 특권이나 차지하는 듯이, 이 자리를 찾아 올라와 앉아 있기를 좋아한다.


  물론, 나에게 멀리 군속(群俗)을 떠나 고고(孤高)한 가운데 처하기를 원하는 선골(仙骨)이 있다거나, 또는 나의 성미가 남달리 괴팍하여 사람을 싫어한다거나 하는 것은 아니다. 나는 역시 사람 사이에 처하기를 즐거워하고, 사람을 그리워하는 갑남을녀(甲男乙女)의 하나요, 또 사람이란 모든 결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역시 가장 아름다운 존재의 하나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또, 사람으로서도 아름다운 사람이 되려면 반드시 사람 사이에 살고, 사람 사이에서 울고 웃고 부대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러한 때― 푸른 하늘과 찬란한 태양이 있고, 황홀(恍惚)한 신록이 모든 산, 모든 언덕을 덮는 이 때, 기쁨의 속삭임이 하늘과 땅, 나무와 나무, 풀잎과 풀잎 사이에 은밀히 수수(授受)되고, 그들의 기쁨의 노래가 금시라도 우렁차게 터져 나와, 산과 들을 흔들 듯한 이러한 때를 당하면, 나는 곁에 비록 친한 동무가 있고, 그의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다 할지라도, 이러한 자연에 곁눈을 팔지 않을 수 없으며,그의 기쁨의 노래에 귀를 기울이지 아니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또, 어떻게 생각하면, 우리 사람이란― 세속에 얽매여, 머리 위에 푸른 하늘이 있는 것을 알지 못하고, 주머니의 돈을 세고, 지위를 생각하고, 명예를 생각하는 데 여념이 없거나, 또는 오욕 칠정(汚辱七情)에 사로잡혀, 서로 미워하고 시기하고 질투하고 싸우는 데 마음에 영일(寧日)을 가지지 못하는 우리 사람이란, 어떻게 비소(卑小)하고 어떻게 저속한 것인지, 결국은 이 대자연의 거룩하고 아름답고 영광스러운 조화를 깨뜨리는 한 오점(汚點) 또는 한 잡음(雜音)밖에 되어 보이지 아니하여, 될 수 있으면 이러한 때를 타서, 잠깐 동안이나마 사람을 떠나, 사람의 일을 잊고, 풀과 나무와 하늘과 바람과 한가지로 숨쉬고 느끼고 노래하고 싶은 마음을 억제할 수가 없다.


  그리고 또, 사실 이즈음의 신록에는, 우리의 마음에 참다운 기쁨과 위안을 주는 이상한 힘이 있는 듯하다. 신록을 대하고 있으면, 신록은 먼저 나의 눈을 씻고, 나의 머리를 씻고, 나의 가슴을 씨고, 다음에 나의 마음의 구석구석을 하나하나 씻어낸다. 그리고 나의 마음의 모든 티끌― 나의 모든 욕망(欲望)과 굴욕(屈辱)과 고통(苦痛)과 곤란(困難)이 하나하나 사라지는 다음 순간, 별과 바람과 하늘과 풀이 그의 기쁨과 노래를 가지고 나의 빈 머리에, 가슴에, 마음에 고이고이 들어앉는다. 말하자면, 나의 흉중(胸中)에도 신록이요, 나의 안전(眼前)에도 신록이다. 주객 일체(主客一體), 물심일여(物心一如)라 할까, 현요(眩耀)하다 할까, 무념무상(無念無想), 무장무애(無障無 ), 이러한 때 나는 모든 것을 잊고, 모든 것을 가진 듯이 행복스럽고, 또 이러한 때 나에게는 아무런 감각의 혼란(混亂)도 없고, 심정의 고갈(枯渴)도 없고, 다만 무한한 풍부의 유열(愉悅)과 평화가 있을 따름이다.  그리고 또, 이러한 때에 비로소 나는 모든 오욕(汚辱)과 모든 우울(憂鬱)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 있고, 나의 마음의 상극(相剋)과 갈등(葛藤)을 극복하고 고양(高揚)하여, 조화 있고 질서 있는 세계에까지 높인 듯한 느낌을 가질 수 있다.


  그러기에, 초록(草綠)에 한하여 나에게는 청탁(淸濁)이 없다. 가장 연한 것에서 가장 짙은 것에 이르기까지 나는 모든 초록을 사랑한다. 그러나 초록에도 짧으나마 일생이 있다. 봄바람을 타고 새 움과 어린 잎이 돋아 나올 때를 신록의 유년이라 한다면, 삼복 염천(三伏炎天) 아래 울창한 잎으로 그늘을 짓는 때를 그의 장년 내지 노년이라 하겠다. 유년에는 유년의 아름다움이 있고, 장년에는 장년의 아름다움이 있어 취사(取捨)하고 선택할 여지가 없지마는, 신록에 있어서도 가장 아름다운 것은 역시 이즈음과 같은 그의 청춘 시대― 움 가운데 숨어 있던 잎의 하나하나가 모두 형태를 갖추어 완전한 잎이 되는 동시에, 처음 태양의 세례를 받아 청신하고 발랄한 담록(淡綠)을 띠는 시절이라 하겠다. 이 시대는 신록에 있어서 불행히 짧다. 어떤 나무에 있어서는 혹 2, 3주일을 셀 수 있으나, 어떤 나무에 있어서는 불과 3, 4일이 되지 못하여, 그의 가장 아름다운 시절은 지나가 버린다. 그러나 이 짧은 동안의 신록의 아름다움이야말로 참으로 비할 데가 없다. 초록이 비록 소박(素朴)하고 겸허(謙虛)한 빛이라 할지라도, 이러한 때의 초록은 그의 아름다움에 있어, 어떤 색채에도 뒤서지 아니할 것이다. 예컨대, 이러한 고귀한 순간의 단풍(丹楓) 또는 낙엽송(落葉松)을 보라. 그것이 드물다 하면, 이즈음의 도토리, 버들, 또는 임간(林間)에 있는 이름 없는 이 풀 저 풀을 보라 그의 청신한 자색(姿色), 그의 보드라운 감촉, 그리고 그의 그윽하고 아담(雅淡)한 향훈(香薰), 참으로 놀랄 만한 자연의 극치(極致)의 하나가 아니며, 또 우리가 충심으로 찬미하고 감사를 드릴 만한 자연의 아름다운 혜택의 하나가 아닌가? <끝>



요점정리

  이글은  주정적. 관조적. 낭만적. 예찬적. 사색적. 감각적. 묘사적 성격을 지닌 경수필이다. 문체는 만연체. 우유체에 해당한다.

  5월의 신록을 통해서 신록의 혜택과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있다.  담담한 필치의 사색적인 글로, 인간과 자연을 조감하면서 인생을 이야기한 명상적  긍정적인 삶의 태도가 드러나며, 서정성이 담긴 낭만적인 글로 비유법과 대조법을 구사하여 표현의 묘미를 살렸으며, 자연을 소재로 하여 자연에 몰입하는 친화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작자 이양하 (李敭河 1904∼1963)는


  영문학자·수필가. 평안남도 강서(江西) 출생. 1930년 도쿄제국대학[東京帝國大學(동경제국대학)] 영문과를 졸업했다. 귀국하여 연희전문학교 강사, 경성제국대학 교수를 거쳐 광복 뒤 서울대학교 교수를 지냈다.

  1951년 미국에 건너가 하버드대학에서 영문학을 연구하고, 1953년 예일대학에서 언어학부의 마틴교수와 함께 《한미사전》을 편찬했다. 한편 C. 램·F. 베이컨 등의 정통 유럽풍의 수필을 도입하고 생활인의 철학과 사색이 담긴 수필을 발표했으며, 권중휘(權重輝)와 같이 《포켓영한사전》을 펴내 영미(英美) 어문학 보급에 기여했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학장서리, 학술원 회원 등을 지냈다. 저서에 수필집 《이양하수필집》 《나무》, 시집 《마음과 풍경》, 소설 《백조의 노래》 등이 있고, 역서 《시와 과학》, 논문 <루소와 낭만주의> <제임스 조이스> 등 다수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25 인간은 생각하는 갈대이다 / 파스칼 file 홍용희 2017-06-13 3429 2
24 시일야방성대곡 / 장지연 file 홍용희 2017-05-07 743 1
23 생활인의 철학/ 김진섭 file 홍용희 2017-04-30 2619 2
» 신록예찬/ 이양하 file 홍용희 2017-04-24 4084 1
21 고독에의 향수 / 안병욱 file 홍용희 2017-04-09 1280 1
20 은근과 끈기 / 조윤제 file 홍용희 2017-04-02 1592 1
19 딸깍발이 file 홍용희 2017-03-19 796 2
18 늙은 쥐의 꾀 / 고상안 file 홍용희 2017-03-12 1294 2
17 윤오영/ 부끄러움 file 홍용희 2017-03-05 2719 1
16 수필/ 피 천 득 file 홍용희 2017-02-26 878 1
15 산정무한 / 정 비 석 file 홍용희 2017-02-19 1218 1
14 웃음설 / 양주동 file 홍용희 2017-02-05 2105 1
13 페이터의 산문 / 이 양 하 홍용희 2017-01-29 6577 1
12 수필에 대하여 - 형식, 내용에 따른 분류 / 강정실 file 홍용희 2017-01-22 5403 1
11 백설부 / 김진섭 file 홍용희 2017-01-15 1995 1
10 한국의 미 / 김원룡 file 홍용희 2017-01-08 2658 1
9 설 / 전숙희 file 홍용희 2017-01-01 2354 2
8 한 눈 없는 어머니 / 이은상 file [1] 홍용희 2016-12-25 2471 1
7 청춘예찬 / 민태원 file 홍용희 2016-12-18 1220 1
6 지란지교를 꿈꾸며 / 유안진 file 홍용희 2016-12-11 5094 1

회원:
24
새 글:
0
등록일:
2016.08.25

오늘 조회수:
65
어제 조회수:
24
전체 조회수:
368,314

오늘 방문수:
32
어제 방문수:
15
전체 방문수:
166,0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