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쓴이 : 오애숙     날짜 : 19-07-27 14:53     조회 : 310    
 
    · 와 이리 덥노
 
    · 저자(시인) : 은파 오애숙
 
    · 시집명 : *http://kwaus.org/asoh/asOh
 
    · 출판연도(발표연도) : *
 
    · 출판사명 : *
 
와 이리 덥노 (중복 2)/은파 오애숙 


일년 중 가장 더운 한여름 삼복더위 
더위를 이겨내라 빙표로 얼음탔던 
한국의 벼슬아치들 장빙고의 풍속도 

서민들 산간계곡 들어가 탁족하며 
해안엔 더위속에 백사장 모래찜질 
더위와 전쟁을 이찌 이겨냈나 더 궁금 

복날엔 개장국을 끓여서 조양한다 
개장국 먹으면서 땀내면 보허한다 
황구를 일등품으로 여기었던 그시절 

하지만 개고기를 먹으면 재수없다 
삼계탕 대신하여 인삼과 대추찹쌀 
넣어서 즐기었다는 풍속도에 한표를 

왜이리 날씨덥노 했더니 중복일세 
지혜로 이 시기를 넘기려 보신하네 
꿩대신 닭이라했지 삼계탕에 몸보신 

복날엔 보신음식 피서로 이겨보세 
집에만 있지말고 시원한 수박 먹고 
간단한 산책으로도 건강할수 있으니


 
오애숙   19-07-27 18:38
co_point.gif
ㅇ 초복 [初伏] 

삼복(三伏)에서 첫 번째 복(伏). 하지가 지난 뒤 셋째 경일(庚日)에 든다. 

삼복의 첫째 복으로 여름의 시초를 말한다. 하지 이후 제3경(庚)일을 초복이라 하는데, 대략 7월 11일부터 7월 19일 사이에 온다. 이 시기는 소서(小暑)와 대서(大暑) 사이가 되므로 더위가 본격적으로 오는 시기이다. 



ㅇ 중복 [中伏] 

삼복(三伏)의 하나. 하지가 지난 뒤 네 번째 경일(庚日)에 든다. 

하지 후 제4경일을 말한다. 복 또는 경은 더운 시기를 나타내는 말이다. 이에 대하여 하지 후 제3경일을 초복, 입추 후 제1경일을 말복이라고 한다. 중복과 말복 사이는 대개 10일 간격이지만, 20일을 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를 월복(越伏)이라 한다. 복(伏) 또는 경(庚)은 더운 시기를 나타내는 말이다. 



ㅇ 말복 末伏 

삼복에서 마지막 복. 입추가 지난 뒤의 첫 번째 경일(庚日)을 이른다.
 
     
오애숙   19-07-27 18:39
co_point.gif
1.  삼복의 어원 
삼복은 음력 6월에서 7월 사이에 들어 있는 속절(俗節)이다. 하지 후 셋째 경일(庚日)을 초복, 넷째 경일(庚日)을 중복, 입추 후 첫 경일(庚日)을 말복이라 하여, 이를 삼경일(三庚日) 혹은 삼복 이라 한다. 복날은 10일 간격으로 오기 때문에 초복과 말복까지는 20일이 걸린다. 그러나 해에 따라서 중복과 말복 사이가 20일 간격이 되기도 하는데, 이를 월복(越伏)이라고 한다. 복의 어원에 대해서는 신빙할 만한 설이 없다. 다만 최남선의《조선상식(朝鮮常識)》에 의하면 '서기제복(暑氣制伏)'이라는 뜻으로 풀이되고 있다. 

  

2.  삼복의 유래 
복은 원래 중국의 속절로 진(秦)·한(漢) 이래 매우 숭상된 듯 하다. 조선 후기에 간행된《동국 세시기》의 기록에 의하면 "상고하면《사기(史記)》에 이르기를 진덕공(秦德公) 2년에 처음으로 삼복 제사를 지냈는데, 성 4대문 안에서는 개를 잡아 충재(蟲災)를 방지했다고 하였다."라는 내용이 전한다. 이로 보아 삼복은 중국에서 유래된 속절로 추측된다. 

  

 
 

btn_search_list.gif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3168 그댄 아나 내 마음을 은파 오애숙 오애숙 2019-08-29 33  
3167 [연시조] 한여름 열돔으로 은파 오애숙 [연시조] 한여름 열돔으로 은파 오애숙 오애숙 2019-08-29 22  
3166 한여름밤 추억 은파 오애숙 오애숙 2019-08-29 40  
3165 그리움 은파 오애숙 오애숙 2019-08-29 23  
3164 [연시조] 그리움 은파 오애숙 오애숙 2019-08-29 32  
3163 와이리 좋노/은파 오애숙 오애숙 2019-08-29 29  
3162 승전고/은파 오애숙 오애숙 2019-08-29 31  
3161 8월/은파 오애숙 오애숙 2019-08-29 31  
3160 8월에는 은파 오애숙 오애숙 2019-08-29 46  
3159 8월의 희망 노래 은파 오애숙 오애숙 2019-08-29 30  
3158 연시조 8월의 소나기 은파 오애숙 오애숙 2019-08-29 24  
3157 8월의 소나기 은파 오애숙 오애숙 2019-08-29 19  
» 와 이리 덥노 (중복 2)/은파 오애숙 오애숙 2019-08-29 25  
3155 물망초 연가(몰래 사랑)/은파 오애숙 오애숙 2019-08-29 24  
3154 추억의 밤하늘/은파 오애숙 오애숙 2019-08-29 23  
3153 추억의 그림자 은파 오애숙 오애숙 2019-08-29 23  
3152 잊어야 할 사랑인 데도 은파 오애숙 오애숙 2019-08-29 20  
3151 가슴에서만 피는 꽃 은파 오애숙 2019-08-29 19  
3150 사랑은 은파 오애숙 오애숙 2019-08-29 21  
3149 가슴에 피어나는 추억 하나 은파 오애숙 오애숙 2019-08-29 33  

회원:
30
새 글:
0
등록일:
2014.12.07

오늘 조회수:
20
어제 조회수:
47
전체 조회수:
3,121,582

오늘 방문수:
15
어제 방문수:
37
전체 방문수:
995,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