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온타케산 화산 폭팔

조회 수 13850 추천 수 1 2014.09.28 20:00:26

PYH2014092800100034000_P2.jpg



   27일(현지시간) 일본 나가노(長野)현과 기후(岐阜)현에 걸친 온타케산(御嶽山·3천67m)이 분화활동을 보인 가운데 등산객들이 화산재 등으로 자욱한 산을 내려오고 있다.

  재가동임박 센다이원전 주변에 활화산군은 예측 어려움도 우려 더해  최소 수십 명의 사상자를 낸 일본 나가노(長野)현 온타케(御嶽山) 산 분화를 계기로 일본 원전 재가동 정책의 위험성이 재차 드러났다.  2011년 3월11일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으로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에서 최악의 사고가 발생하면서 두드러진 '지진 변수'에 이어 '화산 변수'에 대한 불안이 더욱 높아지게 된 것이다.

  특히 재가동 절차가 진행되고 있는 가고시마(鹿兒島)현 센다이(川內) 원전 주변에 사는 주민들에게서 불안의 목소리가 높아졌다고 교도통신이 29일 보도했다.

   후쿠시마 사고의 여파로 현재 일본의 모든 원전이 가동을 중단한 가운데 '안전이 확인된 원전은 재가동한다'는 방침을 세운 아베 신조(安倍晋三) 내각은 센다이원전에 대해 '안전 합격증'을 발부한 상태다. 따라서 센다이원전은 이르면 내년 초 재가동될 것으로 예상한다.

하지만, 작년 8월 가고시마현 내 활화산 사쿠라지마(櫻島)가 분화한 것을 포함해 크고 작은 화산 폭발이 잇따르는 활화산군이 센다이 원전 주변에 자리 잡고 있다는 점을 우려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PYH2014092800120034000_P2.jpg


   원전이 세워지기 전, 원전 주변에서 대규모 화산 폭발이 발생했을 때 원전부지가 들어서 있는 지역까지 화쇄류(火碎流, 화산 폭발 시 화산재와 고온의 화산가스가 일체가 돼 흘러내리는 것)가 도달한 적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원자력규제위원회는 분화가 미칠 영향은 적다고 판단한 센다이원전 운영사 규슈(九州)전력의 자체 평가가 타당하다고 판단했다.

   센다이 원전의 안전을 우려하는 쪽에서는 최고의 재해 예측 기술을 자랑하는 일본 당국이 이번 온타케 화산 분화를 예측하지 못한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1990년에는 나가사키(長崎)현 운젠다케(雲仙岳) 화산이 분화해 41명이 사망하고 3명이 실종된 이후 일본은 예측기술을 개발했지만, 마그마가 상승해서 발생한 분화에 비해 이번처럼 마그마가 지하수를 가열함으로써 발생한 '수증기 폭발'은 상대적으로 예측이 어렵다는 지적이다.

센다이원전에 반대하는 소송을 진행 중인 모리나가 아키코(森永明子)씨는 교도통신의 취재에 "온타케 산 분화를 통해 화산 분화는 예측이 곤란하다는 점을 재차 실감했다"며 "징조가 없는 상태에서 분화한 경우 규슈전력이나 당국으로서는 대응 방법이 없는 것 아니냐"고 꼬집었다. 

   또 센다이원전 증설에 반대하는 단체를 이끄는 노로 마사카즈(野呂正和)씨는 "규슈전력은 화산을 감시하고, 징조가 있으면 핵연료를 꺼내겠다고 하지만, 꺼내는데는 시간이 걸린다"며 온타케산처럼 뚜렷한 징조 없이 갑자기 폭발하면 대책이 없다고 지적했다.

화산국가인 일본에는 후지(富士)산 등 활화산이 110개나 되는 등 전 세계 활화산의 7%가 집중돼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2035 누렇게 변해가는 인도의 타지마할 file 이숙이 2014-12-16 11260 1
2034 타계한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마르케스 얼굴 넣기로 file [1] 정순옥 2014-12-17 10688 1
2033 마추픽추 여행기 [1] 정덕수 2014-12-18 10175 2
2032 강가에 얼음접시 등장 file 안지현 2014-12-20 7969 1
2031 원조 산타, '3세기 실존인물 '성 니콜라스' 대주교 file 오애숙 2014-12-20 6994 3
2030 겨울질병을 예방하는 두 가지 방법 file 정덕수 2014-12-21 7220 1
2029 윤두서 자화상 file 지상문 2014-12-21 17716 2
2028 이중섭의 그림편지 file 정순옥 2014-12-22 12364 1
2027 남극 펭귄 위기 file 제봉주 2014-12-24 6598 2
2026 2014년 올해의 책 정덕수 2014-12-24 6653 3
2025 스마트폰 사용이 사람의 뇌까지 바꾼다! file 오애숙 2014-12-24 7173 2
2024 안티스트레스 file 오애숙 2014-12-26 8810 2
2023 왕비 외모의 간택기준에 file 오애숙 2014-12-26 10031 2
2022 우리(시) file 이숙이 2014-12-27 7316 1
2021 허니버터칩도 결국은 과자 file 정덕수 2014-12-29 8736 1
2020 시간의 승자가 되는 법 file 이병호 2014-12-29 9003  
2019 올해 세계 최고 인기 단어, 올해 세계 최고 인기 단어 file [9] 강정실 2014-12-30 25786 5
2018 2015년 을미년 청양의 해 file 김평화 2014-12-31 8608 1
2017 요세미티 국립공원 file [1] 정덕수 2015-01-02 11033 1
2016 독도와 서도 사이 바다 위에 초대형 태극기 file [1] 정덕수 2015-01-02 1053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