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온타케산 화산 폭팔

조회 수 13839 추천 수 1 2014.09.28 20:00:26

PYH2014092800100034000_P2.jpg



   27일(현지시간) 일본 나가노(長野)현과 기후(岐阜)현에 걸친 온타케산(御嶽山·3천67m)이 분화활동을 보인 가운데 등산객들이 화산재 등으로 자욱한 산을 내려오고 있다.

  재가동임박 센다이원전 주변에 활화산군은 예측 어려움도 우려 더해  최소 수십 명의 사상자를 낸 일본 나가노(長野)현 온타케(御嶽山) 산 분화를 계기로 일본 원전 재가동 정책의 위험성이 재차 드러났다.  2011년 3월11일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으로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에서 최악의 사고가 발생하면서 두드러진 '지진 변수'에 이어 '화산 변수'에 대한 불안이 더욱 높아지게 된 것이다.

  특히 재가동 절차가 진행되고 있는 가고시마(鹿兒島)현 센다이(川內) 원전 주변에 사는 주민들에게서 불안의 목소리가 높아졌다고 교도통신이 29일 보도했다.

   후쿠시마 사고의 여파로 현재 일본의 모든 원전이 가동을 중단한 가운데 '안전이 확인된 원전은 재가동한다'는 방침을 세운 아베 신조(安倍晋三) 내각은 센다이원전에 대해 '안전 합격증'을 발부한 상태다. 따라서 센다이원전은 이르면 내년 초 재가동될 것으로 예상한다.

하지만, 작년 8월 가고시마현 내 활화산 사쿠라지마(櫻島)가 분화한 것을 포함해 크고 작은 화산 폭발이 잇따르는 활화산군이 센다이 원전 주변에 자리 잡고 있다는 점을 우려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PYH2014092800120034000_P2.jpg


   원전이 세워지기 전, 원전 주변에서 대규모 화산 폭발이 발생했을 때 원전부지가 들어서 있는 지역까지 화쇄류(火碎流, 화산 폭발 시 화산재와 고온의 화산가스가 일체가 돼 흘러내리는 것)가 도달한 적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원자력규제위원회는 분화가 미칠 영향은 적다고 판단한 센다이원전 운영사 규슈(九州)전력의 자체 평가가 타당하다고 판단했다.

   센다이 원전의 안전을 우려하는 쪽에서는 최고의 재해 예측 기술을 자랑하는 일본 당국이 이번 온타케 화산 분화를 예측하지 못한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1990년에는 나가사키(長崎)현 운젠다케(雲仙岳) 화산이 분화해 41명이 사망하고 3명이 실종된 이후 일본은 예측기술을 개발했지만, 마그마가 상승해서 발생한 분화에 비해 이번처럼 마그마가 지하수를 가열함으로써 발생한 '수증기 폭발'은 상대적으로 예측이 어렵다는 지적이다.

센다이원전에 반대하는 소송을 진행 중인 모리나가 아키코(森永明子)씨는 교도통신의 취재에 "온타케 산 분화를 통해 화산 분화는 예측이 곤란하다는 점을 재차 실감했다"며 "징조가 없는 상태에서 분화한 경우 규슈전력이나 당국으로서는 대응 방법이 없는 것 아니냐"고 꼬집었다. 

   또 센다이원전 증설에 반대하는 단체를 이끄는 노로 마사카즈(野呂正和)씨는 "규슈전력은 화산을 감시하고, 징조가 있으면 핵연료를 꺼내겠다고 하지만, 꺼내는데는 시간이 걸린다"며 온타케산처럼 뚜렷한 징조 없이 갑자기 폭발하면 대책이 없다고 지적했다.

화산국가인 일본에는 후지(富士)산 등 활화산이 110개나 되는 등 전 세계 활화산의 7%가 집중돼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2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2035 옐로스톤 국립공원의 지하에서 거대 마그마 저장소가 새로 발견 file 웹관리자 2015-04-25 14112 1
2034 공룡 멸종 이유는 소행성 충돌과 이어진 화산폭발 file 석송 2015-10-02 14056 1
2033 국내서 41년 만에 발견된 멸종위기종 file [1] 엄경춘 2015-02-12 13978 3
2032 100년 前 그모습 부활한 대한제국.. 덕수궁 석조전 원형 복원 10월 13일 재개관 file 웹관리자 2014-10-07 13972 1
» 일본 온타케산 화산 폭팔 file 웹관리자 2014-09-28 13839 1
2030 대저택을 마다하고 평생 방랑하며 산 '톨스토이'의 삶 file 제봉주 2015-02-06 13828 2
2029 자갈치 시장의 근황 file [1] 신성철 2015-01-12 13769 1
2028 라스베이거스의 15가지 맛 석송 2015-05-12 13744 1
2027 청록파 시인 [1] 석송 2015-03-08 13383  
2026 사육사도 몰랐다. 밤' 되면 울음소리 내는 기린. file 이숙이 2015-09-19 13344 2
2025 추사 김정희의 묵란도와 향기 file 웹관리자 2015-06-18 13334 3
2024 새 잡는 유리벽… 5년간 3834마리 '비명횡사' file 석송 2015-10-07 13282 2
2023 지구에 다른 태양과 달이 뜨면 신성철 2015-02-05 13223 2
2022 한국 전통음악과 무용의 진수 선보일 것 file 석송 2015-04-02 13214  
2021 가수 김민기 file [1] 석송 2015-04-04 13211 4
2020 전 세계 헤비급 참피언 무하마드 알리 사망 file 웹관리자 2016-06-04 13127 1
2019 서머타임 해제 (Daylight Saving Time Ends) file 홍용희 2017-10-28 13002  
2018 반고흐 풍경화, 717억원에 팔려..낙찰자는 아시아인 file 웹관리자 2015-05-06 12791 3
2017 시베리아서 희귀물질 발견---운석 충돌로 발생 가능성 file 강정실 2017-01-03 12705 1
2016 유럽인 정착 이후 호주 동물 생물 생태계 변화 file 지상문 2015-02-10 12639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