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_2015070101000033100408691_99_20150630213005.jpg

 

                                                                            -  겸재 정선의 ‘인왕제색도’(국보 제216호)


정선의 ‘인왕제색도’에 나오는 병풍바위가 일제강점기 훼손된 사진이 처음으로 공개됐다.

명지대 미술사학과 이태호 교수는 ‘월간 미술’ 7월호에 기고한 글에서 “1939년에 찍은 유리원판(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인왕산 사진에는 당시 미나미 총독이 쓴 ‘동아청년단결’을 비롯한 학무국장의 천황에 대한 맹서 등 바위 글씨가 선명하게 남아 있다”면서 해당 사진을 소개했다.

1939년 인왕산 병풍바위를 찍은 사진에는 ‘황기 2599년(1939) 9월16일’에 ‘조선총독 미나미 지로(南次郞)’가 행서체로 쓴 구호 ‘東亞靑年團結(동아청년단결)’이란 한자 글씨가 선명하다. 당시 경성에서 ‘대일본청년단대회’가 열릴 때 기념각자로 새긴 것으로, 매일신보는 9월17일 ‘천추에 빛날 각자 기공식’이 열렸다고 보도했다. 그 왼편에는 조선총독부 학무국장 시오바라 도키사부로(鹽原時三郞)가 같은 날짜에 천황에 대한 맹서를 작은 글씨로 새겨놓은 것을 볼 수 있다. 바위 글씨를 새긴 사람은 스즈키 긴지로(鈴木銀次郞)로 금강산 구룡폭 암벽에 해강 김규진의 거대한 19m 글씨 ‘미륵불’을 새긴 조각 기술자였다.

이 교수는 “광복 후 암면을 쪼아 글씨들을 제거한 상태지만 유심히 살펴보면 그 흔적이 지금도 역력하다. 일본 제국주의가 우리 자연을 훼손한 만행이자 식민지를 겪은 우리의 아픈 흔적”이라며 “이 바위 글씨에 대한 당시 기사 등 정보는 있었으나 사진이 확인된 것은 처음”이라고 말했다.

 

l_2015070101000033100408692_99_20150630213005.jpg

 


-조선총독 미나미 지로가 쓴 ‘동아청년단결’ 등의 글씨를 스즈키 긴지로가 새긴 병풍바위(1939년 촬영).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원판사진


 이 교수는 “1939년에 찍은 인왕산 사진을 보니 정선의 ‘인왕제색도’에 표현된 것과 같은 검은색 바위 색깔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는 “인왕산을 지나칠 때마다 ‘인왕제색도’에 표현된 화강암 바위의 시커먼 먹색을 떠올렸는데 실제 비에 젖은 인왕산 주봉은 그림처럼 검지 않고 멀리서 보면 화강암이 훨씬 밝게 드러난다”며 “정선 시절에는 인왕산 바위가 시커멓게 검었을까, 정선이 과장해서 적묵법을 썼을까 바위 색감이 늘 궁금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1939년에 찍은 인왕산 병풍바위 사진은 흑백이지만 실제 ‘인왕제색도’와 유사한 검은색 느낌을 준다”고 말했다.

한편 이 교수는 ‘인왕제색도’가 정선의 오랜 선배이자 친구인 사천 이병연의 죽음과 관련된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한산이씨 족보를 살펴보니 이병연은 신미(1751년) 1월4일 81세로 세상을 떠났다고 적혀 있다”며 “그동안 이병연이 사망한 날짜를 1751년 윤5월29일로 잘못 알았던 것”이라고 밝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1935 은유와 상징, 색이 주는 메시지 file [1] 강정실 2015-08-11 9599 3
1934 노이슈반슈타인 성 [1] 웹관리자 2017-01-16 9596 2
1933 인레호수의 진실과 허상 file 정덕수 2015-02-26 9590 1
1932 수천년 전 인디언이 남긴 '암각화' 투어 file 웹관리자 2014-10-16 9565 5
1931 반 고흐 희귀 유작 657억원에 팔려 file [1] 웹관리자 2014-11-05 9538 2
1930 봄이 오면 여행을 떠나자! file 석송 2015-02-21 9506  
1929 겨울 나무 휘고 굽어졌구나, 우리네 삶처럼 file [3] 김평화 2015-01-29 9501 1
1928 류광일·김경자 2인전 file 석송 2015-04-02 9498  
1927 금값이 내리는 이유와 분석 file 강정실 2015-07-23 9462 1
1926 '덕종어보' 드디어 고국 품에 돌아왔다. file [1] 석송 2015-04-02 9435 2
1925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의 생명을 상징하는 나무 그림들 file 강정실 2015-09-12 9422 2
1924 션·정혜영 부부, 결혼기념일마다 기부·봉사 '벌써 10년째' file [1] 웹관리자 2014-10-08 9387 10
1923 폼페이 유적 '신비의 저택' 2년 보수 끝에 재개장 file 정덕수 2015-03-21 9376 1
1922 회원님들 안녕하세요! file [3] 오애숙 2014-12-15 9333 6
1921 내 고향을 가다. 경상남도 남해군 file 웹관리자 2014-10-16 9332 8
1920 책 밖으로 나온 문학을 즐기다 file [1] 웹관리자 2014-12-01 9331 2
1919 국립국어원 "표준어, '딴지'는 되고 '멘붕'은 안된다" file [1] 이병호 2014-12-16 9320 1
» ‘인왕제색도’ 병풍바위, 일제 때 훼손 사진 첫 공개 file 석송 2015-06-30 9302 3
1917 안락사 file 석송 2015-07-01 9287 1
1916 국내 최초 62년 전통, 중앙대 문예창작학과 교수는 달랑 3명뿐 제봉주 2015-02-16 927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