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새가 벚꽃을 따는 이유는?

조회 수 11788 추천 수 4 2016.04.06 10:13:21

부리가 짧고 굵어 슬픈 참새

 

i-1.jpg

 

-이른 새벽부터 벚꽃에 앉은 참새들이 꿀을 빨아 먹기 위해 벚꽃을 봉오리째 따고 있다.

 

 

진해벚꽃축제가 시작되면서 북상한 벚꽃이 여의도에도 활짝 피어나 축제가 열리는 등 전국이 벚꽃잔치로 떠들썩하다.

벚꽃은 필 때도 소리 없이 순식간에 피어나지만 바람이 불거나 비가 조금이라도 오면 금방 떨어져버리는 아쉬운 꽃이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벚꽃나무 아래를 걷다 보면 꽃봉오리째 떨어진 벚꽃들을 자주 볼 수 있다. 범인은 누구일까? 바람 때문일까, 아니면 벚꽃나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직박구리와 참새일까? 범인은 바로 참새들이다!

“꿀을 먹으려면 꽃봉오리를 따야 해요”

 

i-2.jpg

 

-이른 새벽 참새들이 벚꽃나무에서 부지런히 꿀을 먹고 있다.

 

 

비바람은 벚꽃 잎을 한 잎 한 잎 휘날리지만 참새들은 꽃봉오리째 따서 똑똑 떨어뜨린다. 도대체 왜 이런 행동을 할까? 이유는 꿀을 먹기 위해서다. 참새와 같이 벚꽃나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직박구리는 덩치에 어울리지 않게 큰 부리를 이용해 꿀을 빨아먹지만, 부리가 짧고 굵은 참새는 꿀을 먹으려면 꽃을 뜯어낸 후 씨방에 있는 꿀을 빨아먹을 수밖에 없다.

 

i-3.jpg

 

-직박구리 한 마리가 만개한 벚꽃 사이에서 꿀을 빨아 먹고 있다.

 

 

i-4.jpg

 

-이른 새벽부터 벚꽃에 앉은 참새들이 꿀을 빨아 먹기 위해 벚꽃을 봉오리째 따고 있다.

 

 

참새들은 꿀을 맛있게 먹은 후 꽃봉오리를 가차 없이 버리는데 이로 인해 참새 떼가 한번 스쳐지나간 벚꽃나무 아래에는 꽃봉오리들이 쌓이게 되는 것이다. 이런 현상은 벚꽃으로 유명한 일본의 효고현 다카라즈카시 벚꽃 길에는 어김없이 나타난다. 일본도 참새들이 벚나무 꽃과 가지를 마구 뜯어 먹어 한때 골머리를 앓았다고 한다.

길바닥엔 꽃봉오리들이 우수수 쌓이고...

 

i-5.jpg

 

-참새들-이 꿀을 먹고 버린 벚꽃이 땅바닥에 수북이 쌓여있다.

 

 

또한 벚꽃이 공략의 대상이 된 또 다른 이유가 있다. 그것은 초봄에 참새들의 먹을거리가 줄었기 때문이다. 참새들은 잡식성으로 봄에 주로 곤충들이나 잡초 씨 등을 먹고 사는데 공터와 숲이 줄어들면서 먹잇감들이 점차 사라지기 시작했다. 즉 이때가 참새들의 ‘보릿고개’인 것이다. 벚꽃 위에 예쁘게 앉아있는 참새들의 모습은 마치 한 폭의 동양화처럼 아름답지만, 먹이가 부족해 벚꽃을 통째로 뜯어 먹을 수밖에 없는 슬픈 처지를 생각하니 더없이 가엽다.

초봄은 참새들의 ‘보릿고개’

 

i-6.jpg

 

-이른 새벽 -참새 한마리 벚꽃나무에서 부지런히 꿀을 먹고 있다.

 

 

i-7.jpg--직박구리

 

-한 마리가 만개한 벚꽃 사이에서 꿀을 빨아 먹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41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7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6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2015 치주질환(잇몸병) file 웹관리자 2015-01-05 28745 2
2014 두 미국청년, 요세미티 고난도 수직벽 맨몸 도전 file 지상문 2015-01-08 7806 1
2013 영화 국제시장 file 제봉주 2015-01-08 8632 3
2012 구름빵 저작권 논란 file 김일형 2015-01-09 8509 1
2011 커피 마시고 물로 입 헹궈야 치아변색 막는다 file 오애숙 2015-01-09 9216 3
2010 나치 지하 비밀기지 70년 만에 발견 file 제봉주 2015-01-10 16108 1
2009 갑년 ‘현대문학’이 진단한 2000년대 문학 file 이병호 2015-01-10 10163 1
2008 죽음의 얼굴(신간) file 이병호 2015-01-10 8224 1
2007 다이아몬드 file [1] 오애숙 2015-01-10 19497 1
2006 난자가 정자를 만나면 불꽃놀이 file [1] 정순옥 2015-01-10 8841 2
2005 비누 무르지 않게 쓰려면 정순옥 2015-01-12 7827 1
2004 자갈치 시장의 근황 file [1] 신성철 2015-01-12 13773 1
2003 "내가 엄마 옆에서 잘거야" file 이병호 2015-01-20 10427 2
2002 당신이 쓰는 물건이 '당신'입니다 이병호 2015-01-20 8623 2
2001 디지털 러다이트-파괴가 아닌 상생 정순옥 2015-01-22 7890 1
2000 실내 겨울 공기오염 실외 10배 제봉주 2015-01-22 10702 1
1999 65세 이상 한인들, 한미 국적 동시 보유 혜택 file [2] 정덕수 2015-01-25 18309 2
1998 ‘창조문화’ 전통문화유산에 대한 오마주, 문정왕후 어보 환국 기념전 file [1] 지상문 2015-01-26 9127 1
1997 제주도 똥돼지 file [1] 이숙이 2015-01-26 18402 2
1996 잠들지 않는 도시' 뉴욕의 밤' 신성철 2015-01-27 1162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