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새가 벚꽃을 따는 이유는?

조회 수 11788 추천 수 4 2016.04.06 10:13:21

부리가 짧고 굵어 슬픈 참새

 

i-1.jpg

 

-이른 새벽부터 벚꽃에 앉은 참새들이 꿀을 빨아 먹기 위해 벚꽃을 봉오리째 따고 있다.

 

 

진해벚꽃축제가 시작되면서 북상한 벚꽃이 여의도에도 활짝 피어나 축제가 열리는 등 전국이 벚꽃잔치로 떠들썩하다.

벚꽃은 필 때도 소리 없이 순식간에 피어나지만 바람이 불거나 비가 조금이라도 오면 금방 떨어져버리는 아쉬운 꽃이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벚꽃나무 아래를 걷다 보면 꽃봉오리째 떨어진 벚꽃들을 자주 볼 수 있다. 범인은 누구일까? 바람 때문일까, 아니면 벚꽃나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직박구리와 참새일까? 범인은 바로 참새들이다!

“꿀을 먹으려면 꽃봉오리를 따야 해요”

 

i-2.jpg

 

-이른 새벽 참새들이 벚꽃나무에서 부지런히 꿀을 먹고 있다.

 

 

비바람은 벚꽃 잎을 한 잎 한 잎 휘날리지만 참새들은 꽃봉오리째 따서 똑똑 떨어뜨린다. 도대체 왜 이런 행동을 할까? 이유는 꿀을 먹기 위해서다. 참새와 같이 벚꽃나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직박구리는 덩치에 어울리지 않게 큰 부리를 이용해 꿀을 빨아먹지만, 부리가 짧고 굵은 참새는 꿀을 먹으려면 꽃을 뜯어낸 후 씨방에 있는 꿀을 빨아먹을 수밖에 없다.

 

i-3.jpg

 

-직박구리 한 마리가 만개한 벚꽃 사이에서 꿀을 빨아 먹고 있다.

 

 

i-4.jpg

 

-이른 새벽부터 벚꽃에 앉은 참새들이 꿀을 빨아 먹기 위해 벚꽃을 봉오리째 따고 있다.

 

 

참새들은 꿀을 맛있게 먹은 후 꽃봉오리를 가차 없이 버리는데 이로 인해 참새 떼가 한번 스쳐지나간 벚꽃나무 아래에는 꽃봉오리들이 쌓이게 되는 것이다. 이런 현상은 벚꽃으로 유명한 일본의 효고현 다카라즈카시 벚꽃 길에는 어김없이 나타난다. 일본도 참새들이 벚나무 꽃과 가지를 마구 뜯어 먹어 한때 골머리를 앓았다고 한다.

길바닥엔 꽃봉오리들이 우수수 쌓이고...

 

i-5.jpg

 

-참새들-이 꿀을 먹고 버린 벚꽃이 땅바닥에 수북이 쌓여있다.

 

 

또한 벚꽃이 공략의 대상이 된 또 다른 이유가 있다. 그것은 초봄에 참새들의 먹을거리가 줄었기 때문이다. 참새들은 잡식성으로 봄에 주로 곤충들이나 잡초 씨 등을 먹고 사는데 공터와 숲이 줄어들면서 먹잇감들이 점차 사라지기 시작했다. 즉 이때가 참새들의 ‘보릿고개’인 것이다. 벚꽃 위에 예쁘게 앉아있는 참새들의 모습은 마치 한 폭의 동양화처럼 아름답지만, 먹이가 부족해 벚꽃을 통째로 뜯어 먹을 수밖에 없는 슬픈 처지를 생각하니 더없이 가엽다.

초봄은 참새들의 ‘보릿고개’

 

i-6.jpg

 

-이른 새벽 -참새 한마리 벚꽃나무에서 부지런히 꿀을 먹고 있다.

 

 

i-7.jpg--직박구리

 

-한 마리가 만개한 벚꽃 사이에서 꿀을 빨아 먹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41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7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6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2015 텍삭스에 30년 만에 눈 [2] 오애숙 2017-12-11 1668  
2014 베레모, 선글라스....와 한복 오애숙 2017-12-12 3523  
2013 토론토에 부는 ‘한국어 열풍’ 오애숙 2017-12-13 1272  
2012 고기폭탄 쌀국수, 맛있다고 계속 먹다간? 오애숙 2017-12-14 2018  
2011 뇌혈관이 연기처럼 모락모락… '모야모야병' 의심 증상은? 오애숙 2017-12-14 2476  
2010 오랜 버릇에서 벗어나고 싶다면… [2] 오애숙 2018-01-12 1642  
2009 12월의 끝자락 부여 잡고서 잠시 생각 해 보는 귀한 시간 되시길 기원합니다. 오애숙 2017-12-26 1805  
2008 신정과 구정의 차이, 음력설의 수난사 file 오애숙 2018-01-03 3535  
2007 네잎 클로버의 행운 file 웹담당관리자 2018-01-11 2596  
2006 대한 추위와 풍습 오애숙 2018-01-19 1982  
2005 입춘의 문턱에 서서 [3] 오애숙 2018-01-29 2964  
2004 입춘의 날씨 [1] 웹담당관리자 2018-02-03 2489  
2003 남자의 기도 [1] 석송 2018-02-06 1618  
2002 고유명절 설과 달라진 이면 [2] 오애숙 2018-02-13 2866  
2001 발렌타인 데이 [1] 오애숙 2018-02-13 1596  
2000 삼일절을 영어로 설명하면 어떻게 할까요? [2] 오애숙 2018-02-22 11888  
1999 정월 대보름 [2] 오애숙 2018-03-01 6548  
1998 잎보다 먼저 피는 개나리꽃 [1] 오애숙 2018-03-11 2093  
1997 구례 산수유꽃 축제 [2] 오애숙 2018-03-23 3079  
1996 봄을 여는 길목에서 [3] 오애숙 2018-03-26 1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