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에 다른 태양과 달이 뜨면

조회 수 13223 추천 수 2 2015.02.05 13:51:44
-러시아 연방 우주청 제작 동영상 공개

땅만 내려다보며 사는 사람들에겐 결코 알 수 없는 신비로움이 하늘에 가득하다. 우리 지구의 하늘에 해와 달이 뜨기 시작한 것은 46억 년 전이다. 인류는 오랜 기간 그런 해와 달만을 보아왔기 때문에 다른 상황을 상상한다는 게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상상은 우리 삶을 풍요롭게 하는 것. 이번엔 러시아 사람들이 그런 우주적 상상을 맘껏 펼쳐본 동영상이 발표되어 우주 마니아들을 즐겁게 하고 있다.

↑ 목자자리의 1등성인 적색거성 아르크투루스는 오렌지색으로 보인다. 밤하늘에서 4번째로 밝은 별이지만, 별의 생애 중 마지막 단계에 접어든 별이다. 이 별을 우리 태양 자리에다 끌어다놓는다면 지구 하늘의 많은 부분을 가리게 될 것이다.

↑ 큰개자리의 알파별인 시리우스가 태양 자리에서 지구의 지평선 위로 떠오른다면 크기는 태양의 두 배로 보이며, 온 세상은 희고 푸른빛으로 온통 멱을 감게 될 것이다.

↑ 쌍성계를 이루고 있는 알파 센타우리를 태양 자리에다 놓는다면 지구 하늘에는 두 개의 태양이 빛나는 장관을 연출하게 될 것이다.

↑ 목자자리의 오렌지색 알파별 아르크투루스가 지구 하늘을 가득 채우고 있는 풍경도 보여준다. 밤하늘에서 4번째로 밝은 이 별은 생애의 마지막 단계에 접어든 적색거성이다. 그림은 지구 지평선 아래로 지는 아르크투루스.

↑ 인류에게 너무나 친숙한 별인 북극성 폴라리스다. 거리는 430광년, 지름은 태양의 30배나 된다. 이것만 보아도 밤하늘에서 밝게 빛나는 별들은 거의가 태양보다 훨씬 큰 별이란 것을 알 수 있다. 모든 별들은 북극성을 중심으로 일주운동을 한다.

↑ 토성이 달의 자리까지 침투해온다면 37만 7천km 떨어진 궤도를 도는 위성 디오네(그림)가 지구를 직격하게 될지도 모른다. 어쨌든 안 오기만을 빌자.

↑ 지구 외 행성들의 크기를 실감나게 보여주는 동영상 그림. 목성(그림)과 토성이 지구 하늘을 가득 채우고 있다.

↑ 천왕성(그림)은 지름이 25,559km, 달보다 25배나 크다. 목성은 아예 급을 달리해서 지름이 71,490km나 된다.

이번 동영상은 개인이 만든 것이 아니라 무려 러시아 연방 우주청이 제작한 것이다. 이 놀라운 동영상에는 지구 밤하늘을 휘어잡고 있는 유명 스타들과 태양계 행성들이 지구 하늘에 총출동해 환상적인 풍경을 만들어내고 있다.

첫번째 동영상은 우리은하의 다른 별들을 태양 자리에 끌어다놓는다면 어떤 광경이 연출될 것인가를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다. 오프닝 스타로는 알파 센타우리가 뽑혔다.

이 별은 남반구 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의 하나로,지구에서 태양 다음으로 가장 가까운 별이다. 그러나 그 가깝다는 것이 실제로는 4.3광년(1광년은 빛이 1년 동안 가는 거리, 약 10조km)으로, 지구-태양 간 거리의 30만 배에 달한다.

이 거리는 가장 빠른 우주선으로 달리더라도 10만 년은 걸리는 거리다. 쌍성계를 이루고 있는 이 별을 태양 자리에다 놓는다면 지구 하늘에는 두 개의 태양이 빛나는 장관을 연출하게 될 것이다. 11AU(1AU는 지구-태양 간 거리) 떨어진 거리에 있는 동반성 알파 센타우리B는 서로의 질량 중심을 기준으로 80년을 1주기로 공전한다.

시리우스는 남북반구 하늘을 통틀어 가장 밝은 별이다. 지구에서 8.6광년 떨어져 있으며, 태양 질량의 2배나 되는 큰 별이다. 큰개자리의 알파별인 시리우스가 태양 자리에서 지구의 지평선 위로 떠오른다면 크기는 태양의 두 배로 보이며, 온 세상은 희고 푸른빛으로 온통 멱을 감게 될 것이다. 그리고 머지않아 지구 바다는 바짝 말라버리고 지구는 시커멓게 그슬려지고 말 것이다.

동영상은 목자자리의 오렌지색 알파별 아르크투루스가 지구 하늘을 가득 채우고 있는 풍경도 보여준다. 밤하늘에서 4번째로 밝은 이 별은 생애의 마지막 단계에 접어든 적색거성이다. 아르크투루스의 반지름은 태양의 26배 정도이며, 밝기는 태양의 110배 정도다.

마지막 별은 인류에게 너무나 친숙한 별인 북극성 폴라리스다. 거리는 430광년, 지름은 태양의 30배나 된다. 이것만 보아도 밤하늘에서 밝게 빛나는 별들은 거의가 태양보다 훨씬 큰 별이란 것을 알 수 있다.

러시아 연방 우주청은 제2부로 태양계 행성들을 달의 자리에다 끌어다놓을 때 연출되는 광경을 동영상에다 담았다. 여기 출연하는 행성들은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그리고 지구로, 태양계 모든 행성들이 총동원되었다.

만약 목성과 통성 같은 큰 행성들이 지구 근처로 온다면 지구의 대기층은 삽시간에 파괴되고 우리 인류는 성치 못하게 될 것이다. 이 동영상을 본다면 행성들이 제자리를 지켜주게 한 우주의 신에게 감사하는 마음이 절로 들 것이다.

 

(동영상 보기http://www.dailymail.co.uk/sciencetech/article-293368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2035 어느해 여름/ 자유시 박은경 2021-08-05 91  
2034 단시조/ 연지 file 박은경 2020-12-25 92 1
2033 이발소에서 박은경 2021-01-16 92 1
2032 거부기/연시조 박은경 2021-03-15 92 1
2031 [자유시] 차마고도 박은경 2021-04-11 92 1
2030 참외 농사 [3] 유진왕 2021-05-18 92  
2029 소음 공해 [1] 유진왕 2021-05-19 92  
2028 [연시조] 우리집 우체통 [2] 박은경 2021-06-09 92  
2027 봄쭈꾸미--4단시/행시 박은경 2021-09-19 92  
2026 국화에게 박은경 2021-09-22 92  
2025 [자유시] 뒷간에 핀 꽃 박은경 2020-08-02 93 1
2024 [행시조] 풀벌레 박은경 2020-08-27 93 1
2023 약속 [2] 박은경 2021-06-21 93 1
2022 얼음새꽃 복수초 file 박은경 2021-03-12 93 1
2021 꼬마 돼지 베이브 박은경 2021-03-22 93 1
2020 [자유시] 주일학교 박은경 2021-04-20 93 1
2019 [자유시] 금성산성 박은경 2021-04-30 93 1
2018 박은경 2021-05-11 93 1
2017 [연시조] 소나무 박은경 2021-05-19 93 1
2016 내 말 맞지? [1] 유진왕 2021-05-19 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