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인 배출의 산실인 중앙대 문예창작과를 단 3명의 교수로 꾸려가는 비정상적인 상황이 지속되자 학생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2011년 수익성이 없는 학과를 대거 축소해 기업식 구조조정 논란이 일었던 중앙대가 두 번째 구조조정을 진행 중인 가운데 문예창작과도 위태로워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15일 중앙대에 따르면 문예창작과 전임교수는 전영태, 이승하, 방재석 교수뿐이다. 재학생은 230명(정원 287명)으로, 교수 한 명당 학생 77명인 셈이다.

더욱이 전 교수는 비평, 이 교수는 시, 방 교수는 소설 전공으로 드라마나 시나리오·동화 등의 분야는 전공교수가 없다.

이 때문에 전임교수가 소화하지 못하는 수업은 시간강사가 대체하고 있다.

작년 1학기 4명이던 교수는 8월 박철화 교수가 사직하면서 줄었다.

여기에 전 교수마저 정년으로 이달 학교를 떠난다. 전임교수 두 명으로 새 학기를 시작해야 할 처지가 된 것이다.

현재 문예창작과는 별정제 교수 한 명을 선발 중이다. 별정제 교수는 전임이지만 강의시수와 급여 등의 조건에서 전임교수와는 차이가 크다.

중앙대는 1953년 우리나라 대학 최초로 문예창작과를 만들었다.

이 학과를 나온 문인은 이문구·김주영·오정희·김원일·박민규·조세희 소설가, 주찬욱·정성희·정형수·구현숙 드라마 작가, 이시영·오정국·이경록 시인 등 수없이 많다.

서상희씨가 올해 조선일보 신춘문예 시조 부문, 김아정 씨가 문화일보 신춘문예 동화 부문에 당선되는 등 이 학과 출신들은 여전히 저력을 보이고 있다.

이런 자부심에도 수년째 교수 충원조차 되지 않는 초라한 처지가 수년간 지속하자 학생들은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학생들은 이번 달 초 대학본부를 항의방문한 데 이어 겨울방학임에도 비상총회를 열고 대책을 논의했다.

일각에서는 현재 학과(부) 구조개편을 진행 중인 학교 측이 문예창작과를 통폐합 대상에 포함하는 것 아니냐는 시선을 보내고 있다.

앞선 2011년 중앙대는 학문 단위 재조정을 시행해 19개 단과대학 77개 학부(과)를 5개 계열 11개 단과대 47개 학부(과)로 재편한 바 있다. 이때 비교민속학과 등 인문사회계열 4개 전공이 폐지돼 학내외적으로 반발을 샀다.

두 번째 구조개편 역시 취업률과 대외경쟁력, 연구업적 등을 지표로 내세우고 있어 인문·예술계열이 불리할 수밖에 없다.

김하영 문예창작과 비상대책위원장은 “학생들이 정상적으로 수업받을 수 있게 신학기 전까지 교수 충원계획을 마련하도록 학교 측과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학교 측은 학생들에게 문예창작과를 축소할 계획은 없으며 교수 충원도 검토해보겠다는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1935 은유와 상징, 색이 주는 메시지 file [1] 강정실 2015-08-11 9599 3
1934 노이슈반슈타인 성 [1] 웹관리자 2017-01-16 9596 2
1933 인레호수의 진실과 허상 file 정덕수 2015-02-26 9590 1
1932 수천년 전 인디언이 남긴 '암각화' 투어 file 웹관리자 2014-10-16 9565 5
1931 반 고흐 희귀 유작 657억원에 팔려 file [1] 웹관리자 2014-11-05 9538 2
1930 봄이 오면 여행을 떠나자! file 석송 2015-02-21 9506  
1929 겨울 나무 휘고 굽어졌구나, 우리네 삶처럼 file [3] 김평화 2015-01-29 9501 1
1928 류광일·김경자 2인전 file 석송 2015-04-02 9498  
1927 금값이 내리는 이유와 분석 file 강정실 2015-07-23 9462 1
1926 '덕종어보' 드디어 고국 품에 돌아왔다. file [1] 석송 2015-04-02 9435 2
1925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의 생명을 상징하는 나무 그림들 file 강정실 2015-09-12 9422 2
1924 션·정혜영 부부, 결혼기념일마다 기부·봉사 '벌써 10년째' file [1] 웹관리자 2014-10-08 9387 10
1923 폼페이 유적 '신비의 저택' 2년 보수 끝에 재개장 file 정덕수 2015-03-21 9376 1
1922 회원님들 안녕하세요! file [3] 오애숙 2014-12-15 9333 6
1921 내 고향을 가다. 경상남도 남해군 file 웹관리자 2014-10-16 9332 8
1920 책 밖으로 나온 문학을 즐기다 file [1] 웹관리자 2014-12-01 9331 2
1919 국립국어원 "표준어, '딴지'는 되고 '멘붕'은 안된다" file [1] 이병호 2014-12-16 9320 1
1918 ‘인왕제색도’ 병풍바위, 일제 때 훼손 사진 첫 공개 file 석송 2015-06-30 9302 3
1917 안락사 file 석송 2015-07-01 9287 1
» 국내 최초 62년 전통, 중앙대 문예창작학과 교수는 달랑 3명뿐 제봉주 2015-02-16 927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