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상 단 한 마리, 환상의 흰고래 미갈루 올해 첫 포착

                                           입력 : 2020.06.17 13:37 수정 : 2020.06.17

 

고래.jpg

 

 

-사람에게 목격되는 것 자체가 큰 뉴스거리가 되는 고래가 있다. 바로 성체로는 전세계에서 단 한 마리만 발견된 흰색 혹등고래 미갈루.

 

지난 16(현지시간) 호주 ABC뉴스 등 현지언론은 미갈루가 올해 처음으로 지난 15일 뉴사우스웨일스 남부 해안에서 목격됐다고 보도했다. 미갈루는 특이하게도 흰색의 피부를 갖고있어 호주에서는 이 고래에 원주민어로 하얀 친구란 뜻을 갖는 미갈루(Migaloo)라는 이름을 붙였다.

 

미갈루의 몸이 흰색인 이유는 선천적으로 멜라닌 색소가 결핍된 알비노이기 때문이다. 보기에는 신비하고 화려해 보이지만 사실 알비노는 햇빛 노출에 약하며 시력도 그리 좋지 않다. 또한 눈에 띄는 몸 색상 때문에 어렸을 때 포식자에 의해 죽는 사례가 많다.  

 

올해 30세 이상으로 추정되는 미갈루가 인류와 처음 조우한 것은 지난 1991년으로 역시 호주에서였다. 특히 20036월에는 미갈루의 새끼로 추정되는 흰 혹등고래가 함께 포착돼 관심을 끌기도 했다.

 

미갈루는 매년 이맘때쯤이면 남극에서 따뜻한 남태평양 쪽으로 무리들과 이동하는데 이 과정에서 호주에서 목격되며 다시 가을이 오면 남극으로 돌아간다. 특히 미갈루는 관광 수입에도 한몫하는 효자이기 때문인데 호주 정부는 일정 거리 내의 접근을 금지하는 연방법까지 만들어 놓을 정도로 보호에 특별히 신경 쓰고 있다. 

 

호주 맥쿼리대학교 해양생물학자 바네사 프로타는 "사실 미갈루는 약 4만 마리의 혹등고래 중 하나여서 본질적으로는 건초더미에서 바늘을 찾는 것과 같다"면서 "이같은 이유로 미갈루를 목격하는 것 자체가 행운으로 여겨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미갈루는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고래로 우리가 해양 생태계에 얼마나 많이 관심을 가져야하는지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유난히 사람을 잘 따르는 혹등고래는 그러나 마구잡이 포경의 희생양이 되면서 한때 개체 수가 500마리까지 급감했다. 1966년 국제조약으로 포경이 제한되고 1973년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면서 다행히 개체 수는 서서히 회복됐고 현재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이 지정한 멸종위기 관심대상에 올라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2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2035 옐로스톤 국립공원의 지하에서 거대 마그마 저장소가 새로 발견 file 웹관리자 2015-04-25 14112 1
2034 공룡 멸종 이유는 소행성 충돌과 이어진 화산폭발 file 석송 2015-10-02 14056 1
2033 국내서 41년 만에 발견된 멸종위기종 file [1] 엄경춘 2015-02-12 13978 3
2032 100년 前 그모습 부활한 대한제국.. 덕수궁 석조전 원형 복원 10월 13일 재개관 file 웹관리자 2014-10-07 13972 1
2031 일본 온타케산 화산 폭팔 file 웹관리자 2014-09-28 13840 1
2030 대저택을 마다하고 평생 방랑하며 산 '톨스토이'의 삶 file 제봉주 2015-02-06 13828 2
2029 자갈치 시장의 근황 file [1] 신성철 2015-01-12 13769 1
2028 라스베이거스의 15가지 맛 석송 2015-05-12 13745 1
2027 청록파 시인 [1] 석송 2015-03-08 13383  
2026 사육사도 몰랐다. 밤' 되면 울음소리 내는 기린. file 이숙이 2015-09-19 13344 2
2025 추사 김정희의 묵란도와 향기 file 웹관리자 2015-06-18 13334 3
2024 새 잡는 유리벽… 5년간 3834마리 '비명횡사' file 석송 2015-10-07 13282 2
2023 지구에 다른 태양과 달이 뜨면 신성철 2015-02-05 13223 2
2022 가수 김민기 file [1] 석송 2015-04-04 13215 4
2021 한국 전통음악과 무용의 진수 선보일 것 file 석송 2015-04-02 13214  
2020 전 세계 헤비급 참피언 무하마드 알리 사망 file 웹관리자 2016-06-04 13127 1
2019 서머타임 해제 (Daylight Saving Time Ends) file 홍용희 2017-10-28 13002  
2018 반고흐 풍경화, 717억원에 팔려..낙찰자는 아시아인 file 웹관리자 2015-05-06 12791 3
2017 시베리아서 희귀물질 발견---운석 충돌로 발생 가능성 file 강정실 2017-01-03 12705 1
2016 유럽인 정착 이후 호주 동물 생물 생태계 변화 file 지상문 2015-02-10 12639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