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jpg

베이징시 다싱구 싼허좡(三合庄)촌 일대 고대 무덤군 발굴 현장 /2015-03-20(한국일보)

 

 

i.jpg

베이징시 다싱구 싼허좡(三合庄)촌 일대 고대 무덤군 발굴 현장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1,500년전 원적(原籍)이 ‘조선현(朝鮮縣)’인 이의 무덤이 발굴됐다. 무덤 주인공이 우리 민족일 가능성이 커 주목된다.

경화시보(京華時報) 등에 따르면 베이징시 문물국은 최근 다싱(大興)구 황춘(黃村)진 싼허좡(三合庄)촌 일대 고대 무덤군 발굴 작업(사진) 중 북조(北朝) 시대의 묘 2기를 발견했다. 이중 한 무덤에서 나온 벽돌모양 묘비에는 무덤에 묻힌 이가 ‘韓顯度’(한현도ㆍ중국어 한셴두)이며, 원적이 ‘낙랑(樂浪)군 조선현’이라는 명문(銘文)이 새겨져 있었다. 무덤 주인공은 원상(元象) 2년 사망했다. 원상은 동위(東魏) 효정제 원산견의 2번째 연호로 서기 539년이다. 베이징시는 톈안먼(天安門) 광장에서 남서쪽으로 20여㎞ 떨어진 이 곳을 재개발하던 중 1,000년 이상 된 무덤 129기가 발견되자 지난해부터 발굴 작업을 해 왔다.

 

중국 매체들은 무덤 주인공의 원적인 ‘낙랑군 조선현’에 대해 “낙랑군은 한무제(漢武帝)가 기원전 108년 고조선을 평정한 뒤 지금의 한반도 내 설치한 사군(四郡) 중 하나이고, 조선현은 지금의 평양시”라고 주장했다. 이어 중원 왕조들의 힘이 쇠약해지면서 313년 낙랑군이 고구려에 의해 ‘탈취’당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한사군이 존속한 기간은 25년에 불과했고 가장 오래 남아있던 낙랑군도 사실상 상업적인 무역기지로서 명맥만 유지됐다는 게 우리 학계 입장이다. 중국이 이런 낙랑군을 강조하는 것은 ‘동북공정’을 염두에 둔 것 아니냔 지적이 나온다.

무덤 주인공이 한국인인지 중국인인지 현재로선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중국 매체들은 “고조선 유민이 왜 베이징에 묻혔을까”라며 한민족일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북위(北魏) 태무제 탁발도가 서기 432년 ‘조선민’을 비여(肥如ㆍ중국어 페이루)로 이주시키고 ‘조선현’을 다시 설치했다는 기록이 근거다. 비여는 베이징에서 동쪽으로 250㎞ 정도 떨어진 현재의 친황다오(秦皇島)와 창리(昌黎), 루룽(盧龍), 첸안(遷安)현 일대로 추정된다. 당시 중국으로 유입된 한국인이 이 곳에 살게 됐고 이들은 원적을 ‘낙랑군’으로 계속 유지했을 것이라는 추론이다.

그러나 북위가 ‘조선민’을 강제 이주시킨 시기는 낙랑군이 사라진 지 100여년도 지난 때다. 무덤이 조성된 것은 이로부터 또 다시 100여년이 지난 시기다. ‘조선민’이 강제 이주됐다 해도 그들이 수백년 전 사라진 낙랑군을 굳이 원적지로 썼다는 건 설득력이 약하다. 오히려 1,500년전 우리 선조들이 베이징까지도 활동 무대로 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유적일 수도 있다. ‘낙랑군’이 한반도가 아니라 베이징 부근에 설치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무덤의 주인공이 과연 한국인인지, 또 어떻게 이곳에 묻히게 됐는지는 현재로선 수수께끼이다. 그러나 ‘조선현’이 고향인 이가 1,500년전 베이징에 살고 있었다는 것은 분명한 역사적 사실이 됐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1915 온난화 현상에 지구의 중력도 약화되었다 file 웹관리자 2014-10-01 9248 1
1914 커피 마시고 물로 입 헹궈야 치아변색 막는다 file 오애숙 2015-01-09 9216 3
1913 문학계간지 첫 5쇄… 문학동네 겨울호 조용한 돌풍 file 석송 2015-04-11 9161 7
1912 윤동주 서거 70년…"옥사 20개월 뒤 사면" file [1] 이금자 2015-02-14 9158 3
1911 황새, 광어맛을 들이다. file 정덕수 2015-02-15 9155 2
1910 고추장에 고춧가루 함량 의무 표시해야! file 안선혜 2014-11-08 9128 1
1909 ‘창조문화’ 전통문화유산에 대한 오마주, 문정왕후 어보 환국 기념전 file [1] 지상문 2015-01-26 9127 1
1908 신정아, 조영남 전시회로 큐레이터 복귀 file 웹관리자 2015-05-19 9084 1
1907 쇼팽의 마주르카는 꽃 속에 묻힌 대포와도 같다" file 김평화 2015-06-03 9041 1
1906 "비빔밥 먹어 보셨나요?" 브라질에서 인기 file 웹관리자 2014-10-02 9026 1
1905 시간의 승자가 되는 법 file 이병호 2014-12-29 9003  
1904 사랑의 나눔 [행시조] 박은경 2022-01-25 8958  
1903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서관(3) file 이병호 2015-07-27 8946 1
1902 낭만의 도시 부산, 감성여행 file 웹관리자 2015-07-09 8914 5
1901 <사진 세미나. 강의 전시회 등 관련 행사> file 석송 2015-02-19 8910 1
1900 주택, 아파트에서 기르기 좋은 애완견 5 file 웹관리자 2016-01-07 8882 1
1899 벽을 뚫고 보는 카메라 개발 (MIT 연구) file 강정실 2015-10-17 8879 2
1898 난자가 정자를 만나면 불꽃놀이 file [1] 정순옥 2015-01-10 8841 2
1897 출판기념회 소식 방송-라디오 서울(AM 1650) [2] 한길수 2014-11-11 8830 2
1896 음주 후 차에서 시동을 꺼고 잠자도, 체포 file 이숙이 2015-06-12 881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