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도찐개찐~'

조회 수 3771 추천 수 2 2015.03.21 18:43:52

'도찐개찐~', 맞는 말일까요?

틀린 유행어 바로잡기

  
'도찐개찐~', 맞는 말일까요?
개그콘서트의 '도찐개찐' 방송 장면. /사진=KBS 방송 캡처
"도찐 개찐~ 도찐 개찐~ 엎어치나 메치나, 거기서 거기, 오십 보 백 보~"
개그콘서트에 '도찐개찐'이란 새 코너가 등장했습니다. 처음엔 알 수 없는 의상이며 말장난 같다는 생각에 '무슨 코너가 저러지…' 싶었는데, 요즘은 사회적 풍자에 '도찐개찐'이라는 말의 재미까지 맞물려 점차 인기코너로 자리잡고 있네요.
지난 일요일 밤 깔깔거리며 이 코너를 보다 문득 '도찐개찐'의 어원이 궁금해졌습니다. 사전에 등재된 정식 단어인가, 정확한 표기가 맞나 하는 호기심도 생겼고요.

일단 '도찐개찐'은 사전에 올라 있지 않습니다. 국립국어원에 문의한 결과 정확한 표현은 '도 긴 개 긴' 혹은 '도긴 개긴'이라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그러면 '긴'은 무엇일까요? 윷을 던져서 도·개·걸·윷·모 5가지 중 하나가 나오면 그만큼 말이 움직이는데, 이때 자기 말로 남의 말을 쫓아 잡을 수 있는 거리를 '긴'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도긴 개긴'은 윷판에서 쓰이는 말로 "도의 거리에 있든 개의 거리에 있든 거기서 거기"라는 의미의 말이 됩니다.

개그콘서트 제작진도 '도토리 키 재기인 상황을 유쾌하게 보여주는 코너'라고 밝힌 만큼 이 같은 뜻으로 쓰인 게 맞는 것 같습니다. 그럼 '도찐개찐'이란 말은 잘못된 표현임을 모르고 쓴 걸까요? 아니면 알고도 그냥 쓴 걸까요? 의구심이 드는데요.

'도찐개찐~', 맞는 말일까요?
지난해 개그콘서트 '뿜엔터테인먼트' 코너에서 유행한 "~하고 가실게요"가 잘못된 말이란 지적이 일자, 제작진이 잘못된 표현임을 자막처리한 모습. /사진=KBS 방송 캡처
개그콘서트에서 잘못된 언어를 사용한 적은 이번만이 아닙니다. '뿜엔터테인먼트'라는 코너가 있었죠. "잠시만요. 보라 언니 OO하고 가실게요"라는 유행어를 탄생시켰는데요. 이는 잘못된 높임말로 그 당시엔 비표준어임을 인정, 자막처리한 사례가 있습니다.

또 있습니다. 한국석유공사 측의 요청으로 아예 코너명까지 바꿨는데요. 바로 '만수르'를 '억수르'로 바꾼 경우입니다. 만수르는 아랍에미리트연합의 석유재벌이자 잉글랜드프리미어리그 맨체스터시티 구단주입니다.

'도찐개찐~', 맞는 말일까요?
올해 개그콘서트 인기 코너 중 하나인 '만수르'가 '억수르'로 바뀐 모습. /사진=KBS 방송 캡처
일반적으로 된소리(ㄲㄸㅃㅆㅉ)나 거센소리(ㅋㅌㅍㅊ)가 예사소리(ㄱㄷㅂㅅㅈ)보다 더 입에 착 달라붙죠. 욕설이나 비방어가 된소리나 거센소리가 많은 경우가 이 같은 이유 때문인데요. 역시 '도찐개찐'도 '도긴 개긴'보다 더 입에 착 달라붙습니다. 하지만 그래도 전 연령대가 보는 인기 프로그램인데, 코너명을 만들 때 사전을 찾아보고 처음부터 바른 말을 쓰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드는 건 저만의 느낌일까요? 이제 틀린 말이라는 걸 알았으니 적어도 잘못된 말임을 인정하고 개선하려는 자세는 보여야 하지 않을까요? 앞으로 더 인기 프로그램이 될 것이란 '팬심'으로 드리는 말씀입니다.

오늘의 문제 나갑니다. 이번 문제는 '올해를 빛낸 유행어' 중 찾아봤는데요. 맞춤법이 틀린 유행어는 몇 번(복수 정답)일까요?
① 앙대여~
② 아이고 의미없다~
③ 으리! 으리!
④ 호로록호로록~ 같이 먹지요~

정답은 ①, ③입니다. 앙대여는 '안돼요', 으리는 '의리'가 맞는 말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34 전자책(eBook)에 대한 유혹 file [1] 웹관리자 2016-08-31 2657 2
33 한글 논리적인 글자 (동영상) 웹관리자 2014-10-15 2582 2
32 닐리리와 늴리리 웹관리자 2015-09-04 2566 1
31 18세기 조선통신사가 일본서 받은 금풍경 3점 발견 file 웹관리자 2017-07-08 2537 1
30 160년전 秋史 친필 서첩, 日서 찾았다 file 웹관리자 2017-02-26 2508 2
29 구한말 돈으로 관직 거래한 문서 '임치표' 확인 file 강정실 2015-11-10 2494 2
28 한가위 ‘맞으세요’가 맞나, ‘맞이하세요’가 맞나? file 강정실 2015-10-10 2493 1
27 '잎새' '푸르르다' '이쁘다' 등 표준어 인정 웹관리자 2015-12-14 2484 1
26 유감은 사과일까? 아닐까? file 강정실 2015-10-10 2470 1
25 가장 오래된 '흥부전' 필사본 file 웹관리자 2017-07-08 2461 1
24 틀리기 쉬운 맞춤법 강정실 2015-08-17 2455 1
23 42가지 언어로 옮긴 한국문학 한자리에 file 웹관리자 2017-07-08 2438 1
22 '자정'은 어제일까요? 오늘일까요? file 웹관리자 2015-09-10 2412 1
21 '이크!'에 대한 것 file 강정실 2015-10-17 2391 1
20 웬만한 건 다 ‘웬’, 왠은 ‘왠지’로만 file 강정실 2015-08-01 2352 1
19 설욕은 벼르고, 칼날은 벼리고! file 웹관리자 2015-09-04 2349 1
18 부시를 쳐서 불을 붙이는 ‘부싯깃’ file 웹관리자 2015-09-16 2316 2
17 잔치는 벌이고 격차는 벌리고! file 웹관리자 2015-07-24 2293 1
16 국사편찬위, 내달 업데이트 완료…2억4천만자 '대기록' file 웹관리자 2015-11-11 2189 2
15 '독도는 일본땅' 주장 반박할 130년 전 日검정교과서 발견 웹담당관리자 2017-08-07 218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