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어떻게/어떡해, 안/않

조회 수 9816 추천 수 2 2015.03.21 18:50:08

'아햏햏'보다 난감한 말… '어떻해, 않해?'

 어떻게/어떡해, 안/않

  
'아햏햏'보다 난감한 말… '어떻해, 않해?'
한 지상파 방송에 나온 틀린 자막(왼쪽)과 '아햏햏' 글자를 영화 '취화선' 포스터에 합성한 패러디물.
10여년 전 인터넷에서 유행한 낯선 말이 있었습니다.
아햏햏!

한 인기 웹사이트의 댓글 오타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말은 뜻뿐만 아니라 어떻게 읽어야 될지 몰라 더 눈길을 끌었는데요. 2005년 국립국어원 '새국어소식' 7월호에서는 이와 관련한 글이 실리기도 했습니다.

사실 우리말에서 'ㅎ' 받침에 바로 이어 'ㅎ'소리가 나오는 사례는 찾기 어렵습니다. 굳이 찾자면 'ㅎ' 두 개를 붙여 읽은 '히읗히읗' 정도가 있겠네요.

그런데 언제부턴가 이 같은 사례가 종종 눈에 띄는데요. 대표적인 게 바로 '어떻해(×)'입니다. 아는 분들도 많겠지만 사실 잘못된 표기입니다. 이 말은 '어떻게 해'와 '어떡해' 사이의 어정쩡한 존재인데요.

'아햏햏'보다 난감한 말… '어떻해, 않해?'
(서울한강체를 썼습니다.)
그림에서 보다시피 '어떡해'는 '어떻게 해'의 줄임말입니다. 두 말의 뜻 차이야 알기 어렵지 않은데요. 어떡해[어떠캐]와 어떻게[어떠케]의 발음이 비슷하다 보니 헷갈려 하는 분들이 꽤 있는 듯합니다. 신문기사와 방송 자막에서도 틀린 사례는 심심치 않게 보입니다. 하지만 말이 줄어든 과정을 이해한다면 구분하기는 쉬워집니다.

'어떻해(×)'처럼 자주 틀리는 말이 또 있는데요. '않하다(×)'가 그것입니다. 이 말은 '아니하다'가 줄어 '안 하다', 그 다음에 '않다'로 줄어든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요.(국립국어원에서는 '아니하다→않다'만 인정합니다. '안 하다'는 띄어쓰기를 해야 합니다.) '않하다(×)'를 굳이 풀어쓰자면 '아니하하다'가 되니 좀 이상합니다.

우리말 중에는 줄어든 말이 꽤 있습니다. 특히 일상 대화에서 이런 말을 많이 쓰는데요. 짧게 말하고도 의미 전달이 충분히 된다면 이쪽이 더 편할 겁니다.

'아햏햏'보다 난감한 말… '어떻해, 않해?'
(서울한강체를 썼습니다.)
옛날 말인 듯한 느낌의 "어찌하여서" 대신 "(→어찌해서→)어째서"를 더 많이 쓰고, "이것으로 할래" 대신 "이거로 할래"라고들 합니다. 또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표기는 아니지만 "큰일 났어"라고 하지 않고 "클났어"라고 하기도 하지요.

이런 낱말들도 말이 줄어든 과정을 생각해보면 정확한 표기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겁니다.

'아햏햏'의 발음을 얘기 안 했는데요. 국어 발음 규칙을 적용해 보면 [아해탣]입니다. '어떻해(×)' '않해(×)'에 이 규칙을 대보면 쓸 때 생각했던 것과는 다른 발음이 나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이번 주 문제입니다. ' ' 표시된 말은 모두 줄어든 꼴인데요. 맞춤법이 틀린 것은 무엇일까요?
1. 좀 전에 시작하는 거 같더니 '금세' 다 했네.
2. 수고했다. 이 정도면 '됬어'.
3. 씨름 대회에서 아이언맨이 배트맨을 '밭다리걸기'로 이겼어.
4. '오랜만에' 바다에 놀러왔어.

정답은 2번. '되었어'를 줄이면 '됐어'가 맞습니다.

1. 금시에 → 금세
3. 바깥다리걸기(다리 바깥쪽 걸기)의 뜻입니다.
4. 오래간만에 → 오랜만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114 논틀밭틀길, 고샅, 고샅길, 고샅고샅, 숫눈길, 샅 웹담당관리자 2024-01-14 67  
113 젯밥과 잿밥 file 웹담당관리자 2024-02-06 69  
112 이수지, 韓작가 최초 ‘아동문학 노벨상’ 안데르센상 수상 file 웹담당관리자 2022-03-22 631 1
111 자리는 빌리고 용서는 빌고 file 웹관리자 2015-08-08 1656 1
110 백석의 연인 ‘란’과 결혼한 경성제대 反帝동맹 주동자 신현중 file 강정실 2022-03-12 1713 1
109 틀리기 쉬운 맞춤법…‘강지영, 그녀의 설레임(X)?’ 강정실 2015-08-17 1714 1
108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웹관리자 2015-09-16 1743 1
107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강정실 2015-10-17 1836 1
106 개인기? 성대를 '묘사' file 웹관리자 2015-09-16 1914 1
105 안되는 줄 알면서 억지부리는 모습, "너 ○○○○구나!" file 웹관리자 2015-09-16 2015 1
104 짜장 똥겨줘요? 사전에 이런 말도 있다. file 웹관리자 2015-06-09 2020 1
103 나이는 거스르고 마음은 추스르고! file 웹관리자 2015-09-11 2101 1
102 <우리 말글 이야기>엄한 사람? 애먼 사람! file 강정실 2015-10-17 2169 1
101 풍물·버나·살판·어름에 관한 해석 file 웹관리자 2015-08-25 2176 1
100 '독도는 일본땅' 주장 반박할 130년 전 日검정교과서 발견 웹담당관리자 2017-08-07 2186 1
99 국사편찬위, 내달 업데이트 완료…2억4천만자 '대기록' file 웹관리자 2015-11-11 2189 2
98 잔치는 벌이고 격차는 벌리고! file 웹관리자 2015-07-24 2293 1
97 부시를 쳐서 불을 붙이는 ‘부싯깃’ file 웹관리자 2015-09-16 2316 2
96 설욕은 벼르고, 칼날은 벼리고! file 웹관리자 2015-09-04 2349 1
95 웬만한 건 다 ‘웬’, 왠은 ‘왠지’로만 file 강정실 2015-08-01 235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