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맞히다/맞추다

조회 수 6725 추천 수 2 2015.03.21 19:06:07

그만 맞추고, 이젠 맞히세요

맞히다/맞추다

 
그만 맞추고, 이젠 맞히세요
위는 기업체 홍보용 사진인데요. 두 사진의 빨간 동그라미 부분은 모두 틀렸습니다. 이 낱말은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틀리게 쓰는데요. 기자나 방송인도 예외가 아닙니다. 맞히다[마치다]와 맞추다[맏추다], 왜 이렇게 헷갈릴까요?

사전적으로,
'맞히다'는 맞다의 사동사인데요. 문제에 대한 답이 틀리지 않도록 하다, 또는 한 물체가 어떤 물체에 닿게 한다는 뜻으로 '적중'의 의미가 있습니다.
'맞추다'는 둘 이상의 일정한 대상을 나란히 비교하여 살피다, 또는 서로 떨어져 있는 부분을 제자리에 맞게 대어 붙인다는 뜻입니다.
발음도 비슷한데, 사전적 의미도 약간 비슷한 느낌입니다. 그렇다면 쓰는 상황은 어떻게 다를까요?

그만 맞추고, 이젠 맞히세요
'맞히다'는 크게 2가지 경우에서 씁니다. (답을) 콕 집어내거나, (무언가를) 탁 때리는 상황이죠.
시험문제나 퀴즈의 답은 맞'히'고 투수의 강속구도, 축구 골대도 맞'히'는 겁니다. 상황을 보니 일상에서 참 많이도 쓰는(많은 분들은 틀리게 쓰는) 말입니다.

'맞추다'는 맞닿게 하거나, 서로 비교하는 상황, 또는 비교해서 일정하게 하는 상황에서 씁니다.
퍼즐조각을 맞'추'거나 입술을 맞'추'고, 애인과 휴가일정을 맞'추'고 줄을 맞'추'는 겁니다.

어떤 분들은 '맞춤법'이란 말 때문에 헷갈려 하는데요. 맞춤법은 자음과 모음을 잘 맞'춰'서 글자를 만든다는 뜻이기 때문에 맞춤법이 된 것입니다. 비슷한 말인 '철자(綴字)법'도 말 그대로 글자를 엮는(꿰매는) 법을 뜻합니다.

자, 그럼 처음 두 사진을 맞게 고쳐봤습니다.

그만 맞추고, 이젠 맞히세요
끝으로 난이도 있는 문제인데요. 다음 두 문장은 모두 쓸 수 있습니다. 뜻은 어떻게 다를까요?

1. 어려웠던 영어시험 2번 문제 답을 맞췄다.
2. 어려웠던 영어시험 2번 문제 답을 맞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94 우리말, '뭐'/'머', 구어적 표현이 표준어가 된 사례 강정실 2015-03-21 7375 1
93 별사진 찍기 file 웹관리자 2014-10-18 7187 4
92 우리말, '토종 우리말' 같은 외국에서 들어온 말 강정실 2015-03-21 7183 2
91 우리말, 되/돼, 데/대 강정실 2015-03-21 7128 4
90 기사에서도 틀린 말들이… 강정실 2015-03-21 6961 3
» 우리말, 맞히다/맞추다 강정실 2015-03-21 6725 2
88 띄어쓰기 웹관리자 2014-09-21 6632 1
87 ‘첫번째’ ‘첫 번째’ 올바른 띄어쓰기는? file 웹관리자 2015-06-09 6206 2
86 우리말, 띄어쓰기 강정실 2015-03-21 6024 2
85 다르다와 틀리다와의 차이점 file 웹관리자 2015-05-10 5759 1
84 흥선 대원군의 환갑 얼굴 file 강정실 2015-12-26 5744 2
83 '든' '던' ? file 강정실 2015-07-04 5599 1
82 우리말, 알아도 틀리게 쓰는 말 '바라/바래' 강정실 2015-03-21 5484 1
81 우리말, 개비/가치/개피 바로알기 강정실 2015-03-21 5394 2
80 우리말, 고쳐야 할 일본식 지명 강정실 2015-03-21 5372 2
79 우리말, 붴, 거시기, 시방… 우린 참말로 표준어다! 강정실 2015-03-21 5324 2
78 고종황제 서양 주치의에 하사한 족자 문화재로 등록 file 웹관리자 2016-02-11 5151 1
77 이미 확보해 놓은 높은 벼슬, '떼어놓은 당상' file 강정실 2015-10-17 5004 2
76 우리 땅에서 성장한 한자어는 우리말? file 강정실 2015-06-10 4934 1
75 타향살이 우리 문화재 8,400여 점 그 면면은 file 웹관리자 2016-04-11 488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