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SI20150401_0010779988_web.jpg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박희진 시인이 지난달 31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4세.

1931년 경기도 연천에서 태어난 시인은 고려대 영문과를 졸업한 뒤 1955년 조지훈·이한직의 추천으로 ‘문학예술’지를 통해 문단에 나왔다.

 

군사혁명과 비상계엄령 선포로 살벌했던 1961~1967년 시동인지 ‘육십년대 사화집’을 만들어 문단의 숨통을 틔웠다. 1979년 구상, 성찬경 시인 등과 함께 ‘공간 시낭독회’를 창립, 한국 현대 시낭송 운동의 선두 역할을 했다.

시인은 한국적 전통에 충실한 서정시를 지향하면서도 1행시, 4행시, 영시의 소네트 형식을 채용한 14행시, 장시 등 형식 면에서 다양한 실험을 했다. 내용 면에서는 불교적 정서를 바탕으로 우리의 전통문화와 산수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민족 시인으로 평가 받는다. 평생 독신으로 살았다.

펴낸 시집으로는 ‘실내악’(1960), ‘청동시대’(1965), ‘미소하는 침묵’(1970), ‘빛과 어둠의 사이’(1976), ‘소나무 만다라’(2005) 등이 있다. 최근까지 ‘4행시와 17자시’(2012), ‘영통의 기쁨’을 출간하는 등 총 35권의 단행본을 냈다. 1959년 타고르의 시집 ‘기탄잘리’를 번역하기도 했다.

월탄문학상(1976), 한국시협상(1991), 보관문화훈장(1999), 상화시인상(2000), 펜문학상(2011), 녹색문학상(2012) 등을 받았으며 2007년 대한민국 예술원회원으로 선출돼 활동했다.

빈소는 강남 삼성의료원 장례식장 3호실에 마련됐다. 발인은 2일 오전 11시 30분, 장지는 경기도 구리시 봉인사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215 장례문화(葬禮文化) file 신성철 2015-04-03 11552 1
214 '덕종어보' 드디어 고국 품에 돌아왔다. file [1] 석송 2015-04-02 9435 2
213 한국 전통음악과 무용의 진수 선보일 것 file 석송 2015-04-02 13214  
212 류광일·김경자 2인전 file 석송 2015-04-02 9498  
211 바닷가서 펼치는 '연날리기 행사' file 석송 2015-04-02 11361 1
»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박희진 시인이 지난달 31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4세. file 엄경춘 2015-04-02 7093 2
209 '만우절 의미' '만우절 유래' file [2] 이병호 2015-04-01 8031 3
208 평통자문위원 신청열기 시들 file 석송 2015-04-01 8674  
207 진해 군항제 벚꽃축제(영상물) file [1] 안지현 2015-03-31 31848 5
206 따로 입양후 25년 만의 재회, 한인쌍둥이 file 신성철 2015-03-31 8769 2
205 서울에서도 트롤리버스 운행 file 석송 2015-03-31 6268 1
204 세계적 화산섬(축구장 16.5배) 해저분화구, 제주서 발견 file 석송 2015-03-31 7462 2
203 1000년 전 민간요법이 슈퍼박테리아 박멸 핵심 열쇠 될까 file 석송 2015-03-30 6772 1
202 행운의 상징, 2달러 지폐 file 정순옥 2015-03-29 26483 2
201 플라스틱 돈 file 정순옥 2015-03-29 6519 2
200 선크림의 오해와 진실 file 석송 2015-03-28 8263 1
199 악플, 무례에 대처하는 법 file 지상문 2015-03-28 7664 2
198 하늘아래 비문卑門이 하늘위 碑文으로(배정웅 상임고문 사모님 소천하심) 오애숙 2015-03-28 5736 3
197 '훈민정음 해례본 상주본'은 어디에? file 제봉주 2015-03-27 6744 2
196 한국인 개발한 시각장애인용 '만지는 시계' file [1] 석송 2015-03-27 1231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