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으로 보는 건강 상태

조회 수 5203 추천 수 1 2015.04.29 08:37:06

 

대변 가늘면 영양 부족… 장내 유해균 많으면 냄새 심해

대변으로 보는 건강 상태
황토·노랑·갈색 모두 '정상' 붉은빛 띠면 대장 출혈 의심
수분 부족하면 대변 굵어져

 

 

대변은 우리 몸 중 소화 기관의 건강 상태를 반영하는 거울이다. 음식물이 식도→위→십이지장→소장→대장→직장을 거치며 대변으로 배설되는데, 각 소화기관의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대변의 색깔과 모양이 변한다. 간·쓸개·췌장의 이상도 대변으로 나타날 수 있다. 대변을 더럽게만 여기는데, 잘 관찰하면 몸속 숨은 질병을 알아낼 수 있다.

 

◇초록·노란색은 정상, 검거나 붉으면 출혈 탓

가장 주의해서 봐야할 게 대변의 색깔이다. 대변이 갈색인 이유는 담즙 때문이다. 담즙은 지방을 소화시키는 효소로, 간에서 만들어져 담도를 통해 십이지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음식물과 만난 뒤 장으로 내려가는데, 담즙은 장내세균과 만나면 갈색·황토색·노란색 등으로 변한다. 담즙은 원래 초록색을 띤다. 한양대병원 소화기내과 이항락 교수는 "사람마다 주로 먹는 음식이나 장내세균의 분포가 달라서 담즙이 변성된 후의 색깔이 다 다르다"며 "갈색·황토색·노란색 같은 대변을 보는 것은 모두 정상 범위에 속한다"고 말했다.

대변이 붉거나, 검거나, 흰빛을 띠면 질병 탓일 수 있다. 대변이 붉은 것은 항문과 가까운 소화기관, 즉 대장 등 하부(下部) 위장관에 출혈이 있기 때문이다. 대장암 등을 의심해볼 수 있다. 검은색 대변은 반대로 식도·위·십이지장·소장 등 상부(上部) 위장관에서 출혈이 생겼다는 신호다. 음식물에 혈액이 섞였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검은빛으로 변한 것이다. 위식도 역류질환, 위염, 위궤양 등이 있을 때 출혈이 생기기 쉽다.

대변이 흰색이면 담도폐쇄증일 가능성이 있다. 담도가 막히면 담즙이 십이지장으로 흐르지 못 해, 대변에 담즙이 섞이지 않는다. 이때는 흰 쌀밥을 뭉쳐놓거나, 두부를 으깨놓은 것 같은 대변을 본다. 담도는 주로 담도염·담도암 등이 있을 때 막힌다.

 

2015042802548_0.jpg

 

                                                                        대변으로 알 수 있는 건강 상태  

 


◇가늘면 영양 부족, 굵으면 수분 부족

대변 모양도 잘 살펴야 한다. 일반적으로, 바나나처럼 길고 적당히 굵은 대변을 볼 때 건강하다고 여긴다. 만약 대변이 평소보다 가늘어졌다면 영양 상태가 좋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식사를 제대로 챙겨 먹지 않는 무리한 다이어트를 했을 때 주로 가는 대변이 나온다. 드물지만, 대장이나 직장에 암이 생겨도 대변이 가늘어진다. 대변이 가늘게 나오는 게 일시적이지 않고 지속된다면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아보는 게 좋다. 반대로 대변이 평소보다 굵어지거나, 중간에 끊기거나, 토끼똥처럼 자잘한 모양이라면 수분 섭취에 신경 써야 한다.

이항락 교수는 "안 하던 설사를 하면 대부분 급성 세균성 장염으로 특별한 치료가 필요 없지만, 한 달 정도 설사가 지속되면 대장암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배변 횟수·냄새는 음식 따라 달라져

대변을 보는 횟수는 하루에 두세 번, 2~3일에 한 번 등 사람마다 다르다. 스스로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다면 모두 정상이다. 다만 과격한 운동을 하거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대변 보는 횟수가 늘어날 수 있으며, 고기를 많이 섭취하면 줄어든다. 대변 냄새는 먹는 음식에 따라 바뀐다. 고기를 많이 먹으면 장내세균 중 유해균의 수가 늘어나 냄새가 심하게 나는 경향이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130 누에고치로 '시력 개선 필름' 만들었다 file 웹관리자 2017-07-08 1158 1
129 주 3~4회 적절한 음주, 당뇨병 확률 낮춘다 file 웹담당관리자 2017-08-05 1190 1
128 만성 염증 줄이는 먹을 거리 10 file 홍용희 2017-11-03 1376  
127 몸을 젊게 하는 생강 식초 홍용희 2017-11-02 1388  
126 노안보다 무서운 황반변성 조심 홍용희 2017-10-29 1396  
125 미국에서 치매 환자에 젊은 피 수혈..... "일부 증상 개선" file 홍용희 2017-11-06 1451 1
124 파킨슨병 발병 원인 뒤집는 연구 결과 발표 홍용희 2017-09-19 1489  
123 건강에 좋지 않은 식품 8가지 file 홍용희 2017-08-08 1559 1
122 콜레스테롤 홍용희 2017-10-21 1586 1
121 걷기 운동과 건강 file 홍용희 2017-09-24 1591 1
120 웰다잉 홍용희 2017-11-23 1658  
119 고혈압, 약으로 내려도 정상인보다 위험 웹관리자 2015-10-22 1703 1
118 수면 시간과 건강 file 홍용희 2017-09-16 1728  
117 커피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 홍용희 2017-11-28 1790  
116 당뇨발 환자 90% 눈에도 문제 생긴다. file 홍용희 2017-11-13 1796 1
115 잠의 진화 / 이정모 file 홍용희 2017-10-28 1801  
114 꽃가루 알레르기 위험도 인공지능으로 예보한다 file [3] 웹관리자 2017-03-19 1857 1
113 쌀.쌀과자 추출물, 아토피 예방에 도움 file 웹관리자 2017-02-01 1947 1
112 당뇨병치료의 7가지 확인 웹관리자 2015-03-13 2000 2
111 비타민 D 품은 자외선 쬐어야 할까, 피해야 할까? 웹관리자 2015-07-03 203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