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 김정희의 묵란도와 향기

조회 수 13287 추천 수 3 2015.06.18 09:06:57

kukminilbo_20150619002100203tfsa.jpg

 

추사 김정희(1786∼1856)에게 글씨와 그림은 삶의 표현이었다. 여러 서체의 예술성을 아우른 서체는 추사체로 이름이 높다. 추사체는 굵고 힘찬 글씨로 강한 의지를 드러내거나 돌에 새긴 듯 절제 있는 글씨로 오묘한 변화를 보여준다. 외척 세도권력에게 밀려나 인생의 절정기를 유배지에서 보낸 안타까운 삶이 녹아 있다.

추사의 글씨엔 그림이 곁들여져 내면을 전하는 또 다른 수단이 된다. 검은 먹물을 찍은 붓이 한 가닥씩 솟아오르고 휘어지는 선으로 변하면서 낙락장송이 되기도 하고 바위가 되기도 한다. 추사의 삶은 난초 그림에서 개화한다. 보이지 않는 뿌리 다발에서 수많은 난초 잎이 피어났다. 추사는 이런 난초로 인생과 학문을 말하고, 예술을 이야기했다.
김정희 ‘난맹첩’의 ‘국향군자’. 간송미술문화재단 제공↑ 김정희 ‘난맹첩’의 ‘국향군자’. 간송미술문화재단 제공
추사는 단 한 포기의 난 그림으로 ‘나라 제일의 향기인 군자(國香君子)’를 표현하였다. 중앙에 솟아난 성긴 난 잎들 속에서 솟구쳐 나온 두 줄기 잎이 교차하며 좌우로 뻗어나가 상과 하를 이룬다. 올라가든 내려오든 중앙에 굳게 뿌리내린 난은 군자의 삶을 보여준다.

이 그림은 8월 30일까지 열리는 동대문디자인플라자의 간송문화전 제4부 ‘매·난·국·죽-선비의 향기’ 전시회에 7월 2일부터 교체 작품으로 전시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4805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7224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4626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4820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1413 5
2034 옐로스톤 국립공원의 지하에서 거대 마그마 저장소가 새로 발견 file 웹관리자 2015-04-25 14068 1
2033 공룡 멸종 이유는 소행성 충돌과 이어진 화산폭발 file 석송 2015-10-02 14021 1
2032 국내서 41년 만에 발견된 멸종위기종 file [1] 엄경춘 2015-02-12 13922 3
2031 100년 前 그모습 부활한 대한제국.. 덕수궁 석조전 원형 복원 10월 13일 재개관 file 웹관리자 2014-10-07 13920 1
2030 대저택을 마다하고 평생 방랑하며 산 '톨스토이'의 삶 file 제봉주 2015-02-06 13784 2
2029 자갈치 시장의 근황 file [1] 신성철 2015-01-12 13720 1
2028 라스베이거스의 15가지 맛 석송 2015-05-12 13558 1
2027 일본 온타케산 화산 폭팔 file 웹관리자 2014-09-28 13556 1
2026 청록파 시인 [1] 석송 2015-03-08 13335  
2025 사육사도 몰랐다. 밤' 되면 울음소리 내는 기린. file 이숙이 2015-09-19 13327 2
» 추사 김정희의 묵란도와 향기 file 웹관리자 2015-06-18 13287 3
2023 새 잡는 유리벽… 5년간 3834마리 '비명횡사' file 석송 2015-10-07 13240 2
2022 지구에 다른 태양과 달이 뜨면 신성철 2015-02-05 13189 2
2021 한국 전통음악과 무용의 진수 선보일 것 file 석송 2015-04-02 13140  
2020 가수 김민기 file [1] 석송 2015-04-04 13135 4
2019 전 세계 헤비급 참피언 무하마드 알리 사망 file 웹관리자 2016-06-04 13091 1
2018 서머타임 해제 (Daylight Saving Time Ends) file 홍용희 2017-10-28 12967  
2017 반고흐 풍경화, 717억원에 팔려..낙찰자는 아시아인 file 웹관리자 2015-05-06 12741 3
2016 시베리아서 희귀물질 발견---운석 충돌로 발생 가능성 file 강정실 2017-01-03 12674 1
2015 유럽인 정착 이후 호주 동물 생물 생태계 변화 file 지상문 2015-02-10 1259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