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든' '던' ?

조회 수 5599 추천 수 1 2015.07.04 10:42:03

201507040217_11130923145752_1_99_20150704021805.jpg


 

“죽이 되던 밥이 되던 해봐야지.” “오빠는 잘 있든?”

위에서 ‘던’은 ‘든’으로, ‘든’은 ‘던’으로 써야 합니다. ‘든’은 ‘든지’의 준말로, 어느 것이 선택돼도 차이가 없는 둘 이상을 나열함을 뜻합니다. ‘사과든 배든…’처럼. 또 나열된 것 중에서 어느 것이든 선택될 수 있음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계속 가든 여기서 굶어 죽든…’같이 말할 수 있지요.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중에서 어느 것이 일어나도 뒤의 것이 성립하는 데 아무 상관이 없음을 나타내는 말로도 쓰입니다. ‘노래를 부르든 춤을 추든’처럼 말입니다.

‘던’은 어떤 일이 과거에 완료되지 않고 중단되었다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그냥 가던 길 가세요’처럼. 또 어떤 이에게 과거에 경험했거나 알게 된 사실을 회상하여 답하도록 묻는 말입니다. ‘더냐’보다 친근한 느낌을 줍니다. ‘그 여자가 그리도 좋던?’처럼 말하지요. ‘던지’는 ‘몸이 아팠던지 그는 움직이지 못했다’ ‘꽃이 얼마나 곱던지 눈물이 났다’ ‘그가 불쌍했던지 모두 돌아보았다’처럼 말해야 합니다. ‘든지’가 아닙니다.

‘든’과 ‘던’, 일상에서 잘못 쓰이는 언어 중 하나입니다. 옳고 그름 생각 없이 뭐든 하던 대로만 하면 나쁜 습관이 들 수 있지요. 말도 그렇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94 우리말, '뭐'/'머', 구어적 표현이 표준어가 된 사례 강정실 2015-03-21 7375 1
93 별사진 찍기 file 웹관리자 2014-10-18 7187 4
92 우리말, '토종 우리말' 같은 외국에서 들어온 말 강정실 2015-03-21 7183 2
91 우리말, 되/돼, 데/대 강정실 2015-03-21 7128 4
90 기사에서도 틀린 말들이… 강정실 2015-03-21 6961 3
89 우리말, 맞히다/맞추다 강정실 2015-03-21 6725 2
88 띄어쓰기 웹관리자 2014-09-21 6632 1
87 ‘첫번째’ ‘첫 번째’ 올바른 띄어쓰기는? file 웹관리자 2015-06-09 6206 2
86 우리말, 띄어쓰기 강정실 2015-03-21 6024 2
85 다르다와 틀리다와의 차이점 file 웹관리자 2015-05-10 5759 1
84 흥선 대원군의 환갑 얼굴 file 강정실 2015-12-26 5744 2
» '든' '던' ? file 강정실 2015-07-04 5599 1
82 우리말, 알아도 틀리게 쓰는 말 '바라/바래' 강정실 2015-03-21 5484 1
81 우리말, 개비/가치/개피 바로알기 강정실 2015-03-21 5394 2
80 우리말, 고쳐야 할 일본식 지명 강정실 2015-03-21 5372 2
79 우리말, 붴, 거시기, 시방… 우린 참말로 표준어다! 강정실 2015-03-21 5324 2
78 고종황제 서양 주치의에 하사한 족자 문화재로 등록 file 웹관리자 2016-02-11 5151 1
77 이미 확보해 놓은 높은 벼슬, '떼어놓은 당상' file 강정실 2015-10-17 5004 2
76 우리 땅에서 성장한 한자어는 우리말? file 강정실 2015-06-10 4934 1
75 타향살이 우리 문화재 8,400여 점 그 면면은 file 웹관리자 2016-04-11 488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