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KR20150714185452071_04_i_99_20150715021208.jpg

 

 9년반 56억7천만㎞ 여행…태양계 밖 더 깊은 우주로 길 떠나

NASA 연구원 "태양계에 대한 기초관측 완결…기쁘다"

 

 

 미국의 우주 탐사선 뉴호라이즌스 호가 14일 오전 7시 49분 57초(한국시간 오후 8시 49분 57초)에 태양계의 가장 외곽에 위치한 명왕성에서 가장 가까운 약 1만2천550㎞ 거리까지 접근했다.

2006년 1월 19일(이하 현지시간) 발사된 뒤 9년6개월 동안 태양을 등지고 56억7천만㎞ 거리의 우주 공간을 날아간 뒤의 일이다.

 

AKR20150714185452071_03_i_99_20150715021208.jpg

 


최근접점을 지날 때 뉴호라이즌스의 비행 속도는 지구상의 어떤 비행체도 따라갈 수 없는 수준인 초속 약 14㎞였다. 이 속도로는 1시간 이내에 지구 주위를 한 바퀴 돌 수도 있다.

명왕성 최근접점을 통과한 뉴호라이즌스는 명왕성의 그림자가 생기는 공간과 명왕성의 최대 위성 카론의 그림자가 생기는 공간을 차례로 거친 뒤 태양계 바깥쪽 깊은 우주로 미지의 여행에 나섰다.

뉴호라이즌스가 성공적으로 명왕성 최근접점을 통과하자, 미국 존스홉킨스대 응용물리학 연구실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연구원들은 환호성을 지르고 박수를 치며 사상 최초의 명왕성 탐사선이 제 몫을 다했음을 축하했다.

이에 따라 미국은 유일하게 현재 8개인 태양계 행성은 물론 명왕성에까지 우주 탐사선을 보낸 유일한 국가가 됐다.

전력을 아끼려고 약 9년간 통신 등의 기능을 사용하지 않았던 뉴호라이즌스는 지난해 12월 '동면' 상태에서 성공적으로 깨어난 뒤, 올해 1월부터 본격적으로 명왕성 탐사를 시작했다.

 

PYH2015071305290034000_P2_99_20150715021208.jpg

 

-명왕성 발견자 유골 실은 탐사선 '뉴호라이즌스' 1930년 명왕성 발견의 공로를 기리려고 미국인 천문학자 클라이드 톰보의 유해가 담긴 알루미늄 통을 명왕성 탐사선 '뉴호라이즌스'에 부착해 놓았다. 이 탐사선은 14일(미국 시각) 명왕성 최근접점인 7천800마일(약 1만2천553km) 이내로 접근하게 된다.(AP자료사진)

 


최근접점을 통과할 때 뉴호라이즌스는 고해상도 망원카메라 'LORRI'를 비롯한 7종류의 관측 장비들을 본격 가동해 약 80m 크기의 물체까지 식별할 수 있는 사진을 찍어 지구로 보낼 예정이다.

과학자들은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명왕성의 위성 4개를 더 발견하는 등 명왕성에 대한 많은 정보를 얻었지만, 우주 탐사선이 근접 비행하면서 관측한 각종 정보들은 지구 궤도에서 얻어진 것보다 훨씬 더 상세하고 정확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명왕성 최근접점을 통과하기 약 8시간 전부터 뉴호라이즌스는 명왕성과 주변 위성들에 대한 관측 장비에 동력을 집중하고자 통신을 일시적으로 중단한 상태다.

이날 오후 8시 50분께 뉴호라이즌스가 전송할 비행 성공 메시지와 관측 정보들이 성공적으로 지구에 수신되면 뉴호라이즌스의 명왕성 근접비행의 성공이 공식으로 확인된다.

명왕성은 1930년 미국 천문학자 클라이드 톰보(1906∼1997)가 발견했고 곧바로 태양계의 9번째 행성으로 분류됐지만, 국제천문연맹(IAU)이 2006년 8월 행성에 대한 기준을 바꾸면서 명왕성은 왜소행성으로 격하됐다.

탐사선 뉴호라이즌스, 14일 명왕성 최근접 도달 (AP=연합뉴스) 미국 우주항공국(나사·NASA)의 무인 탐사선 뉴호라이즌스가 전통적 개념으로 태양계의 마지막 행성인 명왕성에 오는 14일(현지시간) 약 1만2천500㎞까지 접근한다.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에서 2006년 1월19일 발사된 이 탐사선은 9년 6개월 동안 56억7천만㎞를 비행한 끝에 최고 근접점에 도달할 예정이다.

 

PYH2015071304340034000_P2_99_20150715021208.jpg

 

                                                   -사진은 지난 11일 뉴호라이즌스가 촬영한 명왕성의 모습.


전날 뉴호라이즌스가 송신한 사진에는 거대한 운석 충돌 흔적으로 여겨지는 모양과 함께, 밝은 하트 모양의 형태가 포착돼 눈길을 끌기도 했다.

사진 일부에서 보이는 흰 반점에 대해 눈이나 얼음이 아니냐는 추측이 나왔지만, NASA는 아직은 불확실하다며 말을 아꼈다.

NASA는 또 뉴호라이즌스 탐사선이 예정됐던 거리보다 약 64㎞ 더 명왕성에 가깝게 비행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NASA에서 뉴호라이즌스 연구를 이끄는 앨런 스턴 연구원은 "(존 F.) 케네디 전 대통령 때부터 시작했던 태양계에 대한 기초 관측이 이로써 완결됐다"며 "매우 기쁘다"고 소감을 말했다.

뉴호라이즌스는 명왕성 중력권을 통과한 뒤 다양한 크기의 소행성과 얼음덩어리들로 구성된 '카이퍼 벨트'를 탐사하는 일을 맡게 되고, 그 이후에도 기능이 다 할때까지 깊은 우주로 날아가며 인류의 과학 지평을 계속 넓혀갈 예정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 뉴호라이즌스 명왕성 최근접…인류 우주탐사 지평 넓힌 개가 file 웹관리자 2015-07-14 3852 2
354 독일 슈바르츠발트의 웰빙 호텔 웹관리자 2015-07-14 5944 1
353 청력 상실 절망서 발견한 삶의 기쁨 담아 file 석송 2015-07-14 3969 1
352 부산 보수동 책방골목 file 강정실 2015-07-13 8624 2
351 조국과 결혼한 님의 눈물 빛이되어! file 박영숙영 2015-07-12 4067 4
350 첫째 복날 초복, 초복의 의미는? file [1] 정덕수 2015-07-12 7057 2
349 남산에서 동대문, 그 많던 성돌은 어디로 갔을까 file [1] 웹관리자 2015-07-11 5551 2
348 "피부관리 습관·자신감·노화 공포증 극복이 핵심" file 웹관리자 2015-07-10 4930 1
347 사랑방 글샘터 문학강의 file 웹관리자 2015-07-09 4964 1
346 붉은 화성, 푸른 노을 file 웹관리자 2015-07-09 5482 1
345 낭만의 도시 부산, 감성여행 file 웹관리자 2015-07-09 8914 5
344 제4회 UCLA 에세이대회 수상자 발표 file 웹관리자 2015-07-08 4567  
343 시와 시인, 21일 시 창작교실 웹관리자 2015-07-08 4715  
342 회수된 총기들 산더미 file 석송 2015-07-07 3860 1
341 일본 근대산업시설의 세계유산 등재 file 정덕수 2015-07-06 3404 1
340 강원도 저수지서 ‘피라니아’ 발견···“관상용으로 키우다 버린 듯” file 석송 2015-07-04 4418 1
339 백제역사유적지 11번째 세계유산등재 file 석송 2015-07-04 3747 1
338 모래더미에 숨겨졌던 제주 소천굴 705m 발견 file 신성철 2015-07-03 4482 2
337 IS가 2천년 된 3m 높이의 사자상 파괴 file [1] 석송 2015-07-03 4422 1
336 17기 평통위원 LA 173명 file [1] 석송 2015-07-03 723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