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물·버나·살판·어름에 관한 해석

조회 수 2176 추천 수 1 2015.08.25 15:13:49

201508220228_11130923210834_1_99_20150822022905.jpg

 


 

 

 

‘남사당’은 ‘무리를 지어 이곳저곳 돌아다니면서 소리나 춤을 팔던 남자’를 이르는 말입니다. ‘남사당놀이’는 길놀이를 하며 놀이판에 도착해 풍물, 버나, 살판, 어름, 덧보기, 덜미의 순서로 이어지는 남사당패의 놀이를 뜻하지요.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중요무형문화재 제3호이기도 하고요.

남사당놀이에서 순서대로 진행되는, 좀 생소하지만 우리가 기억해야 할 여섯 가지 놀이들을 볼까요.

첫 번째 ‘풍물’은 꽹과리 태평소 북 장구 징 따위로 흥을 돋우는 것입니다. 다소 거칠고 힘찬 윗다리 가락을 바탕으로 하지요. 두 번째 ‘버나’는 사발이나 대접을 두어 뼘 되는 막대기나 담뱃대 같은 것으로 돌리는 묘기입니다. 세 번째 ‘살판’은 ‘살판뜀’이라고도 하는데 몸을 날려 넘는 땅재주를 말하지요.

네 번째 ‘어름’은 줄타기 재주이며, 다섯 번째 ‘덧보기’는 탈놀음으로, 춤보다는 재담과 몸놀림이 우세한 풍자극입니다. 여섯 번째 ‘덜미’는 꼭두각시놀음을 말하는데 목덜미를 잡고 논다는 데서 나온 말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74 한글 논리적인 글자 (동영상) 웹관리자 2014-10-15 2582 2
73 구한말 돈으로 관직 거래한 문서 '임치표' 확인 file 강정실 2015-11-10 2494 2
72 백석의 연인 ‘란’과 결혼한 경성제대 反帝동맹 주동자 신현중 file 강정실 2022-03-12 1713 1
71 이수지, 韓작가 최초 ‘아동문학 노벨상’ 안데르센상 수상 file 웹담당관리자 2022-03-22 631 1
70 '독도는 일본땅' 주장 반박할 130년 전 日검정교과서 발견 웹담당관리자 2017-08-07 2186 1
69 광복 후 첫 독도 조사 때 찍은 '강치 사진' 찾았다 file 웹관리자 2017-07-11 4826 1
68 18세기 조선통신사가 일본서 받은 금풍경 3점 발견 file 웹관리자 2017-07-08 2537 1
67 가장 오래된 '흥부전' 필사본 file 웹관리자 2017-07-08 2461 1
66 42가지 언어로 옮긴 한국문학 한자리에 file 웹관리자 2017-07-08 2438 1
65 새로 표준어로 인정된 어휘 웹관리자 2016-12-30 3972 1
64 "조선 사신으론 내가 적임" 명·청 때 서로 오려 한 까닭 file 웹관리자 2016-09-11 3191 1
63 왜 청자뿐일까…해저유물 미스테리 file 웹관리자 2016-04-14 4172 1
62 타향살이 우리 문화재 8,400여 점 그 면면은 file 웹관리자 2016-04-11 4881 1
61 “문학은 사람의 목소리, 결코 망하지 않을 거요!” file 웹관리자 2016-03-31 3308 1
60 오금이 저리다 file 웹관리자 2016-03-21 7737 1
59 114년 전 美 언론이 취재한 '청년 안창호의 꿈' file 웹관리자 2016-03-06 3009 1
58 고종황제 서양 주치의에 하사한 족자 문화재로 등록 file 웹관리자 2016-02-11 5151 1
57 우리나라의 국명은 한국, 정확하게는 대한민국이다 웹관리자 2016-01-19 7927 1
56 ‘이른둥이’ ‘따라쟁이’ file 웹관리자 2016-01-02 3357 1
55 '잎새' '푸르르다' '이쁘다' 등 표준어 인정 웹관리자 2015-12-14 248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