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28178_article_99_20150902192804.jpg

 


 

1. 서유리, 보정 의혹 사진에 '눈꼽(X)까지 나와야 정상인가? 

성우 겸 방송인 서유리는 지난 8월 25일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사진 한 장을 올렸다. 이 사진은 디자이너 황재근과 함께 찍은 것으로, 이전에도 같은 사진을 올렸었지만 '포샵(포토샵) 의혹'이 있어 다시 올린 것이다.

서유리는 사진을 올리면서 "전에 올린 사진은 필터 효과를 준 것일 뿐, 깎거나 늘리거나 하지는 않는다"며 "눈에 낀 눈꼽까지 나와야 포샵 안했다는 말이 나오려나"라며 보정 의혹을 해명했다.

하지만 여기서 '눈꼽'은 틀린 말이다. 정확한 표현은 '눈곱'이다.

한글 맞춤법 27항에서는 '둘 이상의 단어가 어울리거나 접두사가 붙어서 이루어진 말은 각각 그 원형을 밝혀 적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눈곱은 '눈'과 '곱'이 결합한 합성어이므로 두 단어의 원형을 모두 밝혀 적어야 한다.

참고로 '곱'은 부스럼이나 헌데에 끼는 고름 모양의 물질을 말한다.

 

2. '애플 아이폰 6·BMW i3' 날개 돋힌듯(X) 팔린 "또 하나의 이유"

기사 제목에서 '날개 돋힌 듯'은 어법에 맞지 않는 표현이다. 어법에 맞게 하려면 '날개 돋친 듯'이라고 써야 한다.

우선 '돋치다'는 '돋다'의 힘줌말(어떤 말에 소리나 형태소를 더하여 그 말의 뜻을 강조하는 말)이다. '날개 돋친 듯'에 쓰인 '돋다'는 '돋다'의 여러가지 의미 중 '속에 생긴 것이 겉으로 나오거나 나타나다'는 뜻인데, 누군가 그렇게 되도록 만드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그렇게 된다는 의미다.

즉, 피동접사 '히'를 사용해서 '돋히다'라고 쓸 이유가 전혀 없다.

또 '듯'은 짐작이나 추측의 뜻을 나타내는 '듯이'의 준말로, 의존명사다. 의존명사는 앞 말과 띄어써야 하므로, '돋친 듯'이라고 쓰는 것이 맞다.

 

3. 티아라 '아육대' 태도 비난한 팬들 사과 "3일 동안 밤을 새서(X) 판단력이…"

기사의 제목에서처럼 '밤을 새서'라고 하면 틀린 표현이 된다. 정확히 하려면 '밤을 새워서'라고 해야 한다. '한숨도 자지 못하고 밤을 지내다'라는 뜻을 지닌 동사는 '새우다'인데, 흔히 '새다'와 '새우다'를 같은 뜻인 줄 알거나 '새우다'의 준말이 '새다'인 것으로 알곤 한다.

하지만 '새다'는 자동사로서 '날이 새다' '밤이 새다'처럼 사용하는 것이 옳고, ''새우다'는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타동사이므로 '밤을 새우다'처럼 사용하는 것이 옳다.

심지어 '새다' '새우다' '세우다' 세 가지를 혼동하는 경우도 있는데, '세다'는 '털이 희어지다' '사물의 수를 헤아리다' '힘이 많다' 등의 뜻으로 '한숨도 자지 못하고 밤을 지내다'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밤을 세우다'는 완전히 틀린 표현인 것이다.

비슷한 경우로 '담배를 피우다' '바람을 피우다'에서도 '피다'라고 줄여쓰면 안 된다.

 

4. '백종원의 3대 천왕' 명품 먹방 공개…"맛있으면 어깨 쳐져(X)"

가장 많이 헷갈리는 맞춤법 중에 하나가 바로 '쳐지다'와 '처지다'인데, '위에서 아래로 축 늘어지다' 혹은 '감정 혹은 기분 따위가 바닥으로 잠겨 가라앉다'는 의미로 사용하려면 '쳐지다'가 아닌 '처지다'를 쓰는 것이 맞다.

비슷한 예로, '뒤쳐지다'는 틀린 말이고 '뒤처지다'가 맞는 말이다.

그런데 '쳐-'가 사용될 때도 있다. 대표적으로 '쳐들어가다'가 그렇다. 표준어 규정 2장 4절 17항을 보면 '쳐들어가다'의 의미로 '처들어가다'를 쓰는 경우가 있으나 '쳐들어가다'만 표준어로 삼는다'고 명시돼 있다.

또 구분해야 할 것이 접두사 '처-'의 사용처다. '처-'는 일부 동사 앞에 붙어 '마구', '많이'의 뜻을 더하는데, 대표적인 예로 '처먹다', '처넣다', '처바르다'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114 문체 웹관리자 2014-09-21 7924  
113 우리말, -건대, 그리고 '대'와 '데' 강정실 2015-03-21 4608  
112 논틀밭틀길, 고샅, 고샅길, 고샅고샅, 숫눈길, 샅 웹담당관리자 2024-01-14 67  
111 젯밥과 잿밥 file 웹담당관리자 2024-02-06 69  
110 바람의 종류 웹관리자 2014-09-21 13383 1
109 아름다운 우리말, 비의 종류 웹관리자 2014-09-21 8022 1
108 띄어쓰기 웹관리자 2014-09-21 6632 1
107 붴, 거시기, 시방… 우린 참말로 표준어다! 웹관리자 2014-10-24 4493 1
106 덕수궁 그리고 돌담길..132년 만에 '완주' 가능 강정실 2016-02-03 9161 1
105 높임말의 올바른 사용법 강정실 2015-03-21 10627 1
104 우리말, 알아도 틀리게 쓰는 말 '바라/바래' 강정실 2015-03-21 5484 1
103 우리말, '뭐'/'머', 구어적 표현이 표준어가 된 사례 강정실 2015-03-21 7375 1
102 우리말, 아라비아 숫자를 읽고 쓰는 법 강정실 2015-03-21 11372 1
101 우리말, '나아(낫다)'와 '낳아(낳다)' 강정실 2015-03-21 21305 1
100 우리말, "취직하려면… 입문계가 좋아요? 시럽계가 좋아요?" 강정실 2015-03-21 3509 1
99 우리말, '내거'와 '내꺼' 강정실 2015-03-21 9398 1
98 우리말, 사귀다/피우다… 애매한 소리 '우' 강정실 2015-03-21 8981 1
97 국립국어원 발표 2047신어의 경향 file 강정실 2015-03-28 3710 1
96 다르다와 틀리다와의 차이점 file 웹관리자 2015-05-10 5759 1
95 황태자 영친왕의 정혼녀 file 웹관리자 2015-05-19 338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