닐리리와 늴리리

조회 수 2566 추천 수 1 2015.09.04 08:25:24


‘닐리리야 닐리리 닐리리 맘보∼.’ ‘니나노 늴리리야 늴리리야 니나노∼.’

  앞의 것은 응원가 등에서 많이 부르는 나화랑 작곡의 ‘닐리리 맘보’이고, 뒤는 ‘태평가’의 후렴구다. 둘 다 언제 들어도 어깨춤이 들썩일 만큼 신명 난다. 그런데 닐리리 맘보는 닐리리로, 태평가는 늴리리로 각기 달리 적고 있다. 대체 어느 장단에 춤을 춰야 할까.

우리 사전은 ‘늴리리’를 ‘퉁소, 나발, 피리 등 관악기의 소리를 흉내 낸 소리’라고 설명하며 이를 표준어로 삼고 있다. 경기 민요 ‘늴리리야’도 표준어다. 반면 언중이 즐겨 쓰는 ‘닐리리’는 사전 어디에도 없다.

  그렇거나 말거나 입말에서는 닐리리가 늴리리보다 우세하다. 좋은 예가 있다. 올 6월 우리말 달인들이 한 방송사 퀴즈 프로그램에서 실력을 겨뤘다. 치열한 접전 끝에 결승에 오른 한 명이 아쉽게도 마지막 문제를 풀지 못했다. ‘늴리리와 닐리리 중 어느 것이 표준어인가’를 묻는 질문이었다. 그는 주저 없이 입말 ‘닐리리’를 선택했다. 늴리리가 표준어라는 진행자의 설명을 들으면서도 그는 여전히 이해할 수 없다는 표정이었다.

 

  우리말에 ‘늬’ 꼴의 글자가 없는 건 아니다. 아무 저항감이 없는 ‘무늬’나 서쪽에서 부는 바람을 뜻하는 ‘하늬바람’, 밤이나 도토리 따위의 속껍질을 뜻하는 ‘보늬’ 등이 있다. 하지만 이를 제외하면 대부분 낯설다. ‘닁큼’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으신지. ‘머뭇거리지 않고 단번에 빨리’를 뜻하는 표준말이다. 그렇지만 언중은 ‘냉큼’이나 비표준어인 ‘넹큼’을 더 많이 쓴다. 늴리리와 닁큼은 말이 표준어이지, 현실적으로는 언중의 입길에서 멀어진 낱말이라고 봐야 한다. 입말 닐리리를 복수표준어로 삼을 때가 됐다.

  아 참, 많은 이가 태평가의 후렴구에 나오는 ‘니나노’의 뜻을 궁금해한다. 혹자는 ‘니(너)하고 나하고 놀자’를 줄인 말이라고도 하지만 객쩍다. ‘술집에서 젓가락 장단을 치면서 부르는 노랫가락이나 시중드는 여자를 속되게 이르는 말’이다. ‘이래저래 니나노 생활에 익숙해져 갔다’(황석영, ‘어둠의 자식들’)고 하면 어떤 생활인지 짐작이 갈 것이다.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열기 위해 남북 적십자 실무자들이 7일에 만난다는 반가운 소식이 있다. 모쪼록 이산상봉 정례화의 물꼬를 텄으면 좋으련만…. 닐리리야 닐리리야 니나노, 얼씨구나 좋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74 광복 후 첫 독도 조사 때 찍은 '강치 사진' 찾았다 file 웹관리자 2017-07-11 4826 1
73 바뀐 문장부호 file 강정실 2015-06-10 4689 1
72 우리말, -건대, 그리고 '대'와 '데' 강정실 2015-03-21 4608  
71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 숨겨진 진실 file 웹관리자 2015-11-17 4552 1
70 천경자 화백, 수개월 전 별세…‘잠자듯’ 눈 감은 꽃의 여인 file 웹관리자 2015-10-22 4524 2
69 붴, 거시기, 시방… 우린 참말로 표준어다! 웹관리자 2014-10-24 4493 1
68 베테랑 유아인 "어이가 없네"의 몇가지 설 file 강정실 2015-10-17 4472 1
67 우리말, '~ㄹ게'와 '거야' 강정실 2015-03-21 4442 2
66 고흐의 까마귀가 나는 밀밭이 있는 곳(파리 북부, 오베르 쉬르 오와즈) 웹관리자 2015-11-25 4413 3
65 우리말, '다르다'와 '틀리다' 강정실 2015-03-21 4381 2
64 우리말, 사이시옷 강정실 2015-03-21 4351 2
63 사칙연산 우선순위는 어떻게 정해지는가? file 강정실 2015-10-17 4348 1
62 우리말, 방어율?직구? 야구용어 속 '불편한' 진실 강정실 2015-03-21 4310 2
61 일본인 사진가가 찍은 이웃 나라…'내 마음속의 한국' file 웹관리자 2016-03-22 4251 2
60 2015년의 신조어 file 웹관리자 2015-12-16 4250 2
59 왜 청자뿐일까…해저유물 미스테리 file 웹관리자 2016-04-14 4172 1
58 <런닝맨>은 좋지만 '런닝맨'은 싫어요 file 강정실 2015-07-13 4077 1
57 새로 표준어로 인정된 어휘 웹관리자 2016-12-30 3972 1
56 우리말, '~에'와 '~에게' 강정실 2015-03-21 3956 2
55 세종의 아들들이 거쳐간 妓女 초요갱… 불나방처럼 달려든 사내들 file 웹관리자 2015-11-17 381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