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크!'에 대한 것

조회 수 2391 추천 수 1 2015.10.17 13:09:29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수정

 

 '이크!'에 대한 것

 

몹시 놀라거나 뜻밖의 상황을 접했을 때 갑자기 나오는 소리 혹은 남을 슬쩍 추어주면서 비웃을 때 내는 소리를 의미하는 이 말은 우리에게 익숙한 감탄사지만, 사실 북한어다.

표준국어대사전을 보면 '이크'는 '「1」→이키 01. 「2」 『북』 '이키01'의 북한어'라고 설명돼 있다.

그러나 '이크'가 우리 일상생활에서 흔히 쓰이는 점을 고려해 이달부터 북한어에서 남한어로 돌리고 '이키'와 같은 뜻으로 풀이하도록 표준국어대사전이 수정됐다.

 

C0A8CA3C0000014CBB99D3800028AB6_P2_99_20151001103010.jpg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은 1일 '이크'를 포함해 모두 22개의 표준국어대사전 정보 수정내용을 고시했다.

 '남모르다'는 형용사에서 동사로 품사정보가 수정됐다.

지역을 나타내는 말 뒤에 붙어 거기에서 산출된 물건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산'(용례: 한국산/국내산)은 지역 이외에 연도 뒤에도 붙을 수 있도록 뜻풀이가 수정됐다.

 '슬다'는 '곰팡이가 생기다'라는 뜻에서 '곰팡이나 곤충의 알 따위가 생기다'로 뜻풀이가 바뀌었다.

 '문어'(글에서 쓰는 말)는 '문자언어', '구어'(일상적인 대화에서 쓰는 말)는 '음성언어'라는 뜻이 추가됐다.

 '글발'은 '읽는 이로 하여금 그 글에 공감하거나 수긍하게 할 수 있는 글의 힘', '당신'은 '문어체에서 상대편을 높여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라는 뜻풀이가 더해졌다.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어미 '냐'는 주로 구어에 쓰이는 말로 문법 정보가 수정됐다.

 '급'('그에 준하는'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국문학자', '끝부분' '앞축', '에서야', '워낙에'는 표제어로 새로이 표준국어대사전에 들어갔다.

국어원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변화된 언어생활을 반영하고자 각계의 의견을 수렴해 매 분기 수정내용을 발표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74 한글 논리적인 글자 (동영상) 웹관리자 2014-10-15 2582 2
73 구한말 돈으로 관직 거래한 문서 '임치표' 확인 file 강정실 2015-11-10 2494 2
72 백석의 연인 ‘란’과 결혼한 경성제대 反帝동맹 주동자 신현중 file 강정실 2022-03-12 1713 1
71 이수지, 韓작가 최초 ‘아동문학 노벨상’ 안데르센상 수상 file 웹담당관리자 2022-03-22 631 1
70 '독도는 일본땅' 주장 반박할 130년 전 日검정교과서 발견 웹담당관리자 2017-08-07 2186 1
69 광복 후 첫 독도 조사 때 찍은 '강치 사진' 찾았다 file 웹관리자 2017-07-11 4826 1
68 18세기 조선통신사가 일본서 받은 금풍경 3점 발견 file 웹관리자 2017-07-08 2537 1
67 가장 오래된 '흥부전' 필사본 file 웹관리자 2017-07-08 2461 1
66 42가지 언어로 옮긴 한국문학 한자리에 file 웹관리자 2017-07-08 2438 1
65 새로 표준어로 인정된 어휘 웹관리자 2016-12-30 3972 1
64 "조선 사신으론 내가 적임" 명·청 때 서로 오려 한 까닭 file 웹관리자 2016-09-11 3191 1
63 왜 청자뿐일까…해저유물 미스테리 file 웹관리자 2016-04-14 4172 1
62 타향살이 우리 문화재 8,400여 점 그 면면은 file 웹관리자 2016-04-11 4881 1
61 “문학은 사람의 목소리, 결코 망하지 않을 거요!” file 웹관리자 2016-03-31 3308 1
60 오금이 저리다 file 웹관리자 2016-03-21 7737 1
59 114년 전 美 언론이 취재한 '청년 안창호의 꿈' file 웹관리자 2016-03-06 3009 1
58 고종황제 서양 주치의에 하사한 족자 문화재로 등록 file 웹관리자 2016-02-11 5151 1
57 우리나라의 국명은 한국, 정확하게는 대한민국이다 웹관리자 2016-01-19 7927 1
56 ‘이른둥이’ ‘따라쟁이’ file 웹관리자 2016-01-02 3357 1
55 '잎새' '푸르르다' '이쁘다' 등 표준어 인정 웹관리자 2015-12-14 248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