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크!'에 대한 것

조회 수 2391 추천 수 1 2015.10.17 13:09:29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수정

 

 '이크!'에 대한 것

 

몹시 놀라거나 뜻밖의 상황을 접했을 때 갑자기 나오는 소리 혹은 남을 슬쩍 추어주면서 비웃을 때 내는 소리를 의미하는 이 말은 우리에게 익숙한 감탄사지만, 사실 북한어다.

표준국어대사전을 보면 '이크'는 '「1」→이키 01. 「2」 『북』 '이키01'의 북한어'라고 설명돼 있다.

그러나 '이크'가 우리 일상생활에서 흔히 쓰이는 점을 고려해 이달부터 북한어에서 남한어로 돌리고 '이키'와 같은 뜻으로 풀이하도록 표준국어대사전이 수정됐다.

 

C0A8CA3C0000014CBB99D3800028AB6_P2_99_20151001103010.jpg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은 1일 '이크'를 포함해 모두 22개의 표준국어대사전 정보 수정내용을 고시했다.

 '남모르다'는 형용사에서 동사로 품사정보가 수정됐다.

지역을 나타내는 말 뒤에 붙어 거기에서 산출된 물건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산'(용례: 한국산/국내산)은 지역 이외에 연도 뒤에도 붙을 수 있도록 뜻풀이가 수정됐다.

 '슬다'는 '곰팡이가 생기다'라는 뜻에서 '곰팡이나 곤충의 알 따위가 생기다'로 뜻풀이가 바뀌었다.

 '문어'(글에서 쓰는 말)는 '문자언어', '구어'(일상적인 대화에서 쓰는 말)는 '음성언어'라는 뜻이 추가됐다.

 '글발'은 '읽는 이로 하여금 그 글에 공감하거나 수긍하게 할 수 있는 글의 힘', '당신'은 '문어체에서 상대편을 높여 이르는 이인칭 대명사'라는 뜻풀이가 더해졌다.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어미 '냐'는 주로 구어에 쓰이는 말로 문법 정보가 수정됐다.

 '급'('그에 준하는'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국문학자', '끝부분' '앞축', '에서야', '워낙에'는 표제어로 새로이 표준국어대사전에 들어갔다.

국어원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변화된 언어생활을 반영하고자 각계의 의견을 수렴해 매 분기 수정내용을 발표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54 세종의 아들들이 거쳐간 妓女 초요갱… 불나방처럼 달려든 사내들 file 웹관리자 2015-11-17 3811 1
53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 숨겨진 진실 file 웹관리자 2015-11-17 4552 1
52 풍납토성 '1700년의 비밀' 풀리나?…내년부터 발굴 file 웹관리자 2015-11-11 2962 1
51 국보 훈민정음 또 있다. 제3의 혜례본 발견? file 웹관리자 2015-10-17 3043 1
50 담벽과 담벼락 강정실 2015-10-17 2701 1
49 <우리 말글 이야기>엄한 사람? 애먼 사람! file 강정실 2015-10-17 2169 1
48 [기사 속 틀린 맞춤법] 1억수표, 분실물이냐 검은 돈(X)이냐 강정실 2015-10-17 3131 1
47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강정실 2015-10-17 1836 1
» '이크!'에 대한 것 file 강정실 2015-10-17 2391 1
45 베테랑 유아인 "어이가 없네"의 몇가지 설 file 강정실 2015-10-17 4472 1
44 사칙연산 우선순위는 어떻게 정해지는가? file 강정실 2015-10-17 4348 1
43 한가위 ‘맞으세요’가 맞나, ‘맞이하세요’가 맞나? file 강정실 2015-10-10 2493 1
42 유감은 사과일까? 아닐까? file 강정실 2015-10-10 2470 1
41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웹관리자 2015-09-16 1743 1
40 개인기? 성대를 '묘사' file 웹관리자 2015-09-16 1914 1
39 안되는 줄 알면서 억지부리는 모습, "너 ○○○○구나!" file 웹관리자 2015-09-16 2015 1
38 나이는 거스르고 마음은 추스르고! file 웹관리자 2015-09-11 2101 1
37 '자정'은 어제일까요? 오늘일까요? file 웹관리자 2015-09-10 2412 1
36 ‘고래가 싸우면 새우가 죽는다?’ file 웹관리자 2015-09-10 3171 1
35 설욕은 벼르고, 칼날은 벼리고! file 웹관리자 2015-09-04 234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