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분실물 vs 검은 돈(X)’ 미스터리…‘쓰레기통 1억 수표’ 주인은?

서울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 쓰레기장에서 발견된 수표 1억원은 검은돈이 아닌 분실물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사진을 통해 또 드러난 사실은 '검은 돈'도 아니라는 것. 공개된 수표는 검은색이 아닌 약간 푸른빛의 흰 종이다.

'돈'이라는 명사를 수식하는 '검은'이라는 형용사를 띄어 쓰면 원래 형용사의 뜻대로 수식하게 되고, 붙여 쓰면 합성어인 관용표현이 된다. 즉, '검은 돈'은 말 그대로 검은색 돈이라는 뜻이고, '검은돈'은 뇌물의 성격을 띠거나 그 밖의 정당하지 못한 방법으로 주고받은 돈을 이르는 말이 된다.

'맏아들'을 뜻하는 큰아들(큰 아들 : 키가 큰 아들), '액수가 많은 돈'을 뜻하는 큰돈(큰 돈 : 크기가 커다란 돈) 등도 꾸며주는 말을 띄어 썼는지에 따라 뜻이 뒤바뀌는 말이다.

 

2. "앞으로 사단(X)이 벌어질 것"

한 일간지 보도에 따르면 지난 5일 열린 새누리당 최고위원회에서 서청원 의원은 김무성 대표에게 "(김 대표가) 최고위원들이 전략공천을 요구한 것처럼 호도하느냐. (그러면) 앞으로 사단이 벌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고 한다.

예상치 못한 사고나 탈이 생기는 것에 대해 흔히 '사단이 난다'라고 한다. 사단은 사달의 틀린 표현이다.

사단(事端)은 '일이나 사건을 풀어나갈 수 있는 첫머리'라는 뜻이다. 단서나 실마리로 바꿔 쓸 수 있다.

반면 사달은 사고나 탈을 뜻하는 순우리말이다. '사달이 나다' '사달이 생기다' '사달이 발생하다'와 같이 쓸 수 있다.

 

3. 베컴의 모히칸 헤어는 일명 '닭벼슬(X) 머리'

데이비드 베컴. 그는 최근까지도 매년 포브스가 발표하는 '가장 돈을 많이 번 스포츠 선수' 명단에 단골손님이었다.

뛰어난 축구 실력만큼이나 세련된 외모도 그의 큰 매력 포인트였는데, 한때 온 나라 남성의 머리를 바꿔놓았던 '모히칸 헤어'도 그의 '닭벼슬(X) 머리'가 유행시킨 스타일이다.

닭이나 새 따위의 이마 위에 세로로 붙은 살 조각을 일컫는 표준어는 '볏'이며 벼슬은 볏의 방언이다. 닭과 볏은 각각의 단어이므로 '닭 볏'이 닭벼슬의 올바른 표현이다.

주변에 모히칸 헤어를 한 친구가 있다면 '닭벼슬'이라고 하지 말고 '닭 볏'머리라고 해주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54 우리말, '도찐개찐~' 강정실 2015-03-21 3771 2
53 국립국어원 발표 2047신어의 경향 file 강정실 2015-03-28 3710 1
52 우리말 ,삼가야 할 장애인 비하 표현 강정실 2015-03-21 3699 2
51 우리말, '몇'과 '일'의 환영 못 받는 연애 강정실 2015-03-21 3513 3
50 우리말, "취직하려면… 입문계가 좋아요? 시럽계가 좋아요?" 강정실 2015-03-21 3509 1
49 울궈내다? 우려내다. file 웹관리자 2015-07-12 3482 1
48 ‘재연’과 ‘재현’ file 웹관리자 2015-07-12 3477 2
47 “안 되요”라고 하면 안 돼요 file 웹관리자 2015-08-14 3418 1
46 황태자 영친왕의 정혼녀 file 웹관리자 2015-05-19 3389 1
45 ‘이른둥이’ ‘따라쟁이’ file 웹관리자 2016-01-02 3357 1
44 “문학은 사람의 목소리, 결코 망하지 않을 거요!” file 웹관리자 2016-03-31 3308 1
43 [기사 속 틀린 맞춤법] 서유리 보정 의혹 사진에 눈꼽(X)? file 웹관리자 2015-09-02 3214 2
42 "조선 사신으론 내가 적임" 명·청 때 서로 오려 한 까닭 file 웹관리자 2016-09-11 3191 1
41 ‘고래가 싸우면 새우가 죽는다?’ file 웹관리자 2015-09-10 3171 1
» [기사 속 틀린 맞춤법] 1억수표, 분실물이냐 검은 돈(X)이냐 강정실 2015-10-17 3131 1
39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 초본판 1억 3,500만원에 낙찰 file 웹관리자 2015-12-19 3118 3
38 국보 훈민정음 또 있다. 제3의 혜례본 발견? file 웹관리자 2015-10-17 3043 1
37 114년 전 美 언론이 취재한 '청년 안창호의 꿈' file 웹관리자 2016-03-06 3009 1
36 풍납토성 '1700년의 비밀' 풀리나?…내년부터 발굴 file 웹관리자 2015-11-11 2962 1
35 담벽과 담벼락 강정실 2015-10-17 270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