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SI20160211_0011340226_web.jpg

 


 

문화재청은 고종황제가 외국인 주치의에게 하사한 '고종황제 하사 족자'를 등록문화재 제656호로 등록하고 '간호교과서'를 문화재로 등록 예고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에 문화재로 등록된 고종황제 하사 족자는 19세기 말 대한제국이 고종의 주치의였던 에비슨(Oliver R. Avison·1860~1956년)에게 하사한 족자다. 에비슨은 1893년 8월 한양에 온 뒤 고종의 피부병을 치료한 인연으로 10년간 왕실 주치의로 활동한 캐나다 출신 의료 선교인이다.

족자의 가운데에는 '좋은 약을 지어주는 것이 요나라 황제 때의 무함이다'란 뜻의 '投良濟堯帝時巫咸(투양제요제시무함)'라는 한자와 오른쪽에 하사받는 사람을 명시한 '宜丕信 大人 閣下(의비신 대인 각하)'를 써놨고 옆에 뜻과 음을 한글로 함께 적어 놨다.

쉬운 한글을 익혔지만 한자에 익숙하지 않은 서양인을 배려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족자는 에비슨이 고종의 시의(侍醫)였던 사실을 확인해 주고 국왕과 정부가 서양의술의 탁월함을 인정한 기록물이란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특히 에비슨의 후손들이 기증한 문화재라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고 문화재청은 설명했다.

문화재청은 또 이번에 장로회신학대학교 도서관 소장 '간호교과서' 상권(1908년 제작), 하권(1910년 제작)을 문화재로 등록 예고했다.

이 책은 미국의 간호선교사로 1903년 3월 서울에 온 마거릿 제인 에드먼즈(Margaret Jane Edmunds·1871∼1945년)가 간행한 책이다.

에드먼즈는 1887년 설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전문병원인 보구여관(保救女館)에 간호원양성학교를 설립하고 초대 간호원장으로 활동했다. 당시 에드먼즈는 간호교과서도 없이 열악한 상황에서 수업이 진해되는 것을 보고 교과서 상·하권을 발간했다.

문화재청은 간호교과서가 의학사 연구뿐만 아니라 20세기 초기의 의학용어 한글 번역과 우리말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자료며 상·하권 완본의 소장으로 희귀성이 높아 문화재로 등록 예고했다고 밝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추천 수
34 천경자 화백, 수개월 전 별세…‘잠자듯’ 눈 감은 꽃의 여인 file 웹관리자 2015-10-22 4524 2
33 구한말 돈으로 관직 거래한 문서 '임치표' 확인 file 강정실 2015-11-10 2494 2
32 국사편찬위, 내달 업데이트 완료…2억4천만자 '대기록' file 웹관리자 2015-11-11 2189 2
31 풍납토성 '1700년의 비밀' 풀리나?…내년부터 발굴 file 웹관리자 2015-11-11 2962 1
30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 숨겨진 진실 file 웹관리자 2015-11-17 4552 1
29 세종의 아들들이 거쳐간 妓女 초요갱… 불나방처럼 달려든 사내들 file 웹관리자 2015-11-17 3811 1
28 고흐의 까마귀가 나는 밀밭이 있는 곳(파리 북부, 오베르 쉬르 오와즈) 웹관리자 2015-11-25 4413 3
27 '잎새' '푸르르다' '이쁘다' 등 표준어 인정 웹관리자 2015-12-14 2484 1
26 2015년의 신조어 file 웹관리자 2015-12-16 4250 2
25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 초본판 1억 3,500만원에 낙찰 file 웹관리자 2015-12-19 3118 3
24 흥선 대원군의 환갑 얼굴 file 강정실 2015-12-26 5744 2
23 ‘이른둥이’ ‘따라쟁이’ file 웹관리자 2016-01-02 3357 1
22 우리나라의 국명은 한국, 정확하게는 대한민국이다 웹관리자 2016-01-19 7927 1
21 덕수궁 그리고 돌담길..132년 만에 '완주' 가능 강정실 2016-02-03 9161 1
» 고종황제 서양 주치의에 하사한 족자 문화재로 등록 file 웹관리자 2016-02-11 5151 1
19 114년 전 美 언론이 취재한 '청년 안창호의 꿈' file 웹관리자 2016-03-06 3009 1
18 오금이 저리다 file 웹관리자 2016-03-21 7737 1
17 일본인 사진가가 찍은 이웃 나라…'내 마음속의 한국' file 웹관리자 2016-03-22 4251 2
16 “문학은 사람의 목소리, 결코 망하지 않을 거요!” file 웹관리자 2016-03-31 3308 1
15 타향살이 우리 문화재 8,400여 점 그 면면은 file 웹관리자 2016-04-11 488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