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_2014111101001638000120561_99_20141111190802.jpg

 


고양이는 어떻게 길들여졌을까. 고양이가 사람과 같이 살게 된 것은 지금으로부터 약 9000년전 중근동에서 사람들이 고양이를 길들이면서부터다. 키프로스에는 고양이가 집고양이로 길들여졌다는 고고학적 증거가 남아있다. 매우 까다롭고 성격이 난폭하며 혼자 있기를 좋아하는 야생고양이가 어떻게 집고양이로 길들여질 수 있었는지를 보여주는 연구가 최근 미국국립과학원회보에 실렸다고 가디언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연구 결과 집고양이와 야생고양이는 ‘보상’, ‘기쁨’을 주관하는 뇌세포의 발달 정도와 관련된 유전자에서 결정적인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은 전세계의 집고양이 22마리와 유럽 및 근동지역의 야생고양이의 유전자를 비교한 결과 13개의 유전자가 다르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 중 보상과 관계된 뇌의 영역과 관련있는 유전자, 만족감을 유발하는 호르몬인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와 관련된 유전자가 특히 많이 달랐다. 연구진은 이를 토대로 인간이 고양이에게 먹이를 주고, 쓰다듬어 주면서 길들였을 것이라고 추론했다. 야생에서 혼자 사는 것을 더 좋아하는 고양이가 인간에게 길들여진 것은 먹이라는 보상이 주어졌기 때문이라는 얘기다.

연구진 중 한 사람인 영국 웰컴트러스트 생어연구소의 브로넨 아켄 박사는 “처음으로 길들여진 야생고양이는 인간의 거처 근처에서 먹이를 얻으면서 점차 인간 거처 가까이에서 살게 됐고, 그러다 인간의 존재에 대해 익숙해졌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간과 오랜 시간 동안 살면서 고양이는 더욱 유순해졌다.

한편 연구진은 야생 고양이가 갖고 있는 포식자로서의 본성은 고양이가 길들여진 뒤에도 없어지지 않는다는 사실 역시 확인했다. 풍부한 먹이가 있는 집고양이들이 여전히 새나 벌레를 사냥하려 드는 것은 포식자 본능이 남아있기 때문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4805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7224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4626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4820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1413 5
54 음식 테마로 스토리 델링하는 사진작가 file 홍용희 2017-10-23 2138  
53 서울대병원 동물실험정보 공개 판결 file 홍용희 2017-09-12 1736  
52 드론, 꿀벌이 되다 홍용희 2017-09-11 1357  
51 中 졸렬한 사드 보복 홍용희 2017-09-10 1375  
50 미 시민권자 한국여권 사용 문제 홍용희 2017-09-09 1245  
49 태양 10년 만에 초대형 폭발... file 홍용희 2017-09-07 1532  
48 나토 " 국제 사회, 핵포기하도록 북한 더 압박해야" file 홍용희 2017-09-06 1377  
47 유엔 안보리 긴급회의... '북 원유제재' 놓고 격론 홍용희 2017-09-04 1360  
46 국내 남자 작가 '남자들의 세계사에 함몰' file 홍용희 2017-09-03 1415  
45 바다를 보면 그냥 앉아라/정덕수 (수필가) 석송 2018-10-11 1252  
44 ' 자율차로 달라진 풍경' file 홍용희 2017-09-02 1394  
43 시인의 사계 석송 2017-02-09 2784  
42 [연시조] 모깃불 [2] 박은경 2021-05-31 54  
41 평창동계올림픽을 위한 기도 [2] 오애숙 2018-02-07 2117  
40 한해가 저물고 새해에는.. 석송 2016-12-31 3035  
39 [수필] 수피리어 호숫가의 오페라 공연 박은경 2020-05-12 119  
38 핼러윈서 트럼프·소시지 득세…오바마는 '꼬마교황'에 매료 file 강정실 2015-11-01 6357  
37 단국대 국제문예창작센터 ‘문학아카데미’ file 웹관리자 2015-08-14 4998  
36 국제펜 ‘해변문학제’ 25일 샌피드로 개최 file 웹관리자 2015-07-16 4655  
35 시와 수필 강좌 file 웹관리자 2015-07-15 37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