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편지는 왜 문학이 아닌가

조회 수 7452 추천 수 3 2014.12.07 14:39:48

_93A5269.jpg

 

                                                                                             이광수(왼쪽)와 김말봉

                                                                                               

[한국 근대문학의 서간문·기행문·대중소설 재조명]

서간문 변천 '한국 근대 서간문화사

'이광수 기행문 '춘원을 따라 걷다'

30년대 인기작가 '김말봉 전집' 출간

 

  한국 근대문학사에서 지금껏 소외된 서간문과 기행문, 대중소설을 재조명하는 작업이 최근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1910~40년대 서간문 변천사를 연구한 '한국 근대 서간문화사'(김성수 지음·성균관대 출판부)와 춘원 이광수의 1917년 기행문을 다룬 '춘원을 따라 걷다'(김재관 지음·이숲)가 나란히 나왔다. 1930년대 후반 최고 인기 작가 김말봉의 문학을 되살린 '김말봉 전집(진선영 엮음·소명출판) 1차분도 출간됐다.

  "우리 사회에도 '사랑'이라는 말이 유행합니다. 더욱이 사랑에 울고, 사랑에 웃는 사람이, 적지 아니한 듯하외다. 이때를 당하여, 진정한 의미의, 연애서간집을 발행하는 것도, 결코 무의미한 일이 아닐까 합니다." 시인 노자영이 '오은서'란 필명으로 1929년에 낸 '사랑의 불꽃' 서문이다. 1920년대 연애편지를 모은 당대의 베스트셀러였다. '아! 영순씨! 나는 사면으로 돌아다니며 꽃과 풀 속을 다 더듬었습니다. 그리하고 나무와 잔디밭을 모두 헤매었습니다. 그러나 당신의 얼굴은 보이지 않아요'라는 식의 편지가 대부분이다.

  김성수 성균관대 교양학부 교수가 낸 '한국 근대 서간문화사 연구'는 "1920년대엔 '사랑의 불꽃'이 잘 팔리자 '청춘의 꽃동산' '청춘의 비밀편지' '첫 가을의 편지' 같은 연애편지 교본이 크게 유행했다"고 전했다. 미문(美文)을 내세운 연애편지체가 대중의 글쓰기 변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1930년대엔 '삼천리' 등 잡지가 유명 문인들에게 청탁한 서간문을 연재해 잇달아 책으로 냈다. 카프 문인들의 편지를 모은 '조선문인서간집'은 "이는 한갓 서간문이 아니요, 시요 소설이요 평론이기도 하다"고 내세웠다. 소설가 방인근도 1942년 '춘해서간문집'을 내며 "편지는 훌륭한 문학"이라고 했다.

  젊은 국문학자 김재관의 '춘원을 따라 걷다'는 춘원이 1917년 6~9월 조선총독부 기관지 '매일신보'에 연재한 기행문의 현장을 다시 밟았다. 춘원은 기차를 타고 충남·전남북·경남북에 들러 곳곳을 걸어 다니며 풍물과 풍속의 변화상을 세밀하게 기록했다. 지금껏 학계에선 춘원의 기행문이 총독부의 정책 선전에 동원된 것이라고 비판해왔다. 그러나 김재관은 "춘원이 이등 신민(二等臣民)으로 전락한 조선인의 아픔을 검열 때문에 우회적으로 표현하기도 했다"며 재평가했다. 춘원은 일제의 근대화를 '문명화의 소리'라고 인정했지만, 백제의 옛 도읍지에선 "두견새 울음소리가 나그네의 애를 끊는다"고 망국의 비애를 에둘러 표현했다. 그는 백제 문화를 예찬하며 "아이고 나는 사비성의 옛날로 돌아가고 싶어 못 견디겠다"고도 했다.

  소설가 김말봉(1901~1961)은 1937년 조선일보에 연재한 장편 '찔레꽃'을 비롯해 30편이 넘는 대중소설을 내놓아 1950년대까지 큰 인기를 누렸다. 김말봉은 순수문학에 집착하는 문단을 향해 "순수 귀신을 버리라"고 일갈한 대중 작가였다. 김말봉의 장편 중 '밀림'과 '찔레꽃'이 '김말봉 전집' 1차분으로 다시 나왔다. 김말봉 소설은 식민지 조선에서도 자본의 논리가 득세한 1930년대 풍속을 생생하게 반영했다. 국문학자 진선영은 "소설 '찔레꽃'은 선과 악의 대립을 돈과 사랑의 이분법으로 그렸다"고 했다. 김말봉 소설은 '속도감 있는 전개와 위트 있는 대사, 깊은 주제 의식' 덕분에 오늘날 읽기에도 어색함이 없다. 전집은 해마다 세 권씩 나올 예정이다.

 


오애숙

2014.12.09 15:12:14
*.62.28.10

연애편지로 시작해서 인생의 사랑과 삶에의 고뇌를 생각하게 합니다.

연애편지는 바로 문학입니다. 아름답고 꿈이 담긴 문학의 시작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4805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7224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4626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4820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1413 5
74 재테크 스마트폰으로 편리하게 '은행 서비스 이용하는 꿀팁' 오애숙 2017-12-07 1620  
73 '생강' 냉장고에 오래 보관하는 꿀팁 오애숙 2017-12-07 2512  
72 기쁜 우리 잔치날 file [2] 홍용희 2017-11-30 2253  
71 이육사 새롭게 해석 / 도진순 홍용희 2017-11-28 2167  
70 신춘문예 이렇게 쓰세요 file 홍용희 2017-11-24 1934  
69 포리스트 어브 라이트 ( Forest of Light) file 홍용희 2017-11-23 1521  
68 별빛의 메아리 홍용희 2017-11-14 1674  
67 다복한 추수감사절 되세요 file 홍용희 2017-11-18 2069  
66 가을 뜻 / 황수정 file 홍용희 2017-11-09 2133  
65 미당이 남긴 얼룩 홍용희 2017-11-19 1454  
64 명작의 공간/ 김동인 홍용희 2017-11-16 1885  
63 시계, 한 시간 뒤로 돌리세요 file 홍용희 2017-11-04 1470  
62 안도현 시인 file 홍용희 2017-11-04 2198  
61 배우 송송 커풀 결혼식 올리다 file 홍용희 2017-11-02 1387  
60 창작하는 AI... 예술가가 함께 꿈꾸는 미래 file 홍용희 2017-11-01 2068  
59 즐거운 할로윈데이 하세요 file 홍용희 2017-10-31 1789  
58 서머타임 해제 (Daylight Saving Time Ends) file 홍용희 2017-10-28 12967  
57 한미문단 문학상, 중앙일보 기사 file 홍용희 2017-10-27 2055  
56 한국인 10명 중 6명, "인공지능으로부터 일자리 위협 느낀다" file 홍용희 2017-10-25 1575  
55 비둘기 유해 동물 지정 file 홍용희 2017-10-24 4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