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1 copy.jpg

-비올리스트의 활동 영역을 확장해 앙상블 리더, 대중적인 스타 연주자로 다양한 실험을 하고 있는 리처드 용재 오닐. ’찬사에 대한 욕심은 없다. 음악으로 경험을 나누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비올리스트 리처드 용재 오닐(40)은 유명한 연주자다. 클래식 음악가 중엔 특히 대중적이다. 국내에선 2004KBS 다큐멘터리 인간극장으로 용재 오닐의 붐이 시작됐다. 그의 어머니는 한국 전쟁 고아로 미국에 입양됐고, 용재 오닐은 미국인 조부모와 함께 자랐다. 그는 줄리아드 음악원에서 강효 교수에게 용재라는 한국 이름을 받았고, 비올리스트 최초로 아티스트 디플로마를 땄다. 처음으로 한국에서 공연한 2002년 이후 커피 광고 모델을 비롯해 한국 방문의 해와 유니세프 홍보대사 등을 맡았고 누적 음반 판매량 20만장을 기록한 그야말로 유명한 음악가.

다시 생각해보면 용재 오닐이 유명하다는 건 역설적이다. 비올라는 주인공 악기가 아니다. 바이올린보다 낮고 첼로보다 높은 음역대를 담당하는 애매한 악기. 독주자로 연주할 곡도 적다. 비올리스트는 본래 주인공이 아니다. 전 세계 연주자들이 공유하는 농담인 비올라 조크는 음정을 정확하게 내지 못하는 비올리스트를 둔하고 실력도 없으며 다른 악기의 도움을 받아야 무대에 서는 존재로 묘사한다.


일반적 비올리스트의 이미지와 용재 오닐의 대중성은 잘 연결되지 않는다. 게다가 그는 젊은 연주자가 모인 앙상블 디토의 창단부터 10년 넘게 함께 한 리더다. 이달에는 9번째 음반을 내놨다. 2005년 첫 음반 이후 겨울 여행’(2007) ‘슬픈 노래’(2010) ‘브리티시 비올라’(2016) 등을 거쳐 이번 앨범은 현악기 연주자들과 함께한 듀오. 비올리스트가 앨범 9장을 내는 것은 이례적이다. 그렇다고 언제나 앞으로 나서 일을 주도할 만큼 활발하고 사교성 넘치는 성격인 것도 아니다. 19일 기자간담회에서 용재 오닐은 나는 내성적인 사람이고 커다란 리더십을 가지고 있지도 않다라고 했다. 그는 어떻게 비올리스트 이상의 역할을 하고 있는 걸까.

용재 오닐은 기자간담회에서 최근에 나의 친구인 엘리자베스 매코맥(줄리아드 음악원 이사)에게 앙상블 디토를 이끄는 게 너무 힘들고 리더의 능력이 없는 것 같다는 고민을 털어놓은 적이 있다고 했다. “매코맥은 내 말을 중단시키고 틀린 얘기라고 했다. 모든 사람은 다양한 많은 성격으로 구성돼 있고, 그 중 하나에 집중해 유형을 나누는 것은 맞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새로운 사람을 만나면 낯을 가리는 편이고 주인공이 되기 위해 애쓰지도 않는 용재 오닐도 앙상블을 이끌 수 있다는 자신감을 다시 가지게 된 배경이다.

 

   

2.jpg

-‘듀오음반에 함께한 첼리스트 문태국, 비올리스트 이수민, 바이올리니스트 신지아, 리처드 용재 오닐.(왼쪽부터).  

   

그는 비올라의 미래가 밝다고 내다본다. “로렌스 파워, 앙트완 타메스티 같은 독주 비올라 연주자가 늘어나고 새로운 비올라 작품도 많이 나오고 있다더이상 놀림이나 조롱을 당할 악기가 아니다라고 했다. 비올라가 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본다. “우리 비올리스트들은 비올라를 연주함으로써 세계를 지배하려는 게 아니고, 나는 칭송 받기 위해 연주하지 않는다.” 주목받는 스타 연주자가 아닌 음악가로서 소명을 가지면서 할 일이 더 많이 보인다고 했다. “우리는 사람이고 언젠가는 죽어 없어지지만 음악은 사라지지 않는다. 영원히 남을 음악을 통해 감정을 공유하고 싶고 이런 소명이 나의 존재 의미다.”

‘9집 비올리스트로서 감사함도 표현했다. 용재 오닐은 요즘처럼 음반 산업이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더욱 감사한 일이다라며 최근 몇년동안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작품까지 녹음할 수 있었다. 특히 비올리스트로서 꿈이었던 윌리엄 월튼의 협주곡을 할 수 있었고 현대 작곡가들인 벤자민 브리튼, 엘리엇 카터 등을 선곡할 수 있었다고 했다.


이번 앨범에서는 바이올린·비올라·첼로와 각각 이중주를 선보였다. 바이올리니스트 신지아와 헨델-할보르센의 파사칼리아와 모차르트 듀오를, 첼리스트 문태국과 베토벤의 듀오와 힌데미츠의 스케르초를 녹음했다. 비올리스트인 이수민과는 프랑크 브릿지, 조지 벤자민의 현대 음악을 함께 연주했다. 용재 오닐은 솔로 연주는 무대 위의 독백과 같다. 반면 듀오 연주는 각각의 캐릭터를 확실하게 보여줄 수 있는 드라마에 비교할 수 있다. 앙상블뿐 아니라 개인의 기량이 돋보이는 조합이 이중주라고 설명했다.

보통 비올리스트의 앨범은 편곡 작업을 거친다. 다른 악기를 위해 쓰인 곡을 비올라로 바꿔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용재 오닐은 이번 앨범을 위해 작곡가가 원래 비올라를 포함해 쓴 작품만을 골라 비올라의 자존심을 강조했다. 그렇다고 남의 소리를 잘 들어주는 비올리스트로서의 특징은 버리지 않았다. 그와 10년 넘게 함께 연주하고 이번 앨범에도 참여한 바이올리니스트 신지아는 용재 오닐은 자기 의견을 먼저 내세우기보다는 상대방의 의견을 먼저 듣는다고 했다.


신지아는 바이올린은 비올라와 듀오로 만나면 날카로운 소리만 부각될 우려도 있는데 용재 오닐의 배려 많은 성품 덕분에 따뜻한 음색이 나올 수 있었다고 했다. 첼리스트 문태국은 첼로와 비올라는 자칫 음역이 부딪힐 수도 있는데 우리는 서로 어떻게 하면 더 상대를 돋보이게 해줄 수 있을까 고민했다, 비올리스트 이수민은 대화하는 느낌으로 행복하게 했다고 말했다. 네 연주자는 음반에 수록된 곡들로 31일 오후 8시 롯데콘서트홀 무대에 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2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1995 부활의 의미 [4] 오애숙 2018-03-30 2735  
1994 진해 군항제와 어울어진 벚꽃 축제 오애숙 2018-04-01 1818  
1993 곡우(穀雨) 오애숙 2018-04-24 1348  
1992 어린이 날은 원래 5월 1일 이었다 [1] 오애숙 2018-05-06 1932  
1991 어버이날의 유래와 각국의 어버이날 [2] 오애숙 2018-05-08 2257  
1990 새롭게 더욱 새롭게 [1] 석송 2018-05-09 1569  
1989 이래도 되는 가 [3] 오애숙 2018-05-26 1747  
1988 메모리얼 데이(Memorial Day) 오애숙 2018-05-28 1397  
1987 망종(芒種)속에 피어난 현충일 [1] 오애숙 2018-06-03 1841  
1986 여인과 수국화의 공통분모 [2] 오애숙 2018-06-06 2091  
1985 입춘 오애숙 2019-01-28 1380  
1984 향나무 file 오청사 2023-08-24 476  
1983 영화평론 "Oppenheimer" 청사 오희영 file 오청사 2023-08-27 298  
1982 31회 해변문학제 안내 file 이정아 2018-07-06 16926  
1981 7월 길섶에 피어나는 그리움 오애숙 2018-07-07 1291  
» 용재 오닐 “음악은 경청, 비올라 조롱하지 말라 file 웹담당관리자 2018-07-19 1404  
1979 화마 /열돔(heat dome) [1] 오애숙 2018-07-22 1253  
1978 남가주 제 18회 창작성가제 [1] 오애숙 2018-10-21 183699  
1977 서울대 동문 참여 광장 [토론 1]/박현성 [3] 오애숙 2018-10-24 1584  
1976 북풍 휘날려 오는 겨울창 앞에서 [1] 오애숙 2018-11-07 1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