뻐 꾹 새

조회 수 1300 추천 수 3 2019.04.20 01:18:17

       

Untitled-1.jpg


                                                               뻐꾹새


                                                              아카시아 꽃  만발한

                                                              봄이 오면

                                                              태고의 정적을 깨고

                                                              울창한 숲 언저리로

                                                              동네 지붕 위로

                                                              파르르 날며 우짓


                                                              남의 둥지에

                                                              던져놓은 알 하나

                                                              온기로 품을 수는 없어도

                                                              목소리로 정을

                                                              정을 쌓아가는 새


                                                               뻐꾹뻐꾹

                                                               네 부모 여기 있다

                                                               빨리 커서

                                                              사알짝 날아가자 "


                                                               마법에 걸린 듯

                                                               혼을 담아

                                                               토해내는 신비의 소리가

                                                               길도 방향도 없는

                                                               허공으로 퍼져나간다


     *  봄이 오니 한국의 우리동네 빠꾹새 울음소리가 그리워서  이 시를 썼습니다.

           까치와  뻐꾹새가  많았던 우리동네. 아름다운 경기도. 많이 그립네요.

           보스톤에 살고 있는 이 금 자 입니다.

                                                                                      

                                                                                      

   

 


   

   


오애숙

2019.04.22 08:54:40
*.175.56.26

안녕하세요. 

전화가 불통되어 죄송합니다.

제가 전화를 잃어 버려 연락이 안되었습니다.

올려 놓으신 시 [뻐국새] 가슴으로 잘 감상했습니다


저도 예전 안양에 있는 

산에 갔는데 그곳에서 청아한 뻐국새 음성 

들었던 기억 새삼스레 가슴에 물결치고 있습니다.


나이를 먹는 다는 건

추억을 먹고 산다는 게 맞나 봅니다

요즘들어 더 어린시절이 그리워 집니다.


저는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에서만 살아서 고향에 대한 추억

많이 있지 않습니다만 고향이 지방인 분들은

추억으로 가슴에 일렁이는 그리움에 병이 될 듯 싶습니다.


당분간 전화가 불통 될 듯 싶습니다

아직 전화기 찾지 못한 연고로 제 홈피 문예창작란

시에 댓글에 써 주시면 확인하여 답신 하겠습니다


이금자 시인님

죄송한 마음으로 댓글시로 답례 하겠습니다

늘 건강 속에 향필하시길 기원합니다.



오애숙

2019.04.22 09:20:57
*.175.56.26

오월이 되면/은파 오애숙


오월이 되면 마음에 피는

향그러움 하나 있습니다


5월의 창 열리면 향그럼으로

가슴에 피어나는 그리운 물결

아직 피지 않는 네 모습 보며

눈이 집어 내고 있는 건 천사 

아기 천사들의 함성 입니다


엄만 아카시아꽃앙울 바라보며

"와우~ 저어기 저걸 어서 봐봐!

아기천사가 우릴 반기고 있지!

하나님께선 우릴 지키시려고

자연물 곳곳에 심어 놓았단다" 


어릴 때 자주 갔던 관악산의

산 허리에서 만난 널 보시며 

외쳤던 내엄마의 그리운 물결

이 아침 살랑이며 살포시 열어

맘에 피어나는 그리움의 향수


아카시아 짙은 향그럼 필 때면 

심연에 일렁이는 그리움입니다










강정실

2019.04.25 09:12:56
*.240.215.200

재작년 출판기념회에서 뵙고 그 후 몇 번 통화하고는

웹사이트에서 봄소식의 시는 이곳에서 처음으로 보게 됩니다.


잘 지내시지요?  손자손녀의 돌봄에 재미가 푹 빠져 있나봅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5019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7490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4890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5030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1615 5
2053 [단시조] 이름--부제;동행 박은경 2021-05-09 82 3
2052 하얀 솜 꽃, 목화 박은경 2021-03-30 72 3
2051 美 FDA, 코로나 치료제 ‘렘데시비르’ 정식 승인 file [2] 웹담당관리자 2020-10-23 126 3
2050 이곳에 오면 file [2] 강정실 2020-09-25 209 3
2049 (수필) 독서가 좋아 file [4] 정순옥 2020-09-06 282 3
2048 대머리 file [2] 강정실 2020-09-02 187 3
2047 탄 생 file [1] 강정실 2020-08-22 184 3
2046 내 어린 날 file [1] 강정실 2020-07-25 105 3
2045 영화 file [1] 정순옥 2020-07-12 158 3
2044 [시조] 아이스 로드 file 박은경 2020-07-06 77 3
2043 1번 국도 file [4] 박은경 2020-06-30 165 3
2042 설빛 하얀 그리움 일렁이는 이 아침 [2] 오애숙 2020-02-19 208 3
2041 <시> 갈필<渴筆>로 쓰는 편지 (김신웅) 웹담당관리자 2019-12-18 177 3
» 뻐 꾹 새 file [3] 이금자 2019-04-20 1300 3
2039 라스베가스 총기 난사 사건 홍용희 2017-10-02 2029 3
2038 미주(LA) 한국일보 문예공모전 입상자 자격에 대한 의문 [4] 서용덕 2017-06-23 3758 3
2037 개와 아이와 함께 [1] 웹관리자 2017-04-25 3274 3
2036 서머타임 시작 file 홍용희 2017-03-11 2692 3
2035 100년 수난을 견디고 명절이 된 '음력 설'의 운명 홍용희 2017-01-27 3598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