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숙 시인 영랑문학상 수상

조회 수 412 추천 수 1 2020.12.11 15:05:53

 

Untitled-1.jpg

 

                                     ▶김영숙 전 문인회장 영랑문학상 수상

 

 

김영숙 전 시카고 문인회장이 순수문학이 주관하는 제25회 영랑 문학상을 수상했다.

 

그간 한아세안 포럼 문학상을 비롯해 한국문인협회 표창장, 시카고 문학상 등을 두루 수상한 김 전 회장은 “‘모란이 피기까지는이란 시로 유명한 한국 순수시의 대표적 시인인 김영랑 시인을 기리는 영랑 문학상을 받게 돼 놀랍기도 하고 너무 기쁘다손길이 닿는 한 시계의 태엽은 멈추지 않듯 새로운 글을 향해 열심히 쓰라는 뜻으로 알고 더욱 정진하겠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한국문인협회 미주지회 회원으로 활동 중인 그는 지난 10월 한국에서 생의 한번밖에 없는 하루를이란 시집(66편 수록)을 발간하고 시카고에서 지인들을 초청해 출판회를 열기도 했다. 평론가들로부터 자연과 교감하는 영성의 시학이란 평을 듣고 있다.

 

충북 진천 출생으로 1985시문학으로 등단했다. 시카고 서로돕기센터를 이끌고 있는 김회연 목사가 부군이다


박은경

2021.01.23 19:27:44
*.155.194.43

이 글을 이제사 봤네요

귀한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늘 건강하시고 건필하세요

주님의 축복이 항상 넘치시길 축원합니다~~~~~~~~

오애숙

2021.02.09 20:21:59
*.243.214.12

 

 

 

th?id=OIP.QYDCdJAmI4siIE1iz96JOgHaHa&pid

 

축하는 마음의 선물!!

수상에 감사의 날개 펼쳐

나르샤 하시길 기원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한국문협 신입회원 입회안내 file [3] 웹관리자 2014-12-06 33031 8
318 3월 월례회, 시카고문인회 file [1] 웹관리자 2017-03-12 3051 3
317 글샘터 문학동우회(회장 최용완) 문학특강 file 홍용희 2017-03-10 4032 3
316 한국문협 워싱턴지부 문학특강(강정실 회장) file [3] 웹관리자 2017-02-16 4357 3
315 한국문협, 문학상 시상...한미문단 출판기념회 file [2] 웹관리자 2016-12-12 3856 3
314 렌즈를 통해 본 디지털 노마드 file [4] 웹관리자 2016-12-01 3712 3
313 <한미문단> 출판기념회 및 문학상 수상식 [3] 웹관리자 2016-11-18 3958 3
312 박덕규 교수의 문학 및 2016년 회원 야유회(한국문협 워싱턴지부) file [1] 웹관리자 2016-08-07 6091 3
311 미주사진협회 사진전시회 안내 file 웹관리자 2016-04-13 5017 3
310 석정희 시인 ‘문앞에서’ 외 4편 세계시인대회 고려문학 본상 file [6] 웹관리자 2015-12-14 6409 3
309 경정아 첫 시집 ‘시 한 송이 피워’ 출간 file 웹관리자 2015-09-14 6407 3
308 한국문협 미주지회에서 시와 시조, 소설. 희곡. 수필. 평론 강의 웹관리자 2015-09-10 4628 3
307 에세이포레 가을호(통권 75호), 미주회원 특선(1) 게재 file 웹관리자 2015-08-17 4581 3
306 3000만원 고료, 제2회 경북일보 문학대전 file 웹관리자 2015-08-21 5517 3
305 정순옥 수필가 file 웹담당관리자 2018-08-23 1651 3
304 계간 <에세이포레> 가을(통권 75호) 미주특집에 게재할 명단 [3] 웹관리자 2015-06-07 8253 3
303 이언호 소설가 해외문학발전위원회 위원장 위촉 file 웹관리자 2015-05-05 6945 3
302 재외동포문학상 공고 웹관리자 2015-03-09 8347 3
301 [단독 인터뷰] 시인 이훤 file 이훤 2015-02-20 37179 3
300 박영숙영 시비 file [2] 웹관리자 2015-02-06 9566 3
299 필독! 문학작가 지망생을 위한 내용(한국 문학상과 고료 및 신인상 제도와 독서) [2] 강정실 2015-01-31 9916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