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에 왜 띄어쓰기가 있습니까?

조회 수 5423 추천 수 2 2022.02.27 09:39:59

 "한글에 왜 띄어쓰기가 있습니까?

   이어령과 이우환의 담화

 

 

이어령.jpg

    -평생 서로의 지지자였던 이어령(왼쪽)과 이우환

 

이어령 선생은 우리 문화의 본질과 성격이 무엇인가를 누구보다 예리하게 파헤치고, 그것이 국제적인 언어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한 분이다.”

 

한국을 대표하는 세계적 화가 이우환(86)씨는 대한민국 지성계를 풍미했던 이어령(1933~2022) 선생을 이렇게 회고했다. 일본에 머물고 있는 이씨는 27일 본지 통화에서 오늘 아침 일본 뉴스를 통해 별세 소식을 전해들었다너무나 많이 배우고 도움 받고 존경했던 분이라고 말했다.

 

이씨는 선생과의 첫 만남을 회고했다. 1968년쯤이었고, 이어령 선생이 먼저 만남을 제안했다. “고등학교 시절부터 우러러 봤지만 만날 기회는 없었다. 일본에서 민화(民畵) 관련 글을 쓴 적이 있는데 그걸 어떻게 찾아보셨는지 번역해서 잡지에 싣고 싶다는 선생의 연락을 받았다. 서울 내자호텔 커피숍에서 만나자고 하셨다.” 훗날 이어령 선생이 이우환 충격이라고 표현한 이날 만남에서 이씨는 한글에 띄어쓰기가 있는 이유가 무엇이냐고 대뜸 물었다.

 

우리 고전(古典)에는 띄어쓰기가 없다. 일본도 구두점만 찍을 뿐이지, 서구적 의미에서의 띄어쓰기는 없다. 옛 한글학자들이 한글을 한문에서 독립시킨다면서 문법은 서양 것을 갖다 붙이는 모순이 생긴 것이다. 우리는 서양 문법처럼 그렇게 단어가 독립돼있는 것이 아니고, 결국 술어적으로 붙어있는 것이 기본 발상이라고 나는 생각하는데, 그런 의미에서 띄어쓰기에 대해 조금 의문이 있는 입장이라고 질문했다.” 이어령 선생은 그거 너무 엄청난 문제라면서 우리 발상의 언저리는 역시 술어적인 것이고, 그것이 지금의 한글로 얼마나 정리가돼있는지는 판단하기 어렵다고 답변했다. 이날 이후 두 사람은 서로의 지지자가 된다.

 

이우환은 “1970년대 군정에 잡혀가 고문 당하고 감옥에 갇힌 사람들 앞장 서 변호하고 빼낸 게 이어령 선생이라며 선생은 문학·음악·미술 등 각계를 꿰뚫어 우리 문화가 나아갈 길을 정리하고 미지(未知)와의 연결고리를 평생 찾아오셨다고 말했다. “일본이 축소지향이라면 우리의 반도 문화는 좀 더 열리고 중성적인 여러 가변성을 지녔다는 점을 파헤치고 다듬었다. 애국심이 워낙 강하신 분이었다. 글 마다 마지막에서는 한국 사람’ ‘우리 역사로 귀결됐다. 언젠가 프랑스로 보내주신 책을 읽고 이에 대해 투정했더니, 그 말을 책 광고에 넣으셨더라.”

 

이씨는 선생은 전인적(全人的)인 학자였고, 프랑스의 앙드레 말로처럼 생각된다면서 마음 아프고 정말 애석하지만 사람은 누구나 태어나면 가는 것이니라며 명복을 빌었다.


이병호

2022.02.28 11:28:01
*.48.176.218

평소 조의를 표하오며 고인의 유덕이 후세에 빛날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4805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7224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4626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4820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1413 5
2014 쓰레기로 만든 오케스트라 file [1] 정덕수 2015-03-14 12413 2
2013 술 때문에… 매일 6명 숨진다 file 제봉주 2015-06-05 12383 1
2012 한국인 개발한 시각장애인용 '만지는 시계' file [1] 석송 2015-03-27 12289 1
2011 강치의 천국, 독도 file 웹관리자 2016-08-18 12152 1
2010 이중섭의 그림편지 file 정순옥 2014-12-22 12119 1
2009 초콜릿, '제4의 비타민'? file 웹관리자 2014-10-06 11974 6
2008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서관 16곳(1) file 이병호 2015-07-27 11869 1
2007 고흐의 그림 이야기 ‘별이 빛나는 밤’ file 강정실 2015-03-16 11840 1
2006 삼일절을 영어로 설명하면 어떻게 할까요? [2] 오애숙 2018-02-22 11821  
2005 참새가 벚꽃을 따는 이유는? file 웹관리자 2016-04-06 11730 4
2004 교통위반 티켓 ‘미친 범칙금’ file [1] 석송 2015-04-09 11650 7
2003 알래스카서 60대 곰에 물려 죽어 웹관리자 2014-10-24 11608 1
2002 "직지보다 앞선 '증도가자'"…세계 최고 금속활자 정순옥 2015-02-08 11607 1
2001 잠들지 않는 도시' 뉴욕의 밤' 신성철 2015-01-27 11585 1
2000 세계의 아름다운 스카이라인 Top8 [1] 웹관리자 2015-12-14 11573 1
1999 장례문화(葬禮文化) file 신성철 2015-04-03 11503 1
1998 사찰 음식의 종류와 금기 음식(오신채) 서용덕 2016-05-09 11441 1
1997 사라진 나치 황금열차 발견 file 웹관리자 2015-08-29 11410 1
1996 '자식보다 낫다' 반려동물 천 만 시대 file [1] 이병호 2014-11-07 11345 1
1995 1그램의 용기(한비야 작가) file [1] 안지현 2015-03-19 1130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