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말과 글을 통해 세상을 인식하고 소통한다. 말과 글을 익히는 과정은 세상을 인식하는 과정이다. 훔볼트(Humboldt)는 ‘한 민족의 언어는 곧 그 민족의 정신’이라고 말할 정도로 한 나라의 언어는 그 나라 사람의 사고·정신·얼을 담는 그릇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 우리 어문정책에는 문제가 있다. 바로 사이 ‘ㅅ’에 관한 문제다. 말을 글로 나타내기 위해서는 다소 복잡한 문법적 규칙을 정해 표기하게 된다. 글자끼리의 음운(소리)이 조건에 따라 다른 소리로 바뀌는 현상에 대해 일정한 법칙에 맞춰 표기하도록 한 것은 맞춤법 규정 때문이다. 많은 소리변동 중에서도 두 개의 형태소 또는 단어가 합쳐져 합성어가 될 때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하게 되는 경우를 ‘사잇소리/사이소리 현상’이라고 명명했다.

 

1989년 3월 1일 시행 이후 그 골격을 유지하고 있는 한글맞춤법에는 다음 몇 가지 경우에 있어 사이시옷을 ‘덧붙여 표기토록’ 하고 있다(/다음의 것은 언론에서 사용했던 다소 생경하게 느껴지거나 논란의 여지가 있어 보이는 사례를 든 것임). 순우리말 합성어 중 ①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날 때(나룻배/쇳조각·나잇값), ②뒷말 첫소리 ㄴ·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날 때(잇몸/아랫마을), ③뒷말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 ㄴ 소리가 덧날 때(뒷일/나뭇잎·나랏일), 그리고 순우리말과 한자어 합성어 중 ④앞말이 모음으로 끝나며 뒷말 첫소리가 된소리로 날 때(샛강/머릿방·공붓방·출셋길·진돗개), ⑤뒷말 첫소리 ㄴ·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날 때(훗날/제삿날·툇마루), ⑥두 음절로 된 6개의 한자합성어(곳간 庫間·셋방 貰房)의 경우에 그렇게 하도록 규정해 놓고 있다.

 

그러나 국민들의 현실 언어생활은 혼란 그 자체다. 심지어 언론의 기사에서조차 혼란스러운 표기들을 자주 보게 되는 실정이다. 한마디로 문제가 심각해 보인다. 꼭 사이시옷을 써야 올바른 발음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등굣길, 최댓값’처럼 사이시옷 표기를 확대해 나가는 것이 우리말과 글을 더욱 쉽고 부드럽게 잘 사용하도록 하는 길일까? 사이시옷 표기에 대한 근본적인 반성이 필요하다. 다음과 같은 면에서 부작용이 더 크다.

 

첫째, 어문규정은 위의 각 경우의 글과 말이 모두 반드시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는데 이 자체가 오류다. 우리말의 소리를 아름답게 가꾸고 발전시키려면 일부러 센소리(격음)와 된소리(경음)를 내는 말버릇은 고쳐나가야 하는데 이에 역행한다. 굳이 된소리 발음을 하지 않아도 될 말을 사이‘ㅅ’을 덧붙이면 오히려 모든 뒷글자의 소리는 된소리로 변한다.

 

둘째, 한글의 국제화에도 역행한다. 사이‘ㅅ’을 덧붙이면 본래의 글자와는 형태가 달라져 하나의 온전한 새로운 형태소(글자)가 된다. 외국인이 한국문화를 접할 때 언어습득에 애를 더 먹게 되고, 어려운 맞춤법 때문에 장애가 발생한다. 자음접변 경우엔 굳이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지 않고도 우리글을 잘 쓰고 있지 않은가. 이 점 또한 어문규정의 일관성이 없다.

 

셋째, ‘깃발, 찻간’처럼 항상 경음으로 발음되는 접미사 앞에 있는 ‘ㅅ’은 이미 사람들에게 각인된 대로 쓰임이 마땅하겠지만, 그러하지 않은 모든 합성어에 대한 전면 재검토가 필요하다. 지금껏 정부의 노력을 별로 보지 못했던 것 같다. ‘햇감자’와 같은 접두사의 끝소리 ‘ㅅ’을 사이시옷과 혼동하게 하는 규정도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다. 우리말과 글을 쉽고 부드럽게 가꿀 때 민족정신도 고양(高揚)시킬 수 있다.

 

f91e440a8e21a8e_14186095720519617612.jpg


김인혁(창원문성대학 사회복지행정과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1975 은하수가 머무는 하늘 file 강정실 2015-07-28 10819 2
1974 빙하가 무너져 내리는 회수가 가속화 되고 있다. file 석송 2015-04-04 10793 1
1973 실내 겨울 공기오염 실외 10배 제봉주 2015-01-22 10702 1
1972 타계한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마르케스 얼굴 넣기로 file [1] 정순옥 2014-12-17 10688 1
1971 밝은미래 중앙신인문학상 시상식 file 웹관리자 2015-07-20 10683 1
1970 점박이물범은 멸종 위기를 벗어날 수 있을까요. 웹관리자 2015-12-28 10667 1
1969 박완서 떠난 지 벌써 4년… 문학계, 추모열기 뜨겁다 file 석송 2015-04-26 10652 1
1968 시인 고은과의 만남 file [3] 김평화 2014-10-13 10566 7
1967 교차로 카메라 ‘번쩍, 번쩍’ file [1] 웹관리자 2015-06-02 10539 2
1966 독도와 서도 사이 바다 위에 초대형 태극기 file [1] 정덕수 2015-01-02 10534 1
1965 순천만 월동 흑두루미들 떠나…번식지 찾아 북상 file 석송 2015-04-04 10479 1
1964 미국에 곧 등장할 가루 알콜: 팔콜(Palcohol) file 석송 2015-03-12 10476 1
1963 "내가 엄마 옆에서 잘거야" file 이병호 2015-01-20 10427 2
1962 전화번호 하나에 5억? file 석송 2015-09-12 10408 2
1961 덕혜옹주 당의ㆍ저고리…日박물관, 문화재청에 기증 file 웹관리자 2015-06-09 10387 2
1960 별 헤는 가을, 밤하늘에 빛나는 보물찾기 file [1] 웹관리자 2015-11-11 10341 2
1959 인간은 어떻게 야생고양이를 집고양이로 길들였을까? file 웹관리자 2014-11-11 10329 2
1958 동전은 왜 둥근 모양일까 file 석송 2015-08-02 10326 2
1957 소설 돈키호테의 저자 미겔 데 세르반테스의 유골 발견 file 석송 2015-03-17 10294 1
1956 ‘21세 쇼팽’ 조성진 “신기하게 손이 저절로 연주했다” file [1] 웹관리자 2015-10-22 1023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