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된소리(쌍자음)가 받침에 올 때

조회 수 12982 추천 수 3 2015.03.21 18:07:07

닦아서 '닦달', 볶았으니 '떡볶이'

 된소리(쌍자음)가 받침에 올 때

  
JTBC '비정상회담' 16회에는 캐나다인 기욤이 '짜' 발음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외국인들에게 한국어의 된소리(이하 쌍자음, '쌍자음'은 공식적인 표현은 아닙니다만 쉬운 이해를 위해 사용했습니다)는 ㄱ, ㄷ, ㅂ, ㅅ, ㅈ과 구별하기 어려운 소리인데요. 우리에겐 어떨까요?

"가세요"와 "까세요", 다르게 느껴지시죠. 하지만 우리말 자음은 받침에 올 경우 제소리를 다 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받' '밭' 밧'은 이 자체로는 소리의 구별이 되지 않습니다. 쌍자음이 받침에 올 때도 맞춤법이 어려워집니다. "석"과 "섞", 구별이 되시나요?

다음 사진은 몇 년 전 KBS '개그콘서트'에서 인기 있었던 '□기도'입니다. '뜬금없이 모든 걸 꺾어버린다'던 이 코너 이름의 첫 글자는 무엇일까요?

닦아서 '닦달', 볶았으니 '떡볶이'
/사진=개그콘서트 '꺾기도'의 한 장면(KBS 방송화면 갈무리)
글자를 맞게 쓰려면 '~어(아)'로 활용시켜 발음해 보는 게 도움이 됩니다. [꺼거] 아닌 [꺼'꺼']버린다고 발음을 하므로 첫 글자의 받침은 쌍기역 '꺾'이 맞습니다. ㄱ자가 4개가 보여 어색해서인지 잘 틀리는 낱말입니다. '깎아' 역시 [까가] 아닌 [까까]로 발음하므로 ㄲ 받침을 씁니다.

인기 간식거리 떡볶이는 떡을 볶아서[보까서] 만든 것이므로 '볶'이 맞고, 물고기를 잡는 것은 낚아[나까]보려는 것이므로 '낚'시가 맞습니다. 이 밖에 ㄲ 받침이 들어가는 단어는 겪다, 닦다, 묶다, 섞다, 솎다, 엮다 등이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어(아)'로 바꿔 발음하면 정확히 글쓰는데 도움이 됩니다.

쌍기역 받침이 들어간 말 중에는 쉽게 생각하기 힘든 것들도 있는데요.

문서 작업을 할 때 쓰는 기호인 [, ] 등은 흔히 '꺾쇠'라고 하는데요. 이는 '꺾'어서 꼬부린 '쇠'막대기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모양 비슷한 기호에 그대로 쓰였습니다. 마치 @를 골뱅이라고 부르는 것처럼 말이죠.

남을 윽박질러 혼낸다는 뜻으로 쓰는 [닥딸하다]는 닥달(×)이 아닌 '닦달'이 맞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 '닦다'의 설명 10번에는 뜻밖에 '휘몰아서 나무라다'라는 뜻이 있습니다.

닦아서 '닦달', 볶았으니 '떡볶이'
(나눔글꼴을 썼습니다)
닦아서 '닦달', 볶았으니 '떡볶이'
'깎다'의 경우 ㄲ 받침까지는 잘 찾았는데 '깎이', '깎기' 중 하나를 골라야 할 때 헷갈리기도 합니다. 그림에서 보듯이 먹는 대상이 '먹이', 먹는 행동이 '먹기'인 것처럼 손톱을 깎는 도구는 손톱'깎이', 깎는 행동은 '깎기'가 맞습니다.

그런데 쌍자음 받침은 ㄲ밖엔 없을까요. 지나간 것을 얘기할 때 우린 '~했다' 식으로 ㅆ 받침을 씁니다. 쌍시옷 받침은 과거형을 만들 때나 '있다'에 쓰입니다. 나머지 ㄸ, ㅃ, ㅉ은? 써도 문제가 되진 않지만, 그런 낱말은 현재 없습니다. 독창적인(?) 감탄사를 만드는데 쓸 수도 있겠지만 컴퓨터 자판으로는 쳐지지 않습니다.

이번 주 문제입니다. 다음 김치 이름 중 표기가 '바른 것' 1개는 무엇일까요? 쌍자음에 주의해서 보세요.
①깎두기
②갔김치
③섞박지
④오이소밖이

정답은, '③섞박지'입니다. 무, 배추, 오이와 여러 가지 고명을 넣은 김치인데요. '21세기 세종계획 한민족 언어정보화'에서는 이 낱말을 뒤'섞'은 다음 '박'아 담근 김치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①은 깍두기(무를 깍둑썰기로 모양내 담근 김치), ②갓김치, ④오이소박이가 맞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114 우리말, 되/돼, 데/대 강정실 2015-03-21 7114 4
113 별사진 찍기 file 웹관리자 2014-10-18 7187 4
112 김소월 시집 '진달래꽃' 초본판 1억 3,500만원에 낙찰 file 웹관리자 2015-12-19 3118 3
111 고흐의 까마귀가 나는 밀밭이 있는 곳(파리 북부, 오베르 쉬르 오와즈) 웹관리자 2015-11-25 4413 3
110 우리말, 과자이름 속 맞춤법 강정실 2015-03-21 11570 3
109 우리말, '몇'과 '일'의 환영 못 받는 연애 강정실 2015-03-21 3513 3
» 우리말, 된소리(쌍자음)가 받침에 올 때 강정실 2015-03-21 12982 3
107 기사에서도 틀린 말들이… 강정실 2015-03-21 6938 3
106 160년전 秋史 친필 서첩, 日서 찾았다 file 웹관리자 2017-02-26 2508 2
105 전자책(eBook)에 대한 유혹 file [1] 웹관리자 2016-08-31 2650 2
104 일본인 사진가가 찍은 이웃 나라…'내 마음속의 한국' file 웹관리자 2016-03-22 4251 2
103 흥선 대원군의 환갑 얼굴 file 강정실 2015-12-26 5731 2
102 2015년의 신조어 file 웹관리자 2015-12-16 4250 2
101 국사편찬위, 내달 업데이트 완료…2억4천만자 '대기록' file 웹관리자 2015-11-11 2189 2
100 이미 확보해 놓은 높은 벼슬, '떼어놓은 당상' file 강정실 2015-10-17 5004 2
99 부시를 쳐서 불을 붙이는 ‘부싯깃’ file 웹관리자 2015-09-16 2316 2
98 [기사 속 틀린 맞춤법] 서유리 보정 의혹 사진에 눈꼽(X)? file 웹관리자 2015-09-02 3210 2
97 ‘재연’과 ‘재현’ file 웹관리자 2015-07-12 3473 2
96 ‘첫번째’ ‘첫 번째’ 올바른 띄어쓰기는? file 웹관리자 2015-06-09 6194 2
95 구름의 종류 file 강정실 2015-04-30 14820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