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년도 못 간 한강 노벨상효과불안한 시국에 문학의 봄실종

                                                      -업데이트 2025-04-02

 

 

-작년 10월 수상후 닷새만에 100만부한강신드롬에 출판경기 반짝 상승

-한 달 뒤 11월 출판생산 12% 떨어져올해 28% 하락 등 후광사라져

-“계엄사태에 책보다 사회문제 관심국내 시장 활성화돼야 K문학 탄력

 

지난해 10월 한국에서 처음으로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가 배출됐지만 문학 붐을 기대했던 노벨문학상 효과는 반년 만에   잦아든 것으로 보인다. 문학·출판 업계에선 실제 체감 경기는 더 심각한 상황이란 얘기가 나올 정도다. 특히 탄핵 정국 등으로 연초 특수까지 사라지면서 시장은 더욱 경색되고 있는 상황이다.

 

  ● 올 초 문학 매출 반 토막 수준

  지난해 10월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소식에 서점가로 몰려든 독자들. 닷새 만에 한강의 작품이 100만 부 넘게 팔리는 등 모처럼 문학 시장이 들썩였지만, 이 온기가 한국 문학 저변으로 고루 확산되지는 못했다.

  지난해 10월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소식에 서점가로 몰려든 독자들. 닷새 만에 한강의 작품이 100만 부 넘게 팔리는 등 모처럼 문학 시장이 들썩였지만, 이 온기가 한국 문학 저변으로 고루 확산되지는 못했다.

  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한강 작가가 노벨상을 받은 지난해 10월 서적출판업 생산은 9개월 만에 반등해 1년 전보다 1.3% 늘었다. 지난해 2월 이후로 9월까지 마이너스 행진을 하다가 노벨상 발표 직후 도서 구매가 급증했다.

 

  당시 한 작가의 소설들은 닷새 만에 100만 부가 팔렸고, ‘텍스트힙(Text Hip·독서를 멋지게 여기는 유행)’에 대한 관심도 덩달아 커졌다. 이에 자연스레 한국 문학 전체로 온기가 퍼지는 한강 효과를 기대하게 됐다.

  하지만 반향은 불과 한 달 만에 꺾이기 시작했다. 11월 서적출판업 생산은 전년보다 12.7% 급감했다. 12월에도 4%가 감소해, 한 달이 채 지속되지 못했던 셈이다. 해당 지수는 올해 1월에 5%가량(잠정치) 상승 전환했지만 2월 들어 다시 8.1%로 꺾였다.

  실제 체감 경기는 수치보다 훨씬 나쁘다고 한다. 한 중견 문학출판사 대표는 “1, 2월 매출이 전년 대비 거의 반 토막 수준이라고 했다. 또 다른 출판사 팀장도 전반적으로 문학 판매가 확산될 거라 기대했지만 실제론 정반대라며 한 작가의 책을 낸 몇몇 출판사의 매출만 크게 뛰었을 뿐, 다른 작품들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진 않았다고 전했다.

  이렇다 보니 오히려 주요 중견 작가들의 신작이 한강 신드롬에 묻혀 관심을 못 받는 현상도 벌어졌다. 한 대형 출판사 관계자는 경쟁이 부담스러워 다들 상반기 출간을 미루는 분위기라며 규모가 작은 출판사일수록 훨씬 힘들 것이라고 했다.

 

  ● 한국 문학의 자체 근육 키워야

  물론 이 모든 걸 한쪽 탓으로만 돌릴 순 없다. 지난해 12월 계엄부터 이어진 시국 불안도 연초 특수를 사라지게 만든 주요 원인이다. 문학과지성사 이근혜 주간은 해마다 연초에 잘나가는 자기계발, 철학, 고전, 잠언집마저 부진하며 출판계 상반기 판매가 둔화됐다탄핵 정국에 산불까지 여러 요인이 겹쳤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문학의 주요 독자층인 2030 여성들 또한 사회적 문제에 관심이 쏠린 상황이라 문학 시장이 더 힘을 받기 힘들었다는 의견도 나온다.

  한국 문학 시장이 가진 좀 더 근본적인 문제도 짚을 필요가 있다. 노벨문학상에 대한 관심도 예전 같지 않고, 단발성 유입 외에는 문학 독자의 저변이 넓어지기 어려워졌다. 1일 예스24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한강 책을 가장 많이 샀던 독자층은 50대였다. 같은 시기 이들이 문학책을 구입한 비중은 전체의 30%를 넘겼다. 하지만 이후 계속 줄어들어 325일 기준 24%대로 떨어졌다. 한 출판사 관계자는 노벨문학상으로 새로운 문학 독자층이 유입됐다고 보긴 어려운 상황이라고 했다.

  한국 문학 시장의 이 같은 침체는 노벨상 수상 이후 해외에서 쏟아진 한국 문학에 대한 관심과는 대조적이다. 김승복 일본 구온출판사 대표는 해외에선 한강 효과로 한국 작가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지만, 결국 계약까지 가려면 자국 인지도와 판매 부수가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국내 문학시장이 뒷받침해 줘야 ‘K문학도 탄력을 받을 수 있다는 얘기다.

  표정훈 출판평론가는 우리 국민의 독서율이 50% 이하로 떨어졌다. 한 해 두 사람 중 한 명은 책을 전혀 읽지 않는다는 뜻이라며 경기가 나빠지면 가장 줄이기 쉬운 분야가 독서 지출인데, 공적 지원마저 줄고 있다. 지원이 체계화되지 않으면 시국과 상관없이 이런 난국을 타개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11398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36503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34108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54039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8155 5
» 반년도 못 간 ‘한강 노벨상’ 효과 웹담당관리자 2025-04-03 137 1
2116 파도가 울고 있네요(정순옥 수필가) file 정순옥 2025-03-29 123 1
2115 남가주 해안 25년 후 물에 잠긴다 file 웹담당관리자 2025-03-10 238 1
2114 새치기(정순옥 수필가) file 정순옥 2025-03-05 218 3
2113 유년의 첫사랑 file [1] 홍마가 2025-03-04 458 2
2112 관계(정순옥 수필가) file 정순옥 2025-02-05 431 2
2111 응급실에 가던 날 file [1] 정순옥 2025-01-27 930 1
2110 텍사스 첫눈 스케치 file 홍마가 2025-01-20 207 2
2109 LA 산불이 속히 진화 되길 바랍니다 홍마가 2025-01-11 274 1
2108 대한민국 국적회복증의 기쁨(정순옥 수필가) file 정순옥 2025-01-05 537 2
2107 2024년 <한미문단> 출판기념회 file [72] 오청사 2024-12-07 3398 12
2106 가을의 길목에서(이병호 시인) file 이병호 2024-11-24 679 1
2105 량유 김정아 디자이너 오픈 쇼 file 웹담당관리자 2024-10-27 637 1
2104 기청 <가을의 시>와 노벨문학상 file 웹담당관리자 2024-10-25 390 1
2103 청사(淸士) 오희영 시인 영상음악회 연습곡 모음 file [21] 오청사 2024-10-09 2699 2
2102 친절(정순옥 수필가) file [2] 정순옥 2024-10-07 1541 2
2101 9월의 소회 [1] 홍마가 2024-09-06 1108 3
2100 꿈과 추억을 품은 밥솥(정순옥) file [1] 정순옥 2024-08-12 1064 1
2099 시집 '그리움을 향한 노래' 출판 file [6] 홍마가 2024-08-10 1200 3
2098 안개비(정순옥) file 정순옥 2024-08-05 529 1

회원:
14
새 글:
0
등록일:
2014.09.28

오늘 조회수:
118
어제 조회수:
16
전체 조회수:
353,438

오늘 방문수:
79
어제 방문수:
16
전체 방문수:
121,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