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잡는 유리벽… 5년간 3834마리 '비명횡사'

조회 수 13282 추천 수 2 2015.10.07 11:08:40

                      <5년간 천연기념물 ‘솔부엉이’ 등 조류 3834마리 유리충돌로 죽어>

 

 

20151006003814_0.jpg

                               -   지난해 유리창에 충돌해 치료 중에 숨진 천연기념물 팔색조

 

 

 

“버드세이버를 요청합니다.”

한국조류협회의 홈페이지(www.bird.or.kr) 게시판에는 독수리 등 맹금류 모습을 본뜬 스티커인 ‘버드세이버’(bird saver)를 요청하는 글이 하루에 10건 가량씩 올라온다. 맹금류 스티커인 버드세이버를 건물 유리벽에 붙여 놓으면 다른 새들이 실제 맹금류로 착각하고 해당 건물을 피해 날아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종의 ‘허수아비’인 셈인데, 학교와 공장, 주택, 도로 방음벽 공사현장 등 요청하는 기관도 다양하다. 글의 대부분은 새가 날아와 부딪혀 죽는 모습을 보고 안타까운 마음에 연락했다는 사연들이다.

최근 고층 건물이나 외벽이 유리로 된 건물이 늘어나면서 야생 조류가 건물에 부딪혀 죽는 ‘조류충돌’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20151006003744_0.jpg

 

                -새들이 비행하다 유리에 충돌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건물 외벽 유리에 설치된 버드세이버.부산아쿠아리움 제공


6일 세계일보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장하나 의원실을 통해 입수한 환경부의 ‘2011년∼2015년 9월 전국 야생동물 구조치료센터로 접수된 조류충돌 사례’는 6034건에 달한다. 전국의 조류충돌 5년치 현황이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중 3834마리는 폐사했고 1947마리는 치료 후 자연으로 돌아갔다. 32마리는 충돌 후유증으로 영구 장애를 얻었다.

 

20151006004233_0.jpg

 


 

국내에서 조류충돌로 구조된 개체를 종별로 살펴보면 천연기념물인 솔부엉이(500마리), 황조롱이(397〃), 소쩍새(326〃), 수리부엉이(275〃) 등 223종에 달한다. 자연유산인 천연기념물을 보호하기 위해 문화재청이 한국조류보호협회와 함께 버드세이버를 무료로 보급하고 있지만 역부족이다. 조류충돌은 매년 1000건을 넘어서는 실정이다.

 

 

20151006003970_0.jpg

 

 

미국이나 캐나다 등에서는 조류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디자인 지침을 마련하고 있으며 철새들의 이동이 많은 기간에는 새들의 착각을 막기 위해 고층건물의 불을 끄는 식의 캠페인도 벌인다. 실제 미국 뉴욕 타임스 사옥의 경우 유리면 노출을 줄이기 위해 세라믹 튜브를 유리벽에다 설치하는 등 조류충돌 방지용 설계가 반영돼 지어졌다.

 

20151006003968_0.jpg

                                                        -한국철도공사가 강촌역 일대 방음벽에 설치한 맹금류 스티커.

                                                                
하지만 정부의 실태파악과 예방책 마련은 미흡한 실정이다. 환경부는 “‘버드세이버’ 설치 의무화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된 바 없으며 향후 조류충돌 현황을 파악해 새의 서식이나 이동이 많은 곳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장하나 의원은 “조류충돌은 국내외적으로 야생조류를 위협하는 큰 문제가 되고 있으며, 세계 각국은 조류충돌방지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며 “건축 설계 시 조류충돌 방지 규정 등 야생 조류 보호를 위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2035 배우 송송 커풀 결혼식 올리다 file 홍용희 2017-11-02 1424  
2034 안도현 시인 file 홍용희 2017-11-04 2236  
2033 시계, 한 시간 뒤로 돌리세요 file 홍용희 2017-11-04 1508  
2032 명작의 공간/ 김동인 홍용희 2017-11-16 1935  
2031 미당이 남긴 얼룩 홍용희 2017-11-19 1481  
2030 가을 뜻 / 황수정 file 홍용희 2017-11-09 2160  
2029 다복한 추수감사절 되세요 file 홍용희 2017-11-18 2092  
2028 별빛의 메아리 홍용희 2017-11-14 1709  
2027 포리스트 어브 라이트 ( Forest of Light) file 홍용희 2017-11-23 1563  
2026 신춘문예 이렇게 쓰세요 file 홍용희 2017-11-24 1979  
2025 이육사 새롭게 해석 / 도진순 홍용희 2017-11-28 2216  
2024 기쁜 우리 잔치날 file [2] 홍용희 2017-11-30 2348  
2023 '생강' 냉장고에 오래 보관하는 꿀팁 오애숙 2017-12-07 2543  
2022 재테크 스마트폰으로 편리하게 '은행 서비스 이용하는 꿀팁' 오애숙 2017-12-07 1653  
2021 행동은 이상의 가장 고귀한 표현/은파 오애숙 [2] 오애숙 2017-12-07 2192  
2020 거울 보기 [2] 오애숙 2017-12-07 6877  
2019 Christmas festival [3] 오애숙 2017-12-07 1811  
2018 엘에이 장미빛 겨울 나기/은파 오애숙 [3] 오애숙 2017-12-09 1499  
2017 돈의 시학 [2] 오애숙 2017-12-10 2075  
2016 틈새시장 찾기 [1] 오애숙 2017-12-11 17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