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황석영이 한국 문단의 단편 101편을 모아 책으로 냈다.

잊혀진 작가들의 작품은 물론 문인들의 뒷 이야기까지 풀어내 생생한 시대의 기록으로 탄생했다

 

1897년생 염상섭의 잘 알려지지 않은 단편 '전화'에서부터 1980년 태어난 김애란의 '서른'까지.

소설가 황석영이 지난 한 세기 문인 101명의 단편 소설을 골라 10권의 책으로 냈다.

한 작가의 대표작을 살핀 다음 알려지지 않거나 제대로 평가 받지 못한 작품들을 엄선했다.

<황석영 / 소설가> "그때 미처 발견하지 못한 것도 있고 세간에서는 놓쳤는데 그 사람의 유난히 근사한 작품이 숨어 있기도 하고, 그런 것들을 찾아내는 눈은 옛날에 젊은 저의 눈이 아니지요."

일제 식민지 시대부터 한국 전쟁을 거쳐 근대까지.

알토란 같은 단편 모음은 지난 100년의 삶의 기록으로 펼쳐진다.

<황석영 / 소설가> "한 장면처럼 탁 스치고 지나가는 단편을 보면 편린들이 모여서 하나의 풍속사, 문화사 이런게 저절로 형성이 된다고 봅니다."

작고하거나 북으로 간 문인들의 숨겨진 이야기는 물론 현역 작가 31명을 포함시켜 당대 문학에 대한 애정도 듬뿍 담았다.

<황석영 / 소설가> "작가들의 단편집, 장편 등을 골라 모아서 서너권씩 읽어치웠다. 파악할 수가 있었고 어떻게 보면 저는 젊은 피를 수혈받은 듯한 느낌입니다. 저는 사실 '만년 문학을 탄탄하게 할 수 있는 기회가 됐다' 이런 생각입니다."

한국 문학의 힘을 오히려 국내에서 몰라줘 안타깝다는 문단의 거목.

지난 50년간 쉼없이 글을 써온 황석영은 올 봄 새 작품을 발표하며 본격적으로 만년 문학을 시작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1995 황당한 문화부의 문학 우수도서 선정기준 [1] 제봉주 2015-01-27 7260 3
1994 도둑이 훔친 지갑을 반성문과 함께 돌려준 이유 이금자 2015-01-28 8789 2
1993 보스톤에는 엄청 눈이 내려요! file [6] 이금자 2015-01-28 8568 1
1992 색깔 있는 포토그래퍼, 하시시 박 [2] 이훤 2015-01-28 6349 1
1991 겨울 나무 휘고 굽어졌구나, 우리네 삶처럼 file [3] 김평화 2015-01-29 9501 1
1990 2015년 콘텐츠산업 전망 보고서 강정실 2015-01-30 6225 1
» 한국 문단 단편 101편 모음집/소설가 황석영 발간 강정실 2015-01-30 6946 1
1988 르 코르뷔지에(1887~1965)..시처럼 아름다운 건축을 열망했던 도시계획가 제봉주 2015-02-01 20241 1
1987 90년대를 풍미한 베스트셀러 [1] 지상문 2015-02-02 10098 1
1986 '앵무새 죽이기' 하퍼 리, 7월에 두번째 소설 출간 file 오애숙 2015-02-04 8335 2
1985 지구에 다른 태양과 달이 뜨면 신성철 2015-02-05 13223 2
1984 대저택을 마다하고 평생 방랑하며 산 '톨스토이'의 삶 file 제봉주 2015-02-06 13828 2
1983 "직지보다 앞선 '증도가자'"…세계 최고 금속활자 정순옥 2015-02-08 11676 1
1982 뇌졸증 막는 법 정덕수 2015-02-09 7574 3
1981 유럽인 정착 이후 호주 동물 생물 생태계 변화 file 지상문 2015-02-10 12639 2
1980 눈 한 자락 [2] 이주혁 2015-02-10 7101 2
1979 흑인 노예를 정당화하려했던 백인들의 주장 file 김평화 2015-02-11 32520 2
1978 국내서 41년 만에 발견된 멸종위기종 file [1] 엄경춘 2015-02-12 13978 3
1977 개미의 고독사는 외로움과 비극 file [1] 강정실 2015-02-12 8392 1
1976 언어는 일찍 가르쳐야 한다 file [1] 제봉주 2015-02-13 10227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