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낙균 사진사

조회 수 288 추천 수 1 2022.04.19 11:08:53

이삿짐 쓰레기로 버려지기 직전 기적처럼 발견된 이 사진

한겨레 2022.04.13 18:45

 

[작품의 운명]

 

사진가 신낙균의 숨은 명작들

 

 

 Untitled-1.jpg

 -최승희 무용가

 

, 저 상자는 뭐지?”

 

낡은 한옥의 대청마루 아래 어두컴컴한 구석에 팽개쳐진 궤짝 하나. 거기에 20세기 초 한국 사진의 역사를 담은 명작들이 살아 숨 쉬고 있었다.

 

19759, <동아일보> 출판사진부의 30대 기자였던 최인진은 신문사 대선배인 사진가 신낙균(1899~1955)의 수원 옛집을 찾아갔다가 한국 사진사에 길이 남을 대발견의 주역이 된다. 한옥 마룻장 아래에서 일제강점기인 1920~30년대 신낙균의 주요 작품들과 관련 사료들이 담긴 궤짝을 찾아낸 것이다.

 

최인진은 몇년 전부터 한국 사진사 정리 작업을 시작해 틈틈이 연구활동을 벌이던 중이었다. 신낙균이 일제강점기 사진계에서 활동한 자료 실물들을 연구 자료로 확보하고 싶어 방문했더니, 하필이면 그 집안이 이사 준비로 부산했다. 며칠 뒤 서울로 이사를 앞둔 후손들은 부친이 과거 사진가로 활약했다는 사실을 잘 알지 못했다. 집 안에는 사진과 관련된 유품들도 남아 있지 않았다. 유족의 소략한 증언과 부인의 일기 정도만 파악하고 서울로 돌아가려니 최인진은 발걸음이 쉽게 떨어지지 않았다.

 

집 앞 대문에서 떠나려다 심상치 않은 예감이 들어 뒤돌아 한옥을 쳐다봤다. 그때 마룻장 아래 처박혀 있던 낡은 상자에 극적으로 눈길이 꽂혔다. “이게 뭐냐?”고 묻는 그에게 유족들은 잘 모른다. 전부터 있던 것들인데 서울로 이사 가면 버릴 쓰레기라고 했다. 눈에 불이 켜진 최인진은 다짜고짜 상자를 꺼내어 뒤지기 시작했다. 놀랍게도 신낙균이 1920~30년대 찍은 자화상들과, 당대 세기의 춤꾼으로 불렸던 불세출의 천재 무용가 최승희가 치맛자락을 들어 올리며 인사하는 사진들이 은염을 입혀 인화한 원본 빈티지 프린트로 생생하게 드러났다. 그뿐이 아니었다. 1927년 신낙균이 졸업한 일본 도쿄사진전문학교의 졸업앨범과 1927년 그가 교수로 부임한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YMCA)학교 사진부의 졸업앨범 등 한국 사진사 초창기의 소중한 아카이브 자료들도 무더기로 들어 있었다.

 

 Untitled-22.jpg

-신낙균 사진사

 

 

자칫 이삿짐 쓰레기로 사라질 뻔했던 한국 사진사의 놀라운 재발견이었다. 근대적 자아로서 주체의식이 충만한 신낙균의 자화상은 1920년대에 이미 한국 사진계에 작가의식을 가진 아티스트가 있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발견된 사진들이 알려지면서 당장 신낙균을 근대 사진사의 선각자로 자리매김하게 하는 대표작이 됐다. 특히 신낙균이 서울 종로 자신의 스튜디오에서 인공조명을 밝히고 앙증맞게 찍은 최승희 무희상은 이후 최승희의 대명사와도 같은 이미지로 세간에 널리 알려지게 됐다.

 

지금 이 사진사의 명작들을 대구 이천동 아트스페이스 루모스에서 열리고 있는 박주석 명지대 교수의 <한국 사진사> 발간 기념전 ()에서 진()으로’(51일까지)에서 만날 수 있다. 무엇보다 1920년대 일본 유학을 마치고 돌아와 조선의 근대 사진교육과 예술사진 운동의 주역으로 활약했던 신낙균의 예리한 작가적 시선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이 뜻깊다.

 

신낙균은 도쿄사진전문학교를 졸업하고 조선 최초의 사진 저술서 <사진학 강의> 등을 펴내며 사진의 학문적 체계를 정립했다. 1936<동아일보> 사진부장으로 재직하다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우승한 손기정의 사진을 실으면서 유니폼의 일장기를 없애버리는 사건을 주도해 고문을 받고 해직됐다. 이후 은둔생활을 했으며 해방 뒤 수원북중학교에서 화학 교사로 학생들을 가르치다 한국전쟁 직후 별세했다.

 

1970년대 초반만 해도 신낙균은 잊혀가던 인물이었다. 1936년 일장기 말소 사건 뒤로 언론계와 사진계에서 쫓겨나 평범한 교사로 생을 마쳐야 했던 그를 사후 누구도 주목하지 않았다. 그러다 사후 20년 만에 아무렇게나 내팽개쳐둔 마룻장 아래 상자에서 한국 사진사상 빠질 수 없는 명작들이 빈티지 프린트 상태 그대로 발견됐으니 기적적인 행운이 따랐다고 볼 수밖에 없다. 이 유물들은 불과 며칠 뒤면 이삿짐 쓰레기로 처분될 신세였으니까 말이다. 사진기자였던 최인진의 직감과 뒤돌아본 시선 덕분에 우리는 한국 사진사의 소중한 사료들을 고이 간직할 수 있게 되었다. 세간에 널리 각인된 최승희가 1920~30년대 조선의 사진가들 사이에서 중요한 모델이었고, 이를 증거하는 그의 발랄한 모델 사진이 기적적으로 발굴됐다는 사실을 지금 후대인들은 기억해야 하지 않을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2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2035 시애틀 소식 [1] 문창국 2017-01-04 3372 3
2034 수고하셨습니다. [1] 남중대 2016-04-26 4393 3
2033 지구를 구하는 크릴새우..남북극 동물 24종의 생존 이야기 file 웹관리자 2016-03-11 5406 3
2032 자신을 살려준 할아버지 만나러 5,000마일 헤염쳐 돌아오는 펭귄 file [1] 웹관리자 2016-03-10 4070 3
2031 공군 조종사들은 왜 선글라스를 끼고 다닐까 file 웹관리자 2015-12-19 14441 3
2030 김환기, 고향 그리울 때마다 점을 찍다 웹관리자 2015-12-06 11006 3
2029 커피 하루 3~5잔 마시면 3~7년 더 산다. file [1] 석송 2015-11-18 5692 3
2028 세계인의 눈을 홀린 칼러사진 14선 [1] 웹관리자 2015-10-28 4987 3
2027 소금물로 작동하는 차, 실현될 듯하다 [2] 웹관리자 2015-10-28 4852 3
2026 세계 희귀한 바위 석송 2015-09-22 4761 3
2025 동북공정, 식민사관 인정하는 지도 미국에 보낸 정부 file 웹관리자 2015-10-05 6990 3
2024 태풍의 이름 file 웹관리자 2015-08-24 6238 3
2023 129년 전 최초의 ‘아리랑 악보’ 발굴(영상) 웹관리자 2015-08-17 4892 3
2022 은유와 상징, 색이 주는 메시지 file [1] 강정실 2015-08-11 9599 3
2021 별똥별 file 지상문 2015-08-09 4867 3
2020 차 없는 주민들, 전기차 무료 공유 file 강정실 2015-08-05 4030 3
2019 동틀 녘 독도, 일본 순시선이 다가왔다 file 웹관리자 2015-08-02 7661 3
2018 사자 사냥했다 언론 표적된 치과의사 웹관리자 2015-07-30 4883 3
2017 ‘인왕제색도’ 병풍바위, 일제 때 훼손 사진 첫 공개 file 석송 2015-06-30 9302 3
2016 영국 해안가 습격한 미국 랍스터들 file [1] 웹관리자 2015-06-25 6230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