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사냥.jpg

 



일본이 남극해에 고래 조사를 명목으로 고래연구선을 파견할 방침을 발표했다고 AFP통신이 30일 보도했다.

고래 밀렵 활동으로 전 세계 동물 보호 협회로부터 비난을 들어온 일본이 사실상 고래 잡이 활동을 재개한 것이라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일본 수산당국은 이날 홈페이지 성명서를 통해 "12월 1일 남극해에 고래 조사를 목적으로 연구선을 파견한다"고 말했다. 연구선 3대와 160명의 승무원이 참여하는 연구 활동은 오는 12월부터 내년 3월까지 진행될 계획이다.

일본의 이 같은 발표에 해양환경 보호단체 '시 셰퍼드'는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일본 영자 언론 재팬투데이에 따르면 알렉스 코르넬리센 시 셰퍼드 간부는 "또 다시 남극해는 밀렵꾼들의 위협에 놓였다"면서 "일본 정부에 다시 한번 확인시키고 싶다. 남극해의 고래는 국제법과 호주 해양법에 의거해 보호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남극해의 고래를 위험에 빠뜨리는 모든 행동을 호주는 범죄 행위로 간주하겠다"고 말했다.

시 셰퍼드를 비롯한 국제 사회의 비난 성명과 국제사법재판소(ICJ)가 일본의 고래연구를 '상업용 포경'이라고 규정하면서 일본의 포경 탐사 활동은 2014~2015년 중단됐다. 하지만 이번 발표로 인해 내년부터 고래잡이 활동을 재개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41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7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6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895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한국 전통 민속의 날 설 잘 보내세요.) [2] 오애숙 2019-01-30 1464 1
894 리즈 깨어나다 file 웹관리자 2015-12-22 4818 1
893 노상방뇨 본인에게 튕겨내는 특수 방지벽 런던에 등장 file 웹관리자 2015-12-20 4647 1
892 한국의 음유시인 file [1] 홍용희 2016-10-16 5004 1
891 한국·중국 대기오염 최악 file 석송 2015-12-15 6230 1
890 세계의 아름다운 스카이라인 Top8 [1] 웹관리자 2015-12-14 11651 1
889 블루스 전설 조플린의 포르셰, 20억 낙찰 사상 최고가 file 웹관리자 2015-12-11 4609 1
888 모나리자 밑에 또 다른 초상화가 있다? file 웹관리자 2015-12-10 4875 1
887 45년 만에 얼굴 내민 비경, 설악산 토왕성 폭포 웹관리자 2015-12-07 8691 1
886 술보다 담배가 더 문제---한국인 위암 예방법 file 웹관리자 2015-12-05 4913 1
885 세계 마약지도 공개돼---한국은 아직 청청국 file 웹관리자 2015-12-02 17143 1
884 동지엔 팥죽 file 웹관리자 2015-12-02 6289 1
» 일본, 말은 '고래 연구' 실상은 포경 재개----비난 가열 file 웹관리자 2015-12-01 5647 1
882 연비 76㎞… 꿈의 수소차 웹관리자 2015-12-15 11046 1
881 감자스낵 '주의보'.."포화지방량 1일 기준치 넘는 것도" 웹관리자 2015-11-24 4544 1
880 하늘서 떨어졌나 땅에서 솟았나, 청계 20어종 file 웹관리자 2015-11-20 5704 1
879 지구촌 오늘 [1] 강정실 2015-11-19 5821 1
878 도축장에 팔린 서울대공원 동물들의 기구한 운명 file 웹관리자 2015-11-16 8346 1
877 인도네시아, 사형수 감시로 악어.호랑이 활용 검토 file 웹관리자 2015-11-16 15014 1
876 알코올 사용 장애, 남성은 감소하는데 여성은 증가… 왜? file 웹관리자 2015-11-15 408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