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베리아서 희귀물질 발견··"운석 충돌로 발생 가능성"
 
         
 
 897390_20161216112112_189_0001.jpg



 

러시아 시베리아 인근에서 준결정(quasi-crystal) 상태 희귀 물질이 발견됐다. 자연 상태에서 발견된 3번째 준결정 물질이다.

데일리메일은 피렌체 대학, 캘리포니아 공대(칼텍), 프린스턴대학 연구진들이 최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보고서를 발간했다고 최근 보도했다.

연구진은 5년전 러시아 북동부 카티르카(Khatirka) 지역에 떨어진 유성우로 인해 변형된 물질에서 이런 특성을 발견했다. 이 물질은 앞서 발견된 준결정 물질과 마찬가지로 유성우로 인해 변형된 것이지만 다른 패턴을 가졌다.

1980년대 이스라엘 테크니온 공대의 다니엘 셰흐트만 교수가 처음으로 그 존재를 알아냈고, 2009년에는 이탈리아 피렌체대학의 루카 빈디 연구팀이 러시아 코랴크 산악지대 바위에서 준결정을 찾아냈다. 이번에 발견한 준결정은 지난해에 이어 3번째다.

준결정 물질은 완전 비결정 고체인 유리와 다이아몬드 같은 정확한 결정 형태의 중간 상태를 지닌다. 2개의 다른 구조가 반복되지 않고 섞인 것이 특징이다. 이런 준결정 상태는 자연상태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진은 “우리는 이미 동일한 운석에서 3가지 다른 형태의 준결정을 발견했다”며 “이 새로운 물질에서는 다른 준결정에서는 볼 수 없던 화학 성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준결정이 운석 간 충돌로 인해 발생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데일리메일은 폴 아시모 칼텍 박사의 말을 인용해 “소행성 등에서 극단적 충격이 발생해 준결정이 형성될 수 있다”며 “운석 간 충돌이 원소들을 서로 깨뜨려 미세한 준결정을 만들 수 있다”고 보도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635 미주LA중앙일보 [이 아침에]. 문학.함께 가는 도반들께 <이정아. 수필가> [19] 서용덕 2017-07-06 4989 5
634 미주(LA) 한국일보 문예공모전 입상자 자격에 대한 의문 [4] 서용덕 2017-06-23 3807 3
633 바다 위 최대 85미터 높이 송도 해상케이블카 홍용희 2017-06-15 6890 1
632 국립제주박물관 상설전시실 조선실서 전시 file 홍용희 2017-06-15 2717 1
631 손 전화기에 의한 오해 file 강정실 2017-06-04 3096 2
630 개와 아이와 함께 [1] 웹관리자 2017-04-25 3308 3
629 겨울잠 깬 개구리들의 힘겨운 봄 file 웹관리자 2017-03-24 3812 2
628 북극·남극 해빙 동시에 감소, 역대 최소…기상이변 가속화 file 웹관리자 2017-03-24 3824 1
627 위대한 한국의 역사, 문화 유산 석송 2017-03-20 2391 1
626 나비가 급격하게 사라진다---15년새 34%감소 file [1] 웹관리자 2017-03-19 2800 1
625 동이족 상형문자 북미대륙서 여럿 발견 file 홍용희 2017-03-14 2877 2
624 서머타임 시작 file 홍용희 2017-03-11 2724 3
623 화성에 시카고 같은 도시를 만든다? file [1] 웹관리자 2017-02-26 3748 2
622 낙지잡이가 찾은 대부도 2호선은 12-13세기 고려선박 file 웹관리자 2017-02-26 3789 1
621 시인의 사계 석송 2017-02-09 2817  
620 100년 수난을 견디고 명절이 된 '음력 설'의 운명 홍용희 2017-01-27 3676 3
619 혈관스텐트 과연 안전한가 홍용희 2017-01-20 2945 1
618 노이슈반슈타인 성 [1] 웹관리자 2017-01-16 9596 2
617 시애틀 소식 [1] 문창국 2017-01-04 3372 3
» 시베리아서 희귀물질 발견---운석 충돌로 발생 가능성 file 강정실 2017-01-03 1270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