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날

조회 수 104 추천 수 1 2024.05.01 08:21:30

               어린이날.jpg  

                                     

                                          어린이날

 

                                                                                   김 붕 래

 

 

 신이 아직 인간을 포기하지 않았다는 전갈을 가지고 모든 어린이는 태어납니다.

 존 그룬, 세계 어린이회장의 연설 중의 한 구절입니다. 우리에게 구원이 있다면 바로 지금 행복을 느끼는 어린이의 시선을 통해서만 그것이 가능하다는 뜻이 아닌가 합니다. 대인이란 어린아이 시절의 마음을 잃지 않는 사람(大人者 不失其赤子之心者)이라고 맹자님도 비슷하게 말씀하셨습니다.

 

 어린이들은 아침 눈 뜨기 전에 먼저 입을 벌려 미소를 짓습니다. 미소를 짓고 나서 눈을 뜹니다. 어른들이 피로를 누르고 간신히 눈을 뜨면서 머리조차 움직일 수 없어할 때 말입니다. 우리들도 어린 시절에는 미소 지으며 눈을 뜨고 잠잘 시간이 되어도 잠들고 싶지 않아 오래도록 깨어 있었듯이 어린 아이들은 지금이 순간의 존재로서 인생을 사랑하고 있습니다.

 이 <적자지심>에 대해 참으로 많은 설명이 필요하겠으나 나무에게 물과 햇빛 말고 다른 것은 필요하지 않듯, 모든 어린이에게는 어머니의 사랑 하나면 이 세상은 천국이란 일깨움이 아닐까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 들 모두에게는 어머니가 있었거나 있으니, 이 세상은 천국임이 분명합니다.

 언젠가 제 손자 녀석이 착한 어린이는 왜 일찍 자야 하느냐고 물었습니다. 저는 할 말이 없어 녀석의 궁둥이만 툭툭 대견하게쳐주었습니다. 어린이에게는 바로 지금이, 잠자리에 들기도 아까울 만큼 행복한 순간입니다. 성경 한 구절에도, 마음을 고쳐 어린이처럼 되지 않고서는 천국에 들어가지 못할 것이라고 쓰여 있습니다. 집 안에 아이들이 없는 것은 세상에 태양이 없는 것과 같다는 말은 영국 속담입니다.

 워드워즈가 하늘에 무지개를 바라보면 가슴이 뛴다고 말했지만, 나는 엄마 손 꼭 쥐고 앙증맞게 걷는 어린 것들을 보면 정말 가슴이 환해집니다. 그 녀석과 눈을 맞추고 싶어서 걸음을 멈춥니다. 저렇게도 엄마 하나면 세상 모두가 제 것인 것을! 그 아가 옆의 엄마에게 그녀가 바로 아기 예수를 낳아 주신 성모 마리아라고 일러주고 싶습니다.

 

 지금 어디메쯤 / 아침을 몰고 오는 어린 분이 계시옵니다

 그 분을 위하여 / 묵은 의지를 비워드리겠습니다.(조병화 <의자7>)

 

 우리들에게 내일의 희망이 있다면 그 내일의 주인공이 바로 어린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들이 적자지심(赤子之心)을 잃지 않을 때 행복은 우리 가슴에 머물 거란 진실을 우리는 어린이를 통해서만 배울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4805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7224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4626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4820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1413 5
774 광주서 천오백년전 대규모 마을유적 file 웹관리자 2015-06-09 4740 1
773 조선시대의 만조천, 용산기지에 흐르고 있다 file 석송 2015-06-08 6637 1
772 파랑새 file 석송 2015-06-08 4108 1
771 ‘황금알’ 낳는 ‘웹소설’ 문학계 ‘지각변동’ file 강정실 2015-06-07 9556 1
» 어린이날 file 웹담당관리자 2024-05-01 104 1
769 술 때문에… 매일 6명 숨진다 file 제봉주 2015-06-05 12383 1
768 소금처럼 설탕도 이젠 NO 식탁위 또 다른 '백색 전쟁' file 웹관리자 2016-04-04 5985 1
767 커피 사랑은 과로의 주범 file 석송 2015-06-04 6880 1
766 “오래 앉아 있는 게 흡연보다 위험 김평화 2015-06-03 4812 1
765 쇼팽의 마주르카는 꽃 속에 묻힌 대포와도 같다" file 김평화 2015-06-03 9005 1
764 한국 내 메르스(중동 호흡기증후군) 공포 file [1] 웹관리자 2015-06-02 4919 1
763 드가 걸작 ‘러시안 댄서들’ LA 나들이 file 웹관리자 2015-06-02 7248 1
762 신정아, 조영남 전시회로 큐레이터 복귀 file 웹관리자 2015-05-19 9015 1
761 미국의 10대 아름다운 도시 중의 하나 세도나 [1] 석송 2015-05-15 8541 1
760 옛날 사진 감상 [1] 석송 2015-05-15 7345 1
759 남프랑스 [코트다쥐르] 홀리데이 석송 2015-05-12 19594 1
758 카바가 탄생한 곳, 코도르뉴 석송 2015-05-12 6965 1
757 눈의 왕국, 라플란드로의 환상 여행 [1] 석송 2015-05-12 7353 1
756 연인들을 위한 이탈리아 여행법 석송 2015-05-12 15239 1
755 [베를린] 장벽따라 역사 기행 석송 2015-05-12 595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