폼페이 유적 '신비의 저택' 2년 보수 끝에 재개장
 

PAP20150320204301034_P2.jpg

 

20일(현지시간) 2년 보수 끝에 재개장한 폼페이의 '신비의 저택' 근처에 관광객들이 모여 있다.

 

(폼페이 AP·AFP=연합뉴스) 고대 로마 유적지 폼페이에서 회반죽 벽화로 유명한 '신비의 저택'(Villa of Mysteries)이 2년간의 보수 작업 끝에 20일(현지시간) 대중에 공개됐다.

다리오 프란체스키니 이탈리아 문화부 장관은 이날 폼페이에서 신비의 저택 재개장 기념식을 열고 "오늘 폼페이는 새로운 모습으로 거듭났다"고 밝혔다.

신비의 저택은 그리스 신화에서 술의 신인 디오니소스의 모습을 담은 짙은 주황색과 붉은색의 화려한 프레스코화(회반죽 벽화)로 유명하다.

 

이 저택은 폼페이 내 다른 저택들과 마찬가지로 서기 79년 베수비오 화산 폭발 이후 화산재에 덮였다가 후대에 발견됐다.

신비의 저택 안에서 화려한 식당과 파티공간, 와인 압착기 등이 나오면서 당시 주인은 로마의 부유층이었을 것으로 추정됐다. 현재 저택에는 저택 안 화산재 속에서 발견된 유해 한 구의 석고 모형도 전시돼 있다.

폼페이 유적에 대한 부실 관리로 국제사회의 우려를 샀던 이탈리아 정부는 2013년부터 '그랜드 폼페이 프로젝트'라고 이름붙인 대대적인 폼페이 보수 작업을 진행 중이다.

 

PAP20150320200601034_P2.jpg

 

 폼페이 유적지 내 '신비의 저택'에 있는 프레스코화.

 

 

프란체스키니 장관은 이날 폼페이 유적 보수와 관련해 3개의 프로젝트가 완료됐으며 13개 프로젝트는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올 연말까지 유럽연합(EU)의 폼페이 보수 지원금 1억500만 유로를 모두 소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탈리아 남부 나폴리 인근에 있는 폼페이는 서기 79년 베수비오 화산의 폭발로 한순간에 사라진 고대 도시다. 

최고 6m에 달하는 화산재에 덮여 있던 폼페이는 16세기 베수비오 화산 인근에서 라틴어가 새겨진 대리석 조각 등이 발견되면서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으며 19세기 들어 체계적인 발굴이 이뤄졌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2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715 장례문화(葬禮文化) file 신성철 2015-04-03 11552 1
714 바닷가서 펼치는 '연날리기 행사' file 석송 2015-04-02 11361 1
713 서울에서도 트롤리버스 운행 file 석송 2015-03-31 6268 1
712 1000년 전 민간요법이 슈퍼박테리아 박멸 핵심 열쇠 될까 file 석송 2015-03-30 6772 1
711 선크림의 오해와 진실 file 석송 2015-03-28 8263 1
710 아리랑 3A호 발사 성공…의미와 과제(영상물) 웹관리자 2015-03-26 4472 1
709 한국인 개발한 시각장애인용 '만지는 시계' file [1] 석송 2015-03-27 12310 1
708 미국인은 이해 못하는 건강한 한식 석송 2015-03-24 8547 1
707 비운의 첫 조선왕비 신덕왕후 잠든 정릉 재실 복원 석송 2015-03-23 6511 1
706 영화, 분노의 질주중 슈퍼카 다이빙 액션 장면 석송 2015-03-23 4520 1
705 노벨 문학상과 농촌과의 관계 강정실 2015-03-22 7382 1
704 영국 회사, 매 훈련과 사냥 위한 드론 개발 석송 2015-03-22 9813 1
703 한복화가 김정현 file 석송 2015-03-19 20107 1
» 폼페이 유적 '신비의 저택' 2년 보수 끝에 재개장 file 정덕수 2015-03-21 9376 1
701 1500년 전 베이징에 살던 한민족 무덤이 발견 file 정덕수 2015-03-21 6053 1
700 분홍돌고래, 정말 사라질지 모른다 [1] 석송 2015-03-20 9646 1
699 “문학은 문화 전반의 초석…문학진흥법 꼭 필요” file 안지현 2015-03-18 6974 1
698 문학계 부흥 위한 문학진흥법 법안 추진 안지현 2015-03-18 6101 1
697 독도는 일본과 무관하다 file 석송 2015-03-19 6585 1
696 1그램의 용기(한비야 작가) file [1] 안지현 2015-03-19 1135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