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ㄹ게'와 '거야'

조회 수 4444 추천 수 2 2015.03.21 18:04:22

□□콜라의 동물 메시지 포장, '아쉬운 꺼양~'

 '~ㄹ게'와 '거야'

  
□□콜라의 동물 메시지 포장, '아쉬운 꺼양~'
한 콜라회사의 '양' 등 12지 동물을 이용한 재치있는 포장 문구(왼쪽)와 같은 회사의 지난해 포장 문구.
부자되세'용', 고백하겠'소', 꼬리칠거'쥐'…. 한 콜라 회사가 양의 해를 맞아 양을 비롯해 12지 동물들을 이용한 재미있는 말을 음료 포장에 넣었습니다. 처음엔 '양'만 있었는데, 좋은 반응에 12띠 동물들이 모두 등장하게 됐다고 합니다.

그런데 '양'이 들어간 글귀에 대해 일부에선 아쉬움을 보이기도 했는데요. 맞춤법 때문입니다.

잘나갈꺼'양', 행복할꺼'양'…. 여기서 '꺼'는 '거'의 잘못된 표기입니다. 회사는 공식 블로그를 통해 "친근감 있게 전달하기 위해 구어체로 쓴 것"이라고 설명했는데요. 이 콜라는 지난해 비슷한 행사에선 '친구야 잘될거야' '응원할게' 등 맞게 표기를 했습니다.

'꺼야(×)'는 '~ㄹ께(×)'와 함께 많은 분들이 잘못 쓰는 말인데요. 결론부터 말하면 비슷한 모양의 말 중에서는 '~ㄹ까?'와 같은 묻는 말을 빼고는 쌍기역은 안 쓰인다고 보면 됩니다.

'거야'는 것이야를 구어적으로 'ㅅ'을 빼고 쓴 말인데요. 이'거'야, 내가 만든 '거'야 등의 사례에서 자연스럽게 쓰이고 있습니다. 자연스럽다는 표현을 쓴 것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어서인데요. 다음 달에 할 '거'야, 이건 내 '거'야 등에서는 발음과 표기가 다르다 보니 헷갈리기도 합니다.

'~ㄹ게(을게)'는 발음만 보면 '게'가 [게]로 읽히는 경우가 없습니다. 금방 갈게요, 내가 먹을게 등에서 보듯이 'ㄹ' 받침의 영향을 받아 '게'가 [께]로 읽히는데요. 발음만 따르다 보면 잘못 쓰기가 쉽습니다.

□□콜라의 동물 메시지 포장, '아쉬운 꺼양~'
이 콜라 회사는 '꺼양(×)'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맞춤법 지적) 의견을 존중해 1월말 생산분부터 '거양'으로 변경한다"고 답했습니다.

어떤 이들은 맞춤법이 이해하기 어렵다고 불만을 표하기도 합니다. 특히 된소리가 나는 이유가 불분명한 내 거, 어제 거 등의 '거'에 대해선 상대적으로 불만이 큽니다.

요즈음 우리말의 된소리 현상 중에는 1음절로 무언가를 말할 때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요. 대학교 '학과 방'을 '과방[꽈방]'이라고 부르거나, '이 안건'을 줄여서 '이 건[껀]'이라고 읽고, '조금만 줘'를 줄여서 '좀[쫌]만 줘'라고 하는 경우가 그런 예입니다. 물론 글로 쓸 때는 된소리를 쓰지 않습니다.

된소리가 표기로 인정된 경우에는 '딴'이 있는데요. '다른 사람' 대신에 줄여서 '딴 사람'이라고 쓸 수 있습니다. 이때는 오히려 '단 사람'처럼 쓰지 않습니다.

위의 사례들은 아직 정확한 이유를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내 거'의 사례도 조금 더 연구가 필요합니다.

오늘의 문제입니다. 다음 중 표기가 맞는 것은 무엇일까요?
① 나이가 들어서 이제 힘이 '딸려요'
② 저 친구는 운동 좀 했는지 힘이 '쎄네요'.
③ 너는 '눈꼽' 좀 떼고,
④ 좋아서 입이 '째지네'

정답은 ④번입니다. ①은 달려요, ②는 세네요, ③은 눈곱이 맞습니다. 곱은 '곱창'의 곱과도 같은 말인데요. 동물의 지방, 진득한 액이 마른 것 등을 뜻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추천 수
114 젯밥과 잿밥 file 웹담당관리자 2024-02-06 83  
113 논틀밭틀길, 고샅, 고샅길, 고샅고샅, 숫눈길, 샅 웹담당관리자 2024-01-14 76  
112 이수지, 韓작가 최초 ‘아동문학 노벨상’ 안데르센상 수상 file 웹담당관리자 2022-03-22 637 1
111 백석의 연인 ‘란’과 결혼한 경성제대 反帝동맹 주동자 신현중 file 강정실 2022-03-12 1731 1
110 '독도는 일본땅' 주장 반박할 130년 전 日검정교과서 발견 웹담당관리자 2017-08-07 2187 1
109 광복 후 첫 독도 조사 때 찍은 '강치 사진' 찾았다 file 웹관리자 2017-07-11 4838 1
108 18세기 조선통신사가 일본서 받은 금풍경 3점 발견 file 웹관리자 2017-07-08 2543 1
107 가장 오래된 '흥부전' 필사본 file 웹관리자 2017-07-08 2464 1
106 42가지 언어로 옮긴 한국문학 한자리에 file 웹관리자 2017-07-08 2439 1
105 160년전 秋史 친필 서첩, 日서 찾았다 file 웹관리자 2017-02-26 2510 2
104 새로 표준어로 인정된 어휘 웹관리자 2016-12-30 3976 1
103 "조선 사신으론 내가 적임" 명·청 때 서로 오려 한 까닭 file 웹관리자 2016-09-11 3196 1
102 전자책(eBook)에 대한 유혹 file [1] 웹관리자 2016-08-31 2660 2
101 왜 청자뿐일까…해저유물 미스테리 file 웹관리자 2016-04-14 4179 1
100 타향살이 우리 문화재 8,400여 점 그 면면은 file 웹관리자 2016-04-11 4881 1
99 “문학은 사람의 목소리, 결코 망하지 않을 거요!” file 웹관리자 2016-03-31 3310 1
98 일본인 사진가가 찍은 이웃 나라…'내 마음속의 한국' file 웹관리자 2016-03-22 4251 2
97 오금이 저리다 file 웹관리자 2016-03-21 7763 1
96 114년 전 美 언론이 취재한 '청년 안창호의 꿈' file 웹관리자 2016-03-06 3009 1
95 고종황제 서양 주치의에 하사한 족자 문화재로 등록 file 웹관리자 2016-02-11 515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