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맞히다/맞추다

조회 수 6739 추천 수 2 2015.03.21 19:06:07

그만 맞추고, 이젠 맞히세요

맞히다/맞추다

 
그만 맞추고, 이젠 맞히세요
위는 기업체 홍보용 사진인데요. 두 사진의 빨간 동그라미 부분은 모두 틀렸습니다. 이 낱말은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틀리게 쓰는데요. 기자나 방송인도 예외가 아닙니다. 맞히다[마치다]와 맞추다[맏추다], 왜 이렇게 헷갈릴까요?

사전적으로,
'맞히다'는 맞다의 사동사인데요. 문제에 대한 답이 틀리지 않도록 하다, 또는 한 물체가 어떤 물체에 닿게 한다는 뜻으로 '적중'의 의미가 있습니다.
'맞추다'는 둘 이상의 일정한 대상을 나란히 비교하여 살피다, 또는 서로 떨어져 있는 부분을 제자리에 맞게 대어 붙인다는 뜻입니다.
발음도 비슷한데, 사전적 의미도 약간 비슷한 느낌입니다. 그렇다면 쓰는 상황은 어떻게 다를까요?

그만 맞추고, 이젠 맞히세요
'맞히다'는 크게 2가지 경우에서 씁니다. (답을) 콕 집어내거나, (무언가를) 탁 때리는 상황이죠.
시험문제나 퀴즈의 답은 맞'히'고 투수의 강속구도, 축구 골대도 맞'히'는 겁니다. 상황을 보니 일상에서 참 많이도 쓰는(많은 분들은 틀리게 쓰는) 말입니다.

'맞추다'는 맞닿게 하거나, 서로 비교하는 상황, 또는 비교해서 일정하게 하는 상황에서 씁니다.
퍼즐조각을 맞'추'거나 입술을 맞'추'고, 애인과 휴가일정을 맞'추'고 줄을 맞'추'는 겁니다.

어떤 분들은 '맞춤법'이란 말 때문에 헷갈려 하는데요. 맞춤법은 자음과 모음을 잘 맞'춰'서 글자를 만든다는 뜻이기 때문에 맞춤법이 된 것입니다. 비슷한 말인 '철자(綴字)법'도 말 그대로 글자를 엮는(꿰매는) 법을 뜻합니다.

자, 그럼 처음 두 사진을 맞게 고쳐봤습니다.

그만 맞추고, 이젠 맞히세요
끝으로 난이도 있는 문제인데요. 다음 두 문장은 모두 쓸 수 있습니다. 뜻은 어떻게 다를까요?

1. 어려웠던 영어시험 2번 문제 답을 맞췄다.
2. 어려웠던 영어시험 2번 문제 답을 맞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추천 수
54 닐리리와 늴리리 웹관리자 2015-09-04 2572 1
53 설욕은 벼르고, 칼날은 벼리고! file 웹관리자 2015-09-04 2349 1
52 ‘고래가 싸우면 새우가 죽는다?’ file 웹관리자 2015-09-10 3176 1
51 '자정'은 어제일까요? 오늘일까요? file 웹관리자 2015-09-10 2412 1
50 나이는 거스르고 마음은 추스르고! file 웹관리자 2015-09-11 2105 1
49 부시를 쳐서 불을 붙이는 ‘부싯깃’ file 웹관리자 2015-09-16 2319 2
48 안되는 줄 알면서 억지부리는 모습, "너 ○○○○구나!" file 웹관리자 2015-09-16 2019 1
47 개인기? 성대를 '묘사' file 웹관리자 2015-09-16 1916 1
46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웹관리자 2015-09-16 1746 1
45 유감은 사과일까? 아닐까? file 강정실 2015-10-10 2470 1
44 한가위 ‘맞으세요’가 맞나, ‘맞이하세요’가 맞나? file 강정실 2015-10-10 2508 1
43 사칙연산 우선순위는 어떻게 정해지는가? file 강정실 2015-10-17 4480 1
42 베테랑 유아인 "어이가 없네"의 몇가지 설 file 강정실 2015-10-17 4478 1
41 '이크!'에 대한 것 file 강정실 2015-10-17 2391 1
40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강정실 2015-10-17 1836 1
39 [기사 속 틀린 맞춤법] 1억수표, 분실물이냐 검은 돈(X)이냐 강정실 2015-10-17 3134 1
38 <우리 말글 이야기>엄한 사람? 애먼 사람! file 강정실 2015-10-17 2173 1
37 이미 확보해 놓은 높은 벼슬, '떼어놓은 당상' file 강정실 2015-10-17 5013 2
36 담벽과 담벼락 강정실 2015-10-17 2708 1
35 국보 훈민정음 또 있다. 제3의 혜례본 발견? file 웹관리자 2015-10-17 304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