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가 낳은 한국 문단의 거목인 소설가 김동리(1913~1995) 선생의 생가(生家) 복원 사업이 지지부진하다.

 

SSI_20150319182020_V.jpg

 

                                                                 ▲ 경북 경주시 성건동에 있는 김동리 선생의 생가터.
                                                                                        -동리목월기념사업회 제공  
 

 
19일 경주시와 동리목월기념사업회에 따르면 2009년부터 박목월과 김동리 생가 복원사업에 나서 지난해 6월까지 건천읍 모량리의 시인 박목월(1916~1978) 선생 생가를 복원했다. 부지 매입 등에 총 19억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박목월의 생가(부지 4319㎡)에는 안채, 사랑채, 디딜방앗간, 시 낭송장 등 건물 6동과 박목월의 대표 시 ‘나그네’를 연상하는 밀밭 등이 조성됐다. 이곳은 박목월의 시 ‘청노루’, ‘윤사월’의 배경이 됐으며 초등학교 4학년까지 유년시절의 추억이 깃든 곳이다.

하지만 김동리의 생가 복원 사업은 여태껏 착공조차 못 하고 있다. 경주 도심인 성건동 284-4 생가터(234㎡)에 현재 살고 있는 집주인들이 부지를 절대 팔지 않겠다는 입장을 보이는 데다 수십억원의 사업비 확보도 걸림돌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1950년대까지 남아 있던 김동리 생가는 다른 사람에게 팔린 뒤 헐리고 지금은 그 자리에 단독 주택 2채와 슬레이트 가옥 등이 들어서 있다. 시는 이 일대 부지 등을 매입해 생가를 복원하는 데 박목월 생가 복원비에 비해서 몇 배의 비용이 더 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역에서는 김동리 생가도 최대한 빨리 복원해 박목월 생가와 연계한 문학관광 명소로 육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김동리는 소설 ‘무녀도’와 ‘황토기’, ‘등신불’ 등을 남긴 우리나라 문학사에 빛나는 소설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

앞서 시는 한국 문단의 거두인 김동리와 박목월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2006년 3월 사업비 40억원을 들여 불국사 앞 진현동 1만 3847㎡의 부지에 동리·목월 문학관을 건립했다. 시는 이곳에 김동리와 박목월의 유품을 보존하고 동리·목월문학제를 비롯해 문예창작대학, 동리·목월음악회, 동리문학상, 목월문학상, 시 낭송회 등을 위탁 운영하고 있다.

장윤익(76) 동리목월기념사업회 회장은 “동리·목월 생가를 동시에 복원하지 못한 아쉬움이 크다”면서 “경주시와 협의해 빠른 시일 내에 동리 생가를 복원하겠다. 생가터 매입이 끝내 무산될 경우 인근 부지를 매입해 복원하는 방안도 신중히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2015-03-20 12면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저작권법 웹관리자 2014-09-27 3482 4
42 청록파 시인 박두진 문학관 file [1] 웹관리자 2015-04-19 23214 5
41 '위안부' 할머니들의 잇따른 죽음에 부쳐 file 강정실 2015-03-28 4552 4
40 탄생 100주년 맞은 문인 8인… 대산문화재단ㆍ한국작가회의 선정 file 웹관리자 2015-04-28 3684 3
39 피천득의 삶과 문학 file 웹관리자 2015-04-20 14006 3
38 백범의 한인애국단과 윤봉길의 훙커우 의거 file 강정실 2015-03-28 5998 3
37 노벨상 집착 말고 문학진흥 토양 마련해야 한다. 웹관리자 2015-03-25 3582 3
36 강경호 시인, 평론 '미술과 문학의 만남' 에세이 '내마음의 소리' 출간 file 웹관리자 2015-03-25 4451 3
35 조선한시 대가가 낸 시험지에 정조가 준 점수는? file 강정실 2015-08-03 4025 2
34 이육사 순국한 일본 지하감옥, 베이징에 여전히 존재 file 웹관리자 2015-08-02 4182 2
33 김준 작가, 에세이 file 강정실 2015-07-26 4520 2
32 “도깨비와 승부…영어소설로 만나요.” file 웹관리자 2015-05-05 3905 2
31 "문학상 4차례 수상으로 충분…이젠 웹소설 도전" file 웹관리자 2015-05-05 4432 2
30 윤오영의 창작수필론 file 웹관리자 2015-04-20 9358 2
29 이호우, 이영도 시인의 생가 file 웹관리자 2015-04-19 16396 2
28 대한민국 임시정부, 상하이 1919년~1932년까지 file 강정실 2015-03-28 11107 2
27 백범기념관과 묘소, 그리고 경교장 file 강정실 2015-03-28 5188 2
26 자싱 피난처에서의 백범과 주애보 file 강정실 2015-03-28 5174 2
» 소설가 김동리(1913~1995) 선생의 생가(生家) 복원 file 웹관리자 2015-03-27 4329 2
24 광주문인협회 미공개 시 22편 실린 `봄비와 낮달' 발간 웹관리자 2015-03-22 451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