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운의 상징, 2달러 지폐

조회 수 26483 추천 수 2 2015.03.29 13:07:09

 

                                       발행횟수 적어 '희소성'…각종 '설' 더해지며 '행운의 상징'


 48ef39925362d.jpg


미화 2달러 지폐는 세계 곳곳에서 행운의 상징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지난 설 연휴 은행들은 이색 세뱃돈으로 2달러 짜리 지폐를 판매하기도 했지요. 온라인 쇼핑몰에서도 2달러 지폐를 나무 틀이나 유리 액자에 넣어 각종 선물용도로 판매하곤 합니다.

2달러가 행운의 상징이 된 배경에는 여러가지 '설'이 있습니다. 첫 번째 설은 미국 서부개척 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노다지를 찾아 미지의 세계를 향한 여행을 떠나는 사람들이 긴 여정에 대한 두려움과 외로움으로 사람들은 '2'라는 숫자를 좋아하게 됐다는 겁니다. 한국 사람들이 숫자 '7', 중국인들이 숫자 '8'을 행운의 숫자로 여기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두 번째는 설에는 여배우 그레이스 캘리가 등장합니다. 1960년대 그레이스 캘리는 '상류사회'라는 영화에 함께 출연했던 프랭크 시내트라로부터 2달러 지폐를 선물 받은 후 모나코 왕국의 왕비가 됐는데, 이 이야기는 2달러를 '행운의 지폐'로 만들어 주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은행(FRB)가 법정화폐로 2달러 지폐를 최초 발행한 것은 1928년입니다. 앞면에는 미국 독립선언을 한 2대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의 초상이, 뒷면에는 존 트럼블(john Trumbull)이 그린 '미국 독립선언서 조인식(1776년 7월4일)'의 모습이 그려져 있습니다. 1976년에는 미국 독립 2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하여 재발행되는 등 5~6차례 미국 역사상 의미가 있는 해에 특별히 발행됐습니다.
 
안타깝게도 2달러 지폐는 지불수단으로는 큰 사랑을 받지 못했습니다. 1달러 두 장이면 충분히 사용이 가능한 탓이었지요. 하지만 덕분에 사람들은 2달러 지폐를 몸에 지니거나 보관하기 시작하면서 시중에서는 흔히 보기가 어려워졌습니다. 여기에 여러가지 설들이 더해지면서 '행운의 상징'이 된 것이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15 설치미술가 서도호 아트 갈라 '올해의 작가'에 file 석송 2015-03-05 7397  
14 수퍼 박테리아 감염 비상 file 석송 2015-03-05 7866  
13 남가주 해변에도 눈이 file 석송 2015-03-04 7613  
12 칠레 화산 폭팔 file 석송 2015-03-04 21573  
11 한국이름 영문표기 file 석송 2015-02-18 22653  
10 봄이 오면 여행을 떠나자! file 석송 2015-02-21 9506  
9 음주운전 적발되면 3넌간 2만달러 추가비용 file 석송 2015-02-20 7725  
8 철모르고 피는 꽃 file 정순옥 2023-09-27 259  
7 고 오애숙 시인 1주년 추모예배를 아버님, 큰오빠, 두 아들 자쉬와(오른쪽)와 아이삭(왼쪽) 위쪽에 있는 어머님 묘지도 함께 방문 file [5] 오청사 2023-09-16 290  
6 시간의 승자가 되는 법 file 이병호 2014-12-29 9003  
5 한가위 잘 보내 시기 바랍니다. [1] 오애숙 2018-09-21 5790  
4 2018 The Korean Literature Night 이정아 2018-09-16 1533  
3 ==작곡가 고 음파 권길상 선생의 유고작품 출간 기념 음악회== 오애숙 2018-09-05 1406  
2 먼곳에서 부는 바람은 알겠지 석송 2018-10-17 1130  
1 또 배우네 [1] 유진왕 2021-05-21 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