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YH2014110500110004400_P2.jpg

 

 

 수중문화재의 보고인 충남 태안 마도 해역에서 조선시대 선박으로 추정되는 고선박 발굴작업이 본격 시작된데 이어 인근 해역에서 또다른 고선박이 발견돼 기대를 모으고 있다.

 

AKR20141104166700005_01_i.jpg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오는 23일 오전 11시 개수제(開水祭)를 시작으로 마도 해역에서 조선시대 선박으로 추정되는 마도 4호선에 대한 발굴조사를 본격 실시한다고 22일 밝혔다.

 

AKR20141104166700005_02_i.jpg

 

 

이 곳은 강한 물살과 암초, 짙은 안개 등으로 난파사고가 빈번해 수중문화재의 보고로 불린다. 지난 2007년 태안선을 시작으로 2011년까지 마도 1, 2, 3호선 등 고려 시대 고선박 4척과 3만여 점에 달하는 유물이 잇달아 발굴됐다.

지금까지 출수된 청자와 목간, 도기, 곡물, 젓갈, 선상 생활용품 등은 당시의 사회상과 생활상을 생생하게 전해주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AKR20141104166700005_03_i.jpg

 

 

이번에 본격 발굴이 시작되는 마도 4호선은 태안해역에서 다섯 번째로 확인된 고선박으로 23일부터 정밀발굴 조사에 들어간다.

지난해 발견 당시 선체내부에서 분청사기 2점이 출수돼 현재까지 발견된 적이 없는 최초의 조선 시대 선박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또 주변에서는 조선시대 백자의 해상유통 사례를 엿볼수 있는 첫 사례로 111점에 이르는 조선 시대 백자 꾸러미도 발견됐다.

이와 함께 연구소는 또다른 선박으로 추정되는 물체를 발견, 이번 발굴조사에서 작업을 병행할 방침이다.

 

AKR20141104166700005_04_i.jpg

 

 

연구소는 지난 3월 마도해역에서 해저 지층 속의 이상물체를 탐지하는 3차원 입체영상 지층탐사장비를 이용한 조사를 통해 마도 3호선과 인접한 지점에서 고선박으로 추정되는 물체를 탐지했다.

이에 따라 연구소는 이번 발굴조사에서 이상물체에 대한 확인 조사도 병행할 예정이다. 이번 정밀발굴조사는 오는 10월 25일까지 진행된다.

 

AKR20141104166700005_05_i.jpg

 


 

문화재청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고대부터 활발한 해상교류를 펼쳤으며 이에 무궁무진한 잠재력을 지닌 해양 문화유산이 바닷속에 잠들어 있다"며 "태안지역에서 첫 조선 고선박을 포함해 2007년부터 다섯번째 고선박을 발굴한데 이어 또다른 이상물체가 발견돼 마도 5호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공지 미국 질병예방 통제국(CDC) 강조하는 코로나91 증상과 주의 사항 file 웹담당관리자 2020-03-15 7614 3
공지 문예진흥원에서의 <한미문단> 지원금과 강정실에 대한 의혹 file [6] 강정실 2017-12-15 29726 12
공지 2017년 <한미문단> 행사를 끝내고 나서 file [5] 강정실 2017-12-14 27303 7
공지 미주 한국문인협회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file [9] 홍마가 2016-07-08 47341 12
공지 자유게시판 이용안내 웹관리자 2014-09-27 44008 5
735 문성록 부회장 방문(Cresco, PA) file [5] 웹담당관리자 2018-09-18 1927 3
734 연말연시에 박은경 2021-12-28 1927  
733 당신의 직업은 안전하십니까 file 홍용희 2017-09-13 1931 1
732 어린이 날은 원래 5월 1일 이었다 [1] 오애숙 2018-05-06 1932  
731 명작의 공간/ 김동인 홍용희 2017-11-16 1935  
730 시네롤리엄 오애숙 2018-11-07 1935  
729 추석연휴 시작 홍용희 2017-09-29 1965 1
728 신춘문예 이렇게 쓰세요 file 홍용희 2017-11-24 1979  
727 대한 추위와 풍습 오애숙 2018-01-19 1982  
726 미주 수필가 이정아씨의 글을 보고서 [3] 송덕진 2018-05-06 1990 2
725 고기폭탄 쌀국수, 맛있다고 계속 먹다간? 오애숙 2017-12-14 2018  
724 [연시조] 나무의 변신 [1] 박은경 2021-05-23 2027 1
723 가을밤 낙숫물 소리에 [2] 오애숙 2018-10-10 2032 2
722 라스베가스 총기 난사 사건 홍용희 2017-10-02 2049 3
721 돈의 시학 [2] 오애숙 2017-12-10 2075  
720 한미문단 문학상, 중앙일보 기사 file 홍용희 2017-10-27 2083  
719 불량품/이정아 file [4] 이정아 2018-03-01 2085 2
718 잎보다 먼저 피는 개나리꽃 [1] 오애숙 2018-03-11 2089  
717 여인과 수국화의 공통분모 [2] 오애숙 2018-06-06 2091  
716 창작하는 AI... 예술가가 함께 꿈꾸는 미래 file 홍용희 2017-11-01 2092